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34946564
· 쪽수 : 572쪽
· 출판일 : 2024-01-29
책 소개
목차
작가의 말
1부
시인 - 나는 왜 시를 쓰는가
차나 한잔 - 홀로 있는 시간
수의(壽衣) - 수의에 주머니가 있어야 한다
마음의 똥 - 똥을 누던 소년
부활 이후 - 맹인의 촛불
우리가 어느 별에서 - 지구라는 작은 별에서
용서의 의자 - 용서할 수 없으면 잊기라도 하라
수선화 - 울지 말고 꽃을 보라
꽃이 진다고 그대를 잊은 적 없다 - 어머니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그는 - 십자고상(十字苦像)
헌신짝 - 낡은 슬리퍼 한 켤레
국화빵을 굽는 사내 - 국화빵을 사 먹는 이유
굴비에게 - 쓴맛을 맛보지 못하면 단맛을 맛보지 못한다
해질 무렵 - 하루살이에 대한 명상
반지의 의미 - 반지는 왜 둥글까
가시 - 선인장은 가장 굵은 가시에 꽃을 피운다
새들에게 한 질문 - 생명의 무게
2부
눈길 - 아직도 세뱃돈을 받고 싶다
스테인드글라스 - 고통 없는 사랑은 없다
꽃을 보려면 - 씨앗에 대하여
사랑에게 - 당신은 어떻게 사랑하고 있는가
해미읍성 회화나무의 기도 - 무명 순교자들의 성지(聖地)
폭풍 - 풀잎은 태풍에 쓰러지지 않는다
숯이 되라 - 내 가슴에 걸어놓은 ‘돌아온 탕자’
나팔꽃 - 나팔꽃으로 피어난 아버지
봄비 - 싹
리기다소나무 - 만남을 위하여 기도하라
첫키스에 대하여 - 나의 첫키스
슬픔이 기쁨에게 - 슬픔은 눈물이 아니라 칼이다
꽃향기 - 꽃에게 위안받다
구근을 심으며 - 뿌리가 꽃이다
햇살에게 - 감사합니다
새해의 기도 - 신(神)은 내가 바라보는 눈으로 나를 바라본다
12월 - 시간의 강물 앞에서
3부
창문 - 당신의 마음에 창을 달아드립니다
기차에서 - 인생은 속력보다 방향이 중요하다
쌀 한톨 - 6월의 무논을 바라보며
나무에 대하여 - ‘나의 나무’가 있었다
전쟁 없는 천국에서 영면하소서! - 대한민국은 당신을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
새는 언제나 옳다 - 새는 인간의 영혼
시간에게 - 시간도 신(神)의 피조물이다
감사하다 - 태풍에 대하여
첫눈 - 그리운 아버지의 손
꿀벌 - 김현승(金顯承) 시인을 만나다
염천교 다리 아래 비는 내리고 - 그리운 서울역
소년부처 - 목 잘린 돌부처님
바닷가에 대하여 - 봄바다
뿌리의 길 - 다산초당으로 가는 길
별밥 - 쌀에 아무리 돌이 많아도 쌀보다 많지 않다
시집 - 책은 모유다
통닭 - 도계장(屠鷄場), 닭들의 아우슈비츠
4부
밥값 - 나는 밥값을 하고 있는가
후회 - 마더 테레사 수녀님께 보내는 편지
생일 선물 - 가장 소중한 선물
첫눈 오는 날 만나자 - 사랑하는 사람들만이 첫눈을 기다린다
하늘의 그물 - 모성의 힘
배반 - 춘란 이야기
옥수수죽 한 그릇 - 탈북시인의 시집 《내 딸을 백 원에 팝니다》
여행 - 인생은 여행이다
낡은 의자를 위한 저녁기도 - 신(神)에게 귀 기울이는 것 또한 기도다
타종(打鐘) - 에밀레종
고래를 위하여 - 바다가 아름다운 까닭
시각장애인이 찍은 사진 - 아래를 먼저 보세요
손을 흔든다는 것 - 원고지 위에서 죽고 싶다
여름밤 - 네모난 수박
벼랑에 매달려 쓴 시 - 의미 없는 고통은 없다
백두산 - 하느님이 쓴 시
구두 닦는 소년 - 별을 닦는 사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요즘 차를 들면서 지난날의 실패의 고통에 대해 생각할 때가 많다. 지금 현재를 생각하려고 해도 과거로 돌아갈 때가 많다. 그럴 때 굳이 과거로 끌려가지 않으려고 노력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계속 차를 들고 있으면 내가 끌려갔던 그 과거의 분노와 상처에 대해 그만 무덤덤해지고 만다는 것이다. 차는 내 마음속에서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듯 내 과거를 현재의 세계와 중화시킨다. 강물이 바닷물을 만나면 결국 바닷물이 되어버리듯 차를 드는 동안 나는 과거에 있는 듯하지만 늘 현재에 있다.
스테인드글라스는 맑은 통유리로 만들지 않는다. 조각조각 난 색색의 유리를 붙여서 만든다. 그 조각조각 난 색유리를 통과한 햇살이 그토록 아름다운 색채의 문양을 만드는 것이다. 그렇다면 내 인생이 산산조각 난 까닭 또한 내 인생을 아름답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나를 아름답게 하기 위해서 내 인생에 고통이 존재하는 것이다.
신병훈련을 마치고 자대 배치를 받기 위해 ‘낙엽도 직각으로 떨어진다’는 춘천 보충대에서 대기하고 있을 때였다. 전방 지역 어디로 배치받게 될지 몰라 두려움과 초조함에 떨고 있을 때, 이등병인 나를 누가 면회왔다고 했다. 나는 함박눈이 펑펑 내리는 넓은 연병장을 숨 가쁘게 달려갔다. 멀리 면회실이 있는 정문 위병소 옆에 조그마한 한 사내가 외투 깃을 올리고 서 있었다. 아버지였다. 뜻밖에 아버지가 대구에서 그 먼 춘천까지 면회를 오셨다.
“춥제?”
아버지가 외투 속에 넣어두었던 손을 꺼내 고된 훈련으로 거칠게 상한 내 손을 잡아주셨다.
“배고프제?”
갑자기 눈물이 핑 돌았다.
“빵 먹을래?”
면회소에서 아버지가 사주신 단팥빵을 연달아 몇 개나 급히 먹으면서도 핑 도는 눈물은 어쩔 수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