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행복론
· ISBN : 9788935210558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6-01-2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_‘준비된 행운 기회’를 잡아라!
프롤로그_운 좋은 사람은 뭐가 다를까?
PART 1 긍정하라
습관 1. 행운을 부르는 것도, 쫓는 것도 바로 그 사소한 행동!
누구나 척 보면 안다 | 속마음과 다른 그녀의 입꼬리 | 말이 인연을 만든다
습관 2. 해낼 수 있다는 믿음, 이게 정말 중요하죠
참고 노력하면 반드시 복이 올까? | 작은 성취로 자신감을 키운다 | 피드백은 능력을 강화하는 비결 | ‘해야 한다’를 ‘하고 싶다’로 바꿔라!
습관 3. 써본 사람은 알아요, 감사 일기의 놀라운 효과!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이 아름답다 | 고마움과 마음의 빚 | 다음 잔은 제가 계산합니다!
PART 2 주파수를 맞춰라
습관 4. 마음을 훈련해보세요,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기 위해
행운을 잡는 준비 동작, 머리 비우기 | 마음을 평온하게 하는 ‘접지’ 방법 | 남기느냐 버리느냐, 만델라의 선택
습관 5. 꿈만 꾼다고 될까요? 주파수를 제대로 조정해야죠
‘주파수 조정’의 과학적 비밀 | 자신이 진짜로 원하는 게 뭔지 알고 있는가? | 무리한 계획은 금물, 세 가지로 제한하라 | 아이젠하워 박스와 포스트잇 세 장
습관 6. 기회를 잡으려면 ‘관심은 폭넓게, 관찰은 깊숙이’
행운은 준비된 자에게만 찾아온다 | 메디치 효과를 발휘하라 | 취미가 능력이다 | 행운을 부르는 창의성 | 영감은 호기심을 타고 온다 | 결실을 보는 데 필요한 시간 | 관찰력을 높이는 세 가지 기술
PART 3 점들을 연결하라
습관 7. 놓치지 말아야 할 인생의 기술, 말하기 듣기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이야기 | 내가 갖고 있는 이야깃거리는? | 경청과 올바른 리액션의 효과
습관 8. 받는 것과 주는 것, 더 신경 써야 할 것은?
행운도 사람을 가린다 | 나는 과연 어떤 사람인가? | 기꺼이 베푸는 사람이 잘되는 이유 | 결정적 도움을 준 세 명의 기버
습관 9. ‘약한 연결’을 관리하면 큰 힘이 됩니다
인맥을 행운으로 바꾸는 비밀 | ‘그냥 아는 사람’을 소중히 여겨라 | 약하면서도 강한 연결, 옛 친구
에필로그_스스로 행운을 만들어내는 연습
주
리뷰
책속에서
나는 고등학교 때 헤드폰을 끼고 워크맨을 들으며 맨해튼 거리를 걷길 좋아했다. (……) 이는 매우 재미있는 경험이었다. 귀로 듣는 음악이 바뀔 때마다 눈앞의 도시 풍경이 달라 보였기 때문이다. 유행가를 들을 때는 도시가 아주 화려해 보였고, 힙합을 들을 때는 세상이 빠르게 돌아갔으며, 라틴 음악을 들으면 거리에 라틴계 후예가 눈에 띄었고, 클래식을 들으면 왠지 모르게 노인과 아이가 좀 더 눈에 들어왔다. 물론 이는 내 개인적인 느낌일 뿐이며, 사람마다 반응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기회가 된다면 한번 시도해보면 좋겠다. 그 효과가 즉각적이고 뚜렷하며 아주 묘한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뇌는 라디오와 같고, 사고의 방향은 주파수 조절기다. 주파수가 바뀔 때마다 주변 환경을 바라보는 생각이 달라지고, 주파수가 맞춰지고 잡음이 사라지면 갖가지 미세한 것들이 드러난다. 이것들은 바로 행운의 실마리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처럼 일련의 단어들이 우리의 기억과 반응 속도에 영향을 끼친다면, 반복적으로 깊이 사고했을 때 그 효과가 훨씬 더 뚜렷해지지 않을까? 이는 꼭 ‘끌어당김의 법칙’과 유사하게 들린다. 그러나 이는 《시크릿The Secret》에서 말한 바대로 ‘무언가를 계속 상상하고 염원한다면 자석처럼 그것을 끌어당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정확히 얘기하자면 ‘원하는 것에 대해 비교적 쉽게 관심을 가질 수 있을’ 뿐이다. 돈을 예로 들어보자. 당신이 돈만 계속 생각한다면 좀 더 쉽게 돈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돈’과 ‘돈을 버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무의식적으로 이를 식별하고 연상하는 데는 뛰어나지만 계획을 세우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단지 돈의 존재에 관심을 가질 뿐, 돈을 잘 벌지는 못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주파수란 단순히 신념과 꿈이 아니라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인 행동 목표’다. 여기서는 ‘구체적’, ‘현실적’, ‘행동’이 핵심 키워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