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새 길을 찾다

한국의 새 길을 찾다

(근현대사가 가르쳐준 교훈과 다가올 미래)

한국의 새 길을 찾는 원로 그룹 (지은이), NEAR 재단 (엮은이)
청림출판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1,350원
22,950원 >
24,3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430원
21,8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900원 -10% 940원 16,070원 >

책 이미지

한국의 새 길을 찾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새 길을 찾다 (근현대사가 가르쳐준 교훈과 다가올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35214020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3-01-11

책 소개

한국은 건국 이후 최대의 위기를 직면했다. 나라 안에서는 이념·계층·세대 갈등이 날로 커지며, 나라 밖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불행한 나라’라는 평가와 함께 지구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국가로 꼽히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 위기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목차

책을 열며 근현대사에서 오늘의 답을 구하다
추천의 글 강국이 된 한국, 잃어버린 인간의 기본을 찾아서
프롤로그 대한민국의 새 길을 찾기 위한 성찰과 숙고의 시간

1부 근현대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

대한민국 통사: 근대화 혁명의 성공과 실패
역사학자가 본 한국의 근현대사: 경제 발전과 민주화의 관점에서
극단의 정치를 극복하지 못하면 희망은 없다

2부 근현대사와의 대화
Round-table 1. 한국 근현대사의 성취와 회한은 무엇인가
Round-table 2. 풍요와 품위 상실 사이 우리 문화는 어디로 가는가
Round-table 3. 한국 정치, 민주주의의 성숙과 시련
Round-table 4. 한국의 법치 수준과 사법 제도의 발전 방향
Round-table 5. 한국 경제의 발전 경로와 지속 가능한 미래
Round-table 6. 창조적 파괴형 혁신이 요구되는 한국의 교육
Round-table 7. 질곡의 세월을 지나온 한국의 외교 안보, 새 길을 찾다
Round-table 8. 동북아 지정학, 북핵 위기, 그리고 한반도 평화

대한민국의 미래 천명과 절명 사이 K-정치, K-환경을 창조해야 한다
에필로그

저자소개

한국의 새 길을 찾는 원로 그룹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획·총괄> 정덕구 NEAR 재단 이사장 前 산업자원부 장관·재정경제부 차관·IMF 및 뉴욕 외채 협상 수석대표 <국가 원로·현자 15인> 김성수 우리마을 설립자 및 촌장·푸르메재단 명예이사장 前 대한성공회 대주교·성공회대학교 총장 이홍구 서울국제포럼 이사장 前 국무총리 이종찬 우당교육문화재단 이사장·국가안보전략연구원 명예이사장 前 국회의원·국가정보원 원장 김진현 세계평화포럼 이사장 前 과학기술처 장관·서울시립대학교 총장 김병익 문화과지성사 상임고문·문화평론가 前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초대위원장·문학과지성사 대표·한국기자협회장 김종인 대한발전전략연구원 이사장 前 국회의원·청와대 경제수석·보건사회부 장관 최상용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前 주일본대한민국대사관 대사·한국정치학회 회장 김학준 前 인천대학교 총장·동아일보 회장 이태진 한국역사연구원 원장·서울대학교 명예교수 前 국사편찬위원장·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학장·역사학회 회장 윤동한 한국콜마 창립자 및 회장·서울여해재단 이사장 前 대웅제약 부사장·한국중견기업연합회 부회장 김황식 삼성문화재단·호암재단 이사장 前 국무총리·대법원 대법관 송민순 前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국회의원·외교통상부 장관·청와대 안보실장 김대환 인하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일자리연대 상임대표 前 노동부 장관·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 김도연 울산공업학원 이사장·서울대학교 명예교수 前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포스텍 총장·울산대학교 총장 이광형 KAIST 총장·기획재정부 중장기전략위원회 위원장 前 국가교육회의 위원·경찰청 미래비전위원장 <현역 학자 8인> 송호근 한림대학교 석좌교수 강원택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김남국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병연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박태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김은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장덕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권현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펼치기
NEAR 재단 (엮은이)    정보 더보기
2007년에 설립된 국내 굴지의 순수 민간 독립 싱크탱크. 설립 이후 경제·외교·안보 등 국정 각 분야에 걸쳐 국가·사회에 울림이 있는 외침을 끊임없이 계속해오고 있다. 수많은 세미나와 연구 보고서, 책을 통해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특히, 외교안보 포럼인 ‘NEAR Watch 포럼’, 동북아 3국 회의인 ‘한중일 Seoul Process’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줄여나가기 위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국적 있는 중국 연구의 중심지로서 중국 연구에 있어서는 국내 최고의 싱크탱크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국, 중국, 일본 등 해외에서도 그 연구 업적에 대하여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경제 분야의 ‘시장 경제와 사회 안전망 포럼’은 중도시장주의를 지향하며 양극단화하고 있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에 대하여 많은 대안을 제시한다. NEAR재단은 주로 국책 연구소와 민간 연구기관들이 할 수 없는 ‘시대를 가르는 국가적 주제’를 설정하고 연구팀을 구성하여 한국의 미래를 위한 답을 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 책은 NEAR재단이 창립 15주년을 기념하여 진행한 시진핑 시대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그동안 너무 빨리 달리며 질주했다. 그 결과 단기간 내에 절대 빈곤을 없애는 데는 성공했지만 빈부의 격차가 커졌고 국가 사회의 이중 구조화는 국민의 정신적 혼란과 피폐 속에 영혼의 근육을 약화시켰다. 이 사이에 한국 사회는 단층화되고 양극단화가 심화되었다. 과잉 이념정치는 국정 전반을 이념의 색깔로 코팅하고 국민정신도 부지불식간에 이념의 색깔로 훼손되고 있다.
_ <책을 열며>


좌익 학생운동 세력은 ‘민족해방파’와 ‘민중민주파’를 자칭하면서 마르크스, 마오쩌둥, 김일성의 사상을 거리낌 없이 거론했다. 1987년 민주화헌법의 자유민주주의와는 배치하는 사상이었지만, 노동자 총연맹과 전국 교원 조직을 통해 정치적 힘을 강화하여 합법화 순서를 밟았다. 개발도상국에서나 볼 수 있는 사회주의 메시아의 소리가 1인당 국민총소득 1만 달러를 넘어선 나라에서 강력한 정치 세력으로 부상한 것은 세계사적으로 매우 이례적이다.
_ <역사학자가 본 한국의 근현대사: 경제 발전과 민주화의 관점에서>


국민을 가르치려 들어서는 안 된다. 정치가 먼저 변해야 한다. 정치가 변하지 않는데 어떻게 국민과 사회가 변화하길 기대하는가. 정치 시스템이 조화로우면 사회도 서서히 그것을 따라가게 마련이다.
_ <극단의 정치를 극복하지 못하면 희망은 없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5214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