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가
· ISBN : 9788935668595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1-03-25
책 소개
목차
세잔의 사과
생애 첫 번째 책, 그 첫사랑을 기억하며
개정판 출간에 부쳐
작품은 변하지 않는다 변하는 것은 작품을 보는 눈이다
책을 열며
크리스테바와 멜랑콜리 미학
세잔의 특별한 초상화
멜랑콜리 초상화
공허를 채우는 색채: 푸른색
‘순수한 시각’과 색채 효과
작가의 우울증과 작품의 멜랑콜리
인간은 왜 우울한가: 멜랑콜리 심적 구조
삶에서 분리된 형태, 삶에 대한 욕망의 색채
프로이트와 세잔의 성 표상
성적 욕망과 수욕도의 도상
세잔의 누드화: 참조와 차이
‘프로이트의 세잔’: 세 점의 <대수욕도>
바타유의 에로티즘, 세잔의 초기 누드화
탈승화의 미학
세잔의 누드에서 보이는 성과 폭력
‘보는 것이 두렵다’: <성 안토니의 유혹> 연작
‘본다’는 것에서 ‘눈’ 이야기로
세잔의 에로틱한 환상: 동물적 본능의 표출과 폭력
세잔과 바타유 그리고 현대미술
들뢰즈와 세잔의 ‘감각의 논리’
세잔의 사과와 베이컨의 살
들뢰즈의 지각, 정동 그리고 감각
‘조성된 감각organized sensations의 논리’
세잔에서 베이컨으로
비움의 미학: ‘클리셰’의 배제
세잔과 베이컨 그리고 영국의 현대미술
라캉의 주체와 세잔의 시각구조
세잔의 회화와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
거울 너머 나의 얼굴: 거울단계 이론과 세잔의 자화상
거울 면에서 응시의 스크린으로
메를로퐁티와 ‘세잔의 회의’
‘말없는 사유’
체험된 시각
‘본다’는 행위의 불확실성
미완의 색채 표면: 후기 수채화
베르그송과 세잔의 ‘시간 이미지’
과연, 미술은 공간예술인가?
회화에서의 지속과 기억의 표상
철학과 예술의 병행
보론: 미술사 속 세잔, 그 의미와 해석의 확장사
주註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비록 프로이트가 세잔에 대한 기록을 남긴 것은 아니지만, 그의 『꿈의 해석』이 1900년에 출판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반즈 <대수욕도>가 1896에서 1906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니, 이 저서는 세잔의 작품과 동시대에 속한다. 따라서 반즈 <대수욕도>에서 ‘꿈꾸는 인물’이 가진 불안과 공포를 프로이트 이론과 접목시켜 이해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타당하다.”
“우리가 보는 것은 무엇이든 … 흩어지고 지나간다. 자연은 언제나 동일하게 있지만, 어떤 것에도 그 가시적 외양이 남아 있지 않다. 우리의 예술은 그 변화의 외양과 요소와 더불어, 지속의 떨림전율; shudder of duration 을 부여해야 한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자연을 영속적인 것으로 경험하게 한다.”
“바타유의 사유를 통해 세잔의 누드를 보면 전혀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다. <영원한 여성>, <누워 있는 여성 누드> 등은 공통적으로 성적 매력이 넘치는 여성보다는 동물성이 강하게 발현되어 있는 여성을 나타낸 것에 주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