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고전
· ISBN : 9788935678921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제2부 성선택
제8장 성선택의 원리 15
제9장 동물계의 하등 계급에서 나타나는 이차성징 95
제10장 동물의 이차성징 117
제11장 곤충(계속): 나비목(나비와 나방) 163
제12장 어류, 양서류, 파충류의 이차성징 199
제13장 조류의 이차성징 239
제14장 조류의 이차성징─계속 303
제15장 조류의 이차성징─계속 365
제16장 조류의 이차성징─결론 395
제17장 포유류의 이차성징 451
제18장 포유류의 이차성징─계속 489
제3부 인간과 관계된 성선택과 결론
제19장 인간의 이차성징 533
제20장 인간의 이차성징─계속 579
제21장 전체 요약과 결론 611
옮긴이의 말 631
용어 해설 643
찾아보기 657
책속에서
두족류가 적에게서 도망치는 뛰어난 솜씨를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들의 감각 기관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상당한 정도의 정신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이들에게 이차성징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오히려 놀랄 만한 상황이다.
풀무치를 관찰했던 모든 사람은 수컷이 내는 소리가 소리를 내지 못하는 암컷을 부르거나 자극하는 데 기여한다는 사실에 동의한다. 러시아의 이주메뚜기를 연구한 쾨르테(Korte)는 암컷이 수컷을 선택한다는 흥미로운 사례를 보고했다.
매력적인 개체가 이성에게 선망의 대상이 된다는 생각이 성선택의 기초가 된다. 암수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곤충은 아주 약간의 예외는 있지만 많이 장식되어 있고 그 종이 속해 있는 보통의 유형과 차이를 보이는 것이 수컷이다. 또 이성을 열심히 찾아다니는 것도 수컷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