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1년에 경기도 개풍군에서 태어나 세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소학교 입학 전 어머니, 오빠와 함께 서울로 상경했다. 숙명여고를 거쳐 서울대 국문과에 입학했지만, 육이오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했다. 1953년 결혼해 평범한 주부로 살며 1남 4녀를 두었고, 1970년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에 『나목』이 당선되어 불혹의 나이로 문단에 데뷔했다. 사회를 바라보는 날카롭지만 따듯한 시선과 진실된 필체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러던 1988년 하나뿐인 아들을 갑작스럽게 잃는 참척의 고통을 겪었고, 이를 일기로 써 내려간다. 그 일기를 엮은 『한 말씀만 하소서』는 자식을 잃은 애끓는 마음과 세상과 신을 향한 원망이 날것 그대로 표현되어 있어 같은 아픔을 겪은 사람들을 깊이 위로해 준다. 더 나아가 삶을 향해 다시 발을 내딛는 모습은 인간 존재의 의미까지 생각하도록 이끈다.
2011년 1월 담낭암으로 타계할 때까지 40여 년간 80여 편의 단편소설과 15편의 장편소설을 쓰며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해왔으며, 이외에도 동화·산문집·콩트집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두루 남겼다. 특히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사랑을 무게로 안 느끼게』는 에세이스트로서의 박완서의 면모를 발견하도록 하는 작품이다.
한국문학의 거목으로서 한국문학작가상(1980), 이상문학상(1981), 대한민국문학상(1990), 이산문학상(1991), 중앙문화대상(1993), 현대문학상(1993), 동인문학상(1994), 한무숙문학상(1995), 대산문학상(1997), 만해문학상(1999), 인촌문학상(2000), 황순원문학상(2001) 등을 수상했다. 2006년 호암예술상, 서울대학교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타계 후 금관문화훈장을 추서받았다.
펼치기
김민령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화와 청소년소설을 쓴다. 쓴 책으로는 청소년소설 『오늘의 인사』 『누군가의 마음』, 동화 『나의 사촌 세라』가 있다. 『외로움의 습도』 『사랑의 입자』 『중독의 농도』 『존재의 아우성』 『관계의 온도』 『복수는 나의 것』 등의 청소년 단편집에 공저자로 참여했다.
펼치기
최양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몬스터 바이러스 도시』로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지도에 없는 마을』로 창비 ‘좋은 어린이책’ 공모 대상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너의 세계』 『밤을 건너는 소년』 『미식 예찬』 『용의 미래』 『별과 고양이와 우리』 『달의 방』 『세대주 오영선』 『그 애 집은 어디일까』 『그림자 나비』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인아 (그림)
정보 더보기
엄마가 매번 갈아 주신 벽지에 그림을 그리며 자랐습니다. 그림이라는 언어로 나누는 대화가 즐거워 아직도 계속 그리고 있습니다. 이응 3개가 꽉꽉 들어가서 나는 발음이 귀여운 ‘잉아*'를 예명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곳에 한 아이가 있었다』(어린이작가정신, 2015), 『카메라와 워커』(창비, 2024), 『나의 낯선 가족』(창비, 2024), 『2024 봄 우리나라 좋은동화』(열림원어린이, 2024) 등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주변을 향한 관심을 모아 만든 『잉아의 순우리말 그림 사전』은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 첫 책입니다.
*잉아[잉아]: 「명사」 베틀의 날실을 한 칸씩 걸러서 끌어 올리도록 맨 굵은 실.
≒ 잉앗실, 종사
펼치기
시호 (그림)
정보 더보기
하고 싶은 일이라서 일러스트레이터를 시작한 만큼, 나의 즐거움과 감성을 조금이나마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무심코 지나가는 일상의 소소한 웃음과 감성을 간결한 선으로 표현했기에, 독자들이 그림을 통해 바쁜 삶 속에서 잠시나마 미소를 지었으면 합니다.
www.grafolio.com/thesiho
펼치기
파이 (그림)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하고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 중입니다. 여러 사보와 포스터, 음악 앨범 등에 그림을 실었습니다. 그동안 표지를 그린 책으로 『샹들리에』 『이상한 동거』 『그 여름의 크리스마스』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