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36483227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07-10-20
책 소개
목차
간행사 / 간행위원회
작가 선우휘와 마주 앉다 / 선우휘 백낙청
근대소설?전통?참여문학 / 김동리 백낙청 백철 전광용 선우휘
시집 『농무』의 세계와 한국시의 방향 / 김우창 김종길 백낙청
리얼리즘과 민족문학 / 유종호 백낙청
‘창비’ 10년: 회고와 반성 / 신동문 이호철 신경림 염무웅 백낙청
민족의 역사, 그 반성과 전망 / 이우성 강만길 정창렬 송건호 박태순 백낙청
어떻게 할 것인가 / 김우창 백낙청 유종호
하나의 세계를 지향하는 한민족의 이상 / 홍현설 성내운 최동희 이호재 백낙청
분단시대의 민족문화 / 강만길 김윤수 리영희 임형택 백낙청
한국기독교와 민족현실 / 박형규 백낙청
학생 독자들과의 좌담 / 최규덕 주종택 황인하 백낙청
오늘의 여성문제와 여성운동 / 이효재 이창숙 김행자 서정미 백낙청
1980년대를 맞이하며 / 서남동 송건호 강만길 백낙청
해설 / 염무웅
찾아보기
참가자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대에서 우리의 복잡한 삶을 지적으로 정리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 중 하나가 사회과학적인 탐구방법이라고 생각하빈다. 그래서 제 주장은 어디까지나 사회과학과 문학이 다루는 모든 분야의 상호연관성을 염두에 두고, 사회과학적인 지식이 문학에 도움을 주고 또 문학은 사회과학에 도움을 주도록 해나가자는 것인데요, 이것은 하나의 상식이라고 생각합니다.-1권 p21-22 중에서
...옛날에도 리얼리즘 요소를 가진 작품은 많이 있었지만 고전주의 이념은 실재하는 사실과 현실에 대한 관심은 일반적인 진실의 인식과 대비되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근대에 들어오면서는, 물론 개별적인 사실에 집착할 때는 자연주의로 떨어지고 전형적인 현실을 아는 데 방해가 되지만 개별적인 사실에 대한 과학적인 인식을 떠나서는 일반적인 진실이 불가능하다는 뭔가 새로운 인식이 있는 것 같아요.-3권 p211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