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651302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8-08-14
책 소개
목차
편집자 서문
감사의 글
서론: 우치무라 간조의 간략한 일대기/ 시부야 히로시 1
제1부 역사적 맥락과 사회 사상
1. 세계를 위한 일본/ 앤드루 바르쉐이
2. 우치무라 간조와 미국의 기독교적 세계관/ 오야마 쓰나오
3. 우치무라 간조와 평화주의/ 다카하시 야스히로
4. 예언자적 민족주의: 하나님과 일본 사이의 우치무라/ 야규 구니치카
5. 우치무라 간조의 애국심이 남긴 유산: 쓰카모토 도라지와 야나이하라 다다오/ 쇼기멘 다카시
제2부 성서 연구와 신학 사상
6. 우치무라 간조의 성서 연구 방법/ 미우라 히로시
7. 우치무라와 무교회주의/ 시부야 히로시
8. 《구안록》에 나타난 우치무라의 속죄관/ 이경애
9. 《로마서 연구》에 나타난 우치무라 간조의 칭의론: 로마서 3장 19-31절의 의미론적 분석/ 치바 케이
10. 우치무라 간조와 속죄적 종말론: ‘십자가교’에 대하여/ 치바 신
기고자들
역자 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1890년대 중반부터 수십 년에 걸쳐 우치무라는 조국이 ‘공식적으로’ 거짓된 하나님을 숭배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달리 말하면 현실의 일본의 모습이 역사와 섭리의 장에서 잘못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은 공정한 국가 독립의 추구와 (적어도 잠재적인) ‘예언자’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 제국으로서의 길을 선택했고, 세계 ‘제일의 강국’이라는 위상에 도달하려고 노력했다. 이는 현재의 ‘영광’을 위해 미래의 약속을 저버린 것이고, 일본의 과거에 대한 배신이라는 점에서 이중적인 배반인 것이다.
1장_ “세계를 위한 일본”
우치무라의 평화주의는 우리 세대의 위대한 유산이다. 우리 세대는 여전히 국제 평화와 정의로 가는 길에서 벗어나 있다. 평화주의적 사고를 전개할 때 그는 깊은 자기 성찰을 하게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그는 자기 안에 있는 ‘회개의 마음과 상한 영혼’ 을 발견했다. 무저항주의는 우치무라가 공적 생활과 사적 생활에서 보 였던 용감하면서도 온유한 태도에 기인했다. 우치무라의 무저항주의가 간디와 킹 목사가 주장한 시민 불복종 개념에 비해 광범위한 사회정치 적 변화를 호소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 그러나 인 간관계에서 드러나는 우치무라의 온유하고 겸손한 태도는 현대의 대중 운동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3장_ 우치무라 간조와 평화주의
애국심에 대한 1920년대 우치무라의 논의는 이사야서와 예레미야서에 관한 연구에 근거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기독교 설교자로서 우치무라는 그 두 책을 반복하여 다루어 왔다. 그러나 말년에 들어 그는 이 두 예언자를 애국자라고 강조했다. … 실제로 우치무라는 1909년에 이미 신약성서를 편애하는 일본인들을 비판했다. 그는 구약성서가 신약성서만큼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구약성서가 ‘애국심 함양에 필요’하다는 것이 원인의 하나이기도 했다. 구약성서는 우치무라에게 ‘애국심의 중요한 원천’이었다. 우치무라에 의하면, 구약성서를 무시하는 것은 역으로 일본 기독교를 너무 ‘개인주의화’해서 일본인들로 하여금 국가 구원에 무관심하게 한다는 것이다.
5장_ 우치무라 간조의 애국심이 남긴 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