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37404931
· 쪽수 : 972쪽
· 출판일 : 2025-08-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김기림 전집』을 새로 펴내며
1부 『시론』(백양당, 1947)
서
방법론 시론-시학의 방법/시와 언어/과학과 비평과 시/비평과 감상
30년대의 소묘-우리 신문학과 근대 의식/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1933년 시단의 회고/30년대/도미의 시단 동태
감상에의 반역-시와 인식/시의 방법/시의 모더니티/현대시의 표정/새 인간성과 비평 정신/기교주의 비판/시와 현실/시의 회화성/감상에의 반역/시의 난해성/객관세계에 대한 시의 관계/시의 르네상스/프로이트와 현대시
우리 시의 방향-우리 시의 방향/공동체의 발견/『전위시인집』에 부침/시와 민족
오전의 시론-현대시의 주위/시의 시간성/인간의 결핍/동양인/고전주의와 로맨티시즘/돌아온 시적 감격/각도의 문제/용어의 문제/의미와 주제
2부 『시의 이해』: I. A. 리처즈를 중심하여(을유문화사, 1950)
머리말
제1장 시의 비밀/제2장 심리학은 어디까지 갔나/제3장 시의 경험/제4장 시의 경험의 성립/제5장 시의 효과/제6장 시의 과학의 쓸모/부록: I. A. 리처즈 비판/I. A. Richards의 저서 목록 및 인용 약호
3부 『문학개론』(문우인서관, 1946)
서문/재판을 내면서/I 어떻게 시작할까/II 문학의 심리학/III 문학의 사회학/IV 문학의 장르/V 비평문학/VI 세계문학의 분포(상)/VII 세계문학의 분포(하)/VIII 문학과 예술/IX 현대문학의 제 과제/X 우선 무엇을 읽을까 /세계문학 기초 서목
부록-1 문학의 해석과 이해/2 문맥/3 장면/4 가치의 상대성
4부 미수록 평론
1
오후와 무명작가들-일기첩에서/시인과 시의 개념-근본적 의혹에 대하여/최근 해외 문단 소식-하이네의 동상 문제/노벨문학상 수상자의 프로필/표절 행위에 대한 저널리즘의 책임/피에로의 독백-포에지에 대한 사색의 단편/취상-식전의 말, 우리의 문학/인텔리의 장래-그 위기와 분화 과정에 관한 소연구/상아탑의 비극-사포에서 초현실파까지/『홍염』에 나타난 의식의 흐름/청중 없는 음악회/32년 문단 전망-어떻게 전개될까? 전개시킬까?/로맹 롤랑과 「장 크리스토프」/김동환론/현 문단의 부진과 그 전망/신문소설 올림픽 시대/서클을 선명히 하자/비평의 재비평-딜레탕티슴에 항하여/스타일리스트 이태준씨를 논함/「무기와 인간」 단평/최근의 미국 평론단-그랜빌 힉스, 《뉴 매시즈》지에서/예술에 있어서의 리얼리티·모럴 문제/모윤숙 씨의 리리시즘-시집 『빛나는 지역』을 읽고/여류 문인 편감 촌평/문예 시평/현대시의 발전
2
장래할 조선 문학은/신춘 조선 시단 전망/시대적 고민의 심각한 축도/을해년의 시단/『사슴』을 안고-백석 시집 독후감/『정지용 시집』을 읽고/걸작에 대하여/민족과 언어/고 이상의 추억/「심문」의 생리/『성벽』을 읽고-오장환 씨의 시집/촛불을 켜 놓고-신석정 시집 독후감/신춘 좌담회-문학의 제 문제/언어의 복잡성/문단 불참기-나의 문학 10년기/감각·육체·리듬-시단 월평/시인의 세대적 한계/20세기의 서사시-올림피아 영화 민족의 제전 찬/시의 장래/과학과 인류
3
건국 동원과 지식계급-좌담회/전진하는 시정신/정치와 협동하는 문학/낭독 시에 대하여/분노의 미학-시집 『포도』에 대하여/예술에 있어서의 정신과 기술/새 문체의 확립을 위하여/T. S. 엘리엇의 시-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체험의 문학/이상의 문학의 한 모습/민족문화의 성격/평론가 이원조 군, 민족과 자유와 인류의 편에 서라/문화의 운명-20세기 후반의 전망/소설의 파격-카뮈의 「페스트」에 대하여/시조와 현대-버림받는 시조의 재검토
부록
해설: 김기림 시론의 비평사적 성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