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30821207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3-12-10
책 소개
목차
▪작가의 말
1부 꼬마 신랑
꽃소식 / 꼬마 신랑 / 어머니와 책방 / 선림사 가는 길 / 키 작은 책꽂이 / 봄밤 / 작별 인사
2부 섣달그믐날
할아버지와 감나무 / 천자문 / 구멍 난 병풍 / 수영 금지 / 그해 겨울 / 나의 할머니 / 섣달그믐날 밤
3부 고향 마을 무과수다방
봉숭아꽃 물들이던 여름밤 / 백범일지 / 책벌레 / 가지꽃 / 스무 살 때 / 고향 마을 무과수다방 / 이주(梨珠) / 신춘문예의 꿈 / 잊을 수 없는 선생님
4부 헌책의 향기
내 마음속의 큰 산 / 빼앗긴 책 / 어떤 만남 그리고 헤어짐 / 헌책의 향기 / 헐어진 우리 집 / 자라내[鰲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글쎄, 아침에 나가보니 수선화가 두어 송이 벌어졌네.”
어머니가 전해주는 꽃소식이다. 노란 수선화가 피어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담장 아래로 여기저기 수북하게 돋아나던 이파리 가운데 꽃대궁이 올라왔는데 작년보다 좀 이르게 오늘 아침 꽃망울이 터졌다고 자랑이시다. 이른 봄날 아침 수선화꽃으로 어머니는 사뭇 즐거우신 모양이다. 어머니의 전화는 언제나 첫마디가 꽃소식이다. 하얀 목련이 꽃대궐을 이루었다고 전화하시면서, 건넛집 새댁이 딸애를 낳았는데 아기 울음소리만 들어도 너무 반갑고 고맙다는 말씀이다. 뜰 안 잔디밭 구석에 고개를 숙이고 피어난 할미꽃 이야기를 전하시던 어머니는 보름 전 세상을 떠난 솟재고개 너머 최씨댁 할머니 이야기로 이어간다. 아들이 보고 싶다는 말씀 대신에 모란꽃이 큰 잔치마당을 벌였는데 한번 내려오지 않겠느냐고 꽃으로 유혹하기도 한다. 담장으로 벋어 올라간 능소화꽃 이야기 끝에 선창가 장씨네 아주머니가 갑오징어 한 꾸러미를 보내왔다고 자랑이시다.
-「꽃소식」
섣달그믐날 밤새도록 집 안에 불을 밝혀두고 잠을 자지 않는 일을 요즘에는 별로 들어본 적이 없다. 집 안에 불을 밝히고 잠을 자지 않아야 잡귀가 집 안에 들어오지 못한다는 속설은 말할 것도 없고,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세어버린다는 이야기조차 기억하는 이가 그리 많지 않다. 촛불을 밝히며 섣달 그믐밤을 그렇게 조신하게 시간을 보내는 이들은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 지나간 한 해를 돌아보고 새해를 경건하게 맞아야 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리가 없는데, 이제는 제야를 밝히는 촛불조차 생각하기 어렵게 세상은 각박하다.
-「섣달그믐날 밤」
헌책방에서 구한 낡은 책, 하지만 내가 꼭 가지고 싶었던 귀한 책을 책상 위에 펼쳐놓았을 때의 기쁨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헌책은 누군가에 의해 버려진 것이다. 처음에는 돈을 주고 사서 소중하게 읽은 후 소용이 없어지면 내다 버린다. 헌책에서 묻어나는 것은 흘러간 시간의 내음만이 아니다. 그것이 돌고 돌아오면서 묻혀온 사람과 장소의 향취도 짙게 풍긴다. 나는 이 독특한 책의 냄새가 그리 싫지 않다.
헌책은 언제나 그 책을 샀던 사람의 이야기를 함께 안고 온다. 책의 속표지에는 당연히 처음 책을 산 사람이 자기 이름을 써놓았다. 어떤 책은 책을 산 날짜와 책방 이름까지 적혀 있다. 그리고 그 책을 샀을 때의 자기 결심이나 심정 등을 짤막한 문구로 ‘새로운 각오로!’라든지, ‘나의 청춘을 위해!’라고 적어넣은 것도 있다.
-「헌책의 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