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7411427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00-06-26
책 소개
목차
- 서문 ...5
1. 공간 체계의 기본 요소-'조춘'의 분석
1) 회화적 이미지 이론에 대한 비판
2) 공간의 이산적 단위들
3) 문학적 언술의 변별적 특징
2. 상과 하의 대립 구조-하늘과 땅
1) 수직과 수평의 공간 모형
2) '시일' 분석으로 본 청마 시의 기본 구조
3) 병렬법과 변이태
4) 상 / 하 분절과 그 변이태
3. 매개항과 삼원 구조
1) 다성 기호의 시적 기능
2) 산의 의미 작용과 상승 작용
3) <산>과 <나무>의 기호론적 차이
4. '旗빨'의 수직적 초월 공간
1) '旗빨'의 구조적 의미
2) '기'의 변형적 텍스트
3) 공간적 구조 전환의 원리
5. 공간의 차원과 그 계층론
1) '출생기'를 통해 본 공간 차원
2) 기호 공간 차원의 분류
3) 신체 공간의 기호 체계-'구름의 노래'
4) 집 주거 공간의 수직 구조 - '촉석루 소견'
5) 사회. 지리적 공간의 층위 - '부산도'
6) 자연. 우주론적 공간 - '안주의 집'
6. 수평 공간의 구조와 '내' 공간
1) 공간의 수평축과 그 분절
2) 내 / 외 공간
3) 비호 공간으로서의 집
4) 꿈의 '내' 공간 - '침대'와 눕다
5) 감각의 '내'공간
6) 기다림의 '내' 공간
7) 병의 부정 공간
7. 도주의 길과 '외' 공간
1) 도주 공간의 형성 과정
2) 도주 공간의 사회적 층위
3) '외' 공간으로서의 광야
4) 광야. 사막. 바다의 동형성
5) '외' 공간으로서의 바다
6) 섬의 고절
8. 탄생 공간으로의 돌아옴 : '歸故'
1) 제비의 공간성
2) 향수의 기호론적 구조
9. 경계 영역과 해체 공간
1) '춘신'에 나타난 세 개의 길
2) 역과 기차의 다의적 기호
3) 항구와 배
4) 우편국-편지의 경계 통로
10. 공간의 해체와 탈구조
1) 상 . 하 수직 구조의 해체-눈. 안개. 바람
2) 내 / 외의 수평 구조의 해체
3) 탈중심과 유동 공간
11. 결론 : 총체적 공간과 텍스트 형태
1) 수직의 길-동질적 결합
2) 이산적 결합. '對空射擊演習'의 수직 전환
3) 공간 요소의 총체적 결합
4) 분석 결과의 유효성과 그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