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본론 1 - 하 (2015년 개역판, 정치경제학비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고전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37604331
· 쪽수 : 574쪽
· 출판일 : 2015-11-20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고전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37604331
· 쪽수 : 574쪽
· 출판일 : 2015-11-20
책 소개
지난 여름 갑작스럽게 타계한 한국의 대표적 마르크스 경제학자 고 김수행 교수의 마르크스 <자본론> 전면 개역판. 자본주의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 착취와 억압의 체제를 넘어선 새로운 사회를 향해 나아가고자 했던 마르크스의 이론적, 사상적 정수를 담고 있다.
목차
제15장 기계와 대공업
제1절 기계의 발달
제2절 기계에서 생산물로 이전되는 가치
제3절 기계제 생산이 노동자에게 미치는 가장 직접적 영향
A. 자본이 추가 노동력을 취득. 여성과 아동의 고용
B. 노동일의 연장
C. 노동의 강화
제4절 공 장
제5절 노동자와 기계 사이의 투쟁
제6절 기계가 쫓아내는 노동자들에 대한 보상이론
제7절 기계제 생산의 발전에 따른 노동자의 축출과 흡수. 면공업의 공황
제8절 대공업이 매뉴팩처 ·수공업 · 가내공업에 미친 혁명적 영향
A. 수공업과 분업에 바탕을 둔 협업의 타도
B. 매뉴팩처와 가내공업에 대한 공장제도의 영향
C. 근대적 매뉴팩처
D. 근대적 가내공업
E. 근대적 매뉴팩처와 근대적 가내공업이 대공업으로 이행. 공장법의 적용이 이 이행을 촉진
제9절 공장법의 보건 ·교육조항. 영국에서 공장법의 일반적 확대 적용
제10절 대공업과 농업
제5편 절대적 ·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16장 절대적 · 상대적 잉여가치
제17장 노동력의 가격과 잉여가치의 양적 변동
제1절 노동일의 길이와 노동강도는 변하지 않는데, 노동생산성이 변하는 경우
제2절 노동일의 길이와 노동생산성은 변하지 않는데, 노동강도가 변하는 경우
제3절 노동생산성과 노동강도는 변하지 않는데, 노동일의 길이가 변하는 경우
제4절 노동의 지속시간, 생산성, 강도가 동시에 변하는 경우
A. 노동생산성이 저하하는 동시에 노동일이 연장되는 경우
B. 노동의 강도와 생산성이 상승하는 동시에 노동일이 단축되는 경우
제18장 잉여가치율을 표시하는 여러 가지 공식
제6편 임 금
제19장 노동력의 가치(또는 가격)가 임금으로 전환
제20장 시간급
제21장 성과급
제22장 임금의 국민적 차이
제7편 자본의 축적과정
제23장 단순재생산
제24장 잉여가치가 자본으로 전환
제1절 점점 확대되는 규모의 자본주의적 생산과정. 상품생산의 소유법칙이 자본주의적 취득법칙으로 바뀜
제2절 점점 확대되는 규모의 재생산에 관한 정치경제학의 잘못된 견해
제3절 잉여가치가 자본과 수입으로 분할. 절욕설
제4절 잉여가치가 자본과 수입으로 분할되는 비율과는 관계없이 축적의 규모를 결정하는 사정들. 즉 노동력의 착취도, 노동생산성, 사용되는 자본과 소비되는 자본 사이의 차액 증대, 투하자본의 크기
제5절 이른바 노동기금
제25장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법칙
제1절 자본의 구성이 변하지 않으면, 축적에 따라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
제2절 축적과 이에 따른 집적의 진행과정에서 가변자본 부분이 상대적으로 감소
제3절 상대적 과잉인구 또는 산업예비군이 점점 더 생김
제4절 상대적 과잉인구의 상이한 존재형태.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법칙
제5절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법칙을 증명하는 예들
A. 1846~1866년의 잉글랜드
B. 영국 공업노동자계급 중 낮은 임금을 받는 계층
C. 유랑민
D. 노동자계급 중 최고의 임금을 받는 계층에 대한 공황의 영향
E. 영국의 농업프롤레타리아트
F. 아일랜드
제8편 이른바 시초축적
제26장 시초축적의 비밀
제27장 농민들로부터 토지를 빼앗음
제28장 15세기 말 이후 토지를 빼앗긴 사람들에 대해 잔인한 법률을 제정. 임금을 인하하는 법령들
제29장 자본주의적 차지농업가의 탄생
제30장 공업에 대한 농업혁명의 영향. 산업자본을 위한 국내시장의 형성
제31장 산업자본가의 탄생
제32장 자본주의적 축적의 역사적 경향
제33장 근대적 식민이론
제1절 기계의 발달
제2절 기계에서 생산물로 이전되는 가치
제3절 기계제 생산이 노동자에게 미치는 가장 직접적 영향
A. 자본이 추가 노동력을 취득. 여성과 아동의 고용
B. 노동일의 연장
C. 노동의 강화
제4절 공 장
제5절 노동자와 기계 사이의 투쟁
제6절 기계가 쫓아내는 노동자들에 대한 보상이론
제7절 기계제 생산의 발전에 따른 노동자의 축출과 흡수. 면공업의 공황
제8절 대공업이 매뉴팩처 ·수공업 · 가내공업에 미친 혁명적 영향
A. 수공업과 분업에 바탕을 둔 협업의 타도
B. 매뉴팩처와 가내공업에 대한 공장제도의 영향
C. 근대적 매뉴팩처
D. 근대적 가내공업
E. 근대적 매뉴팩처와 근대적 가내공업이 대공업으로 이행. 공장법의 적용이 이 이행을 촉진
제9절 공장법의 보건 ·교육조항. 영국에서 공장법의 일반적 확대 적용
제10절 대공업과 농업
제5편 절대적 ·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16장 절대적 · 상대적 잉여가치
제17장 노동력의 가격과 잉여가치의 양적 변동
제1절 노동일의 길이와 노동강도는 변하지 않는데, 노동생산성이 변하는 경우
제2절 노동일의 길이와 노동생산성은 변하지 않는데, 노동강도가 변하는 경우
제3절 노동생산성과 노동강도는 변하지 않는데, 노동일의 길이가 변하는 경우
제4절 노동의 지속시간, 생산성, 강도가 동시에 변하는 경우
A. 노동생산성이 저하하는 동시에 노동일이 연장되는 경우
B. 노동의 강도와 생산성이 상승하는 동시에 노동일이 단축되는 경우
제18장 잉여가치율을 표시하는 여러 가지 공식
제6편 임 금
제19장 노동력의 가치(또는 가격)가 임금으로 전환
제20장 시간급
제21장 성과급
제22장 임금의 국민적 차이
제7편 자본의 축적과정
제23장 단순재생산
제24장 잉여가치가 자본으로 전환
제1절 점점 확대되는 규모의 자본주의적 생산과정. 상품생산의 소유법칙이 자본주의적 취득법칙으로 바뀜
제2절 점점 확대되는 규모의 재생산에 관한 정치경제학의 잘못된 견해
제3절 잉여가치가 자본과 수입으로 분할. 절욕설
제4절 잉여가치가 자본과 수입으로 분할되는 비율과는 관계없이 축적의 규모를 결정하는 사정들. 즉 노동력의 착취도, 노동생산성, 사용되는 자본과 소비되는 자본 사이의 차액 증대, 투하자본의 크기
제5절 이른바 노동기금
제25장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법칙
제1절 자본의 구성이 변하지 않으면, 축적에 따라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
제2절 축적과 이에 따른 집적의 진행과정에서 가변자본 부분이 상대적으로 감소
제3절 상대적 과잉인구 또는 산업예비군이 점점 더 생김
제4절 상대적 과잉인구의 상이한 존재형태.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법칙
제5절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법칙을 증명하는 예들
A. 1846~1866년의 잉글랜드
B. 영국 공업노동자계급 중 낮은 임금을 받는 계층
C. 유랑민
D. 노동자계급 중 최고의 임금을 받는 계층에 대한 공황의 영향
E. 영국의 농업프롤레타리아트
F. 아일랜드
제8편 이른바 시초축적
제26장 시초축적의 비밀
제27장 농민들로부터 토지를 빼앗음
제28장 15세기 말 이후 토지를 빼앗긴 사람들에 대해 잔인한 법률을 제정. 임금을 인하하는 법령들
제29장 자본주의적 차지농업가의 탄생
제30장 공업에 대한 농업혁명의 영향. 산업자본을 위한 국내시장의 형성
제31장 산업자본가의 탄생
제32장 자본주의적 축적의 역사적 경향
제33장 근대적 식민이론
리뷰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