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일반
· ISBN : 9788964452882
· 쪽수 : 758쪽
· 출판일 : 2025-02-14
책 소개
목차
편집자 일러두기 9
MEW 목차 15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1861~63년 초고) 제3분책
초고 목차 23
5) 잉여가치론 (계속) 25
g) 로트베르투스 25
키르히만에게 보내는 로트베르투스의 제3 서한:
리카도 지대론에 대한 반론과 새로운 지대론의 정립 25
이른바 리카도 법칙의 발견 역사에 대한 고찰 125
이제 마지막으로 로트베르투스에게 다시 돌아가 보자 165
h) 리카도 178
이윤, 이윤율, 평균가격 등에 대한 리카도의 서술 190
평균가격 혹은 비용가격 그리고 시장가격 221
리카도의 지대론 253
표에 대한 설명(574쪽) 278
A. 스미스의 지대론 366
리카도의 잉여가치론 401
1) 노동의 양과 노동의 가치 424
2) 노동력의 가치. 노동의 가치 428
3) 잉여가치 432
4) 상대적 잉여가치 446
5) 이윤론 455
이윤율 하락의 법칙 469
축적론 508
리카도의 잡록 588
총소득과 순소득 588
기계 592
보충설명 627
● 부속자료 차례
약어, 약호, 부호 목록 7
원문자료에 대한 기록 9
변경사항 목록/교정사항 목록/해설 15
처리 완료 목록 113
찾아보기
문헌 찾아보기 115
인명 찾아보기 123
리뷰
책속에서
잉여가치는 다름 아닌 비지불노동이다. 평균이윤 혹은 통상이윤은 다름 아닌 일정가치액의 자본이 실현하게 될 비지불노동량이다. 평균이윤이 10퍼센트라는 말은 100의 자본에 대하여 비지불노동이 10이라는 말 혹은 대상화된 노동이 자신의 1/10에 해당하는 액수의 비지불노동을지배한다는 말 이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따라서 잉여가치 가운데 평균이윤을 넘는 초과분이라는 말은 곧 어떤 상품(그 상품의 가격 혹은 그 가격 가운데 잉여가치를 이루는 부분)에 들어 있는 비지불노동의 양이 평균이윤(즉 상품의 평균가격 가운데 그것의 생산비를 넘는 초과분을 이루는)을 형성하는 비지불노동의 양보다 크다는 말이다. 모든 개별 상품에서 생산비는 선대자본을, 그리고 이 생산비를 넘는 초과분은 그 선대자본이 지배하는 비지불노동을 [나타]내며, 따라서 상품가격 가운데 생산비를 넘는 이 초과분의 비율은 주어진 크기의 자본(상품의 생산과정에서 사용된)이 지배하는 비지불노동의 비율이다. 그리고 특정 생산부문의 상품에 포함된 비지불노동이 이 비율과 같은지 같지 않은지는 여기에서 전혀 중요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