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63년 초고 제3분책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63년 초고 제3분책

(잉여가치론 2)

카를 마르크스 (지은이), 강신준, 이회진 (옮긴이)
길(도서출판)
8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2,000원 -10% 0원
4,000원
6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63년 초고 제3분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63년 초고 제3분책 (잉여가치론 2)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일반
· ISBN : 9788964452882
· 쪽수 : 758쪽
· 출판일 : 2025-02-14

책 소개

『잉여가치론』 제2권은 두 번째 초안인 <1861~63년 초고>에 포함되어 있다. 이 초고는 모두 23권의 노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잉여가치론』은 제6~15노트까지가 해당된다. 얼핏 시기적으로 볼 때, 이 초고는 『자본』으로 가는 선행 연구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실제로 이 초고의 상당 부분은 나중에 『자본』의 원고에 포함되기도 했다.

목차

편집자 일러두기 9
MEW 목차 15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1861~63년 초고) 제3분책

초고 목차 23
5) 잉여가치론 (계속) 25
g) 로트베르투스 25
키르히만에게 보내는 로트베르투스의 제3 서한:
리카도 지대론에 대한 반론과 새로운 지대론의 정립 25
이른바 리카도 법칙의 발견 역사에 대한 고찰 125
이제 마지막으로 로트베르투스에게 다시 돌아가 보자 165
h) 리카도 178
이윤, 이윤율, 평균가격 등에 대한 리카도의 서술 190
평균가격 혹은 비용가격 그리고 시장가격 221
리카도의 지대론 253
표에 대한 설명(574쪽) 278
A. 스미스의 지대론 366
리카도의 잉여가치론 401
1) 노동의 양과 노동의 가치 424
2) 노동력의 가치. 노동의 가치 428
3) 잉여가치 432
4) 상대적 잉여가치 446
5) 이윤론 455
이윤율 하락의 법칙 469
축적론 508
리카도의 잡록 588
총소득과 순소득 588
기계 592
보충설명 627

● 부속자료 차례

약어, 약호, 부호 목록 7
원문자료에 대한 기록 9
변경사항 목록/교정사항 목록/해설 15
처리 완료 목록 113
찾아보기
문헌 찾아보기 115
인명 찾아보기 123

저자소개

카를 마르크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18년 5월 5일 독일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을 마치고 1835년에 본 대학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했다. 아버지의 압박으로 베를린 대학으로 전학해 철학을 공부했다. 이곳에서 헤겔 철학을 연구하며 청년헤겔파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진보적 성향이 덜한 예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1842년 <라인신문>에서 일하기 시작해 편집장이 되었다. 마르크스는 사설을 통해 프로이센 정부와 언론의 검열을 매섭게 비난했다. 그 결과 신문은 이내 폐간됐다. 1843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해 정치경제학과 프랑스혁명의 역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때 <경제학·철학 초고> <헤겔의 법철학 비판> 등의 원고를 썼다. 파리에서 프로이센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쓰다가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이 무렵 <철학의 빈곤> <자유무역에 대하여>의 원고를 썼다. 1847년 파리에 거주하는 독일 출신 노동자를 중심으로 생겨난 조직 ‘정의 동맹’의 요청을 받고 강령에 해당되는 글을 작성했다. 바로 <공산당 선언>이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파리로 잠시 피신했다가 쾰른으로 돌아갔다. <신라인신문>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문을 재발행하기 시작했다. <임금노동과 자본>은 노동자를 일깨우기 위한 글로, 이 신문에 다섯 편으로 나뉘어 실렸다. 정부 탄압을 받던 <신라인신문>은 이내 기소당해 마르크스는 추방 명령을 받고 영국 런던으로 망명했다. 이곳에서 어려운 생계를 꾸리며 경제학을 연구했다. 1851년 유럽 특파원으로서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의 사정을 분석하는 기사와 사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후 몇 년간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정치경제학 비판> 등을 집필했다. 49세 되던 해에 《자본》이 출간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의 사회주의 자치정부인 파리 코뮌이 수립됐으나, 정부군 진압과 학살로 무너졌다.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의 기록과 의의를 적은 《프랑스 내전》을 썼다. 국제노동자연맹을 이끌며 아나키스트파와 내분을 겪기도 하고, 독일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강령을 비판하는 등 사회적 활동을 이어 갔다. 1883년 3월, 엥겔스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새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강신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4년 경남 진해에서 태어나 고려대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전공해 1991년 「독일 사회주의 운동과 농업문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독일 노동운동사를 연구했으며, 「베른슈타인 수정주의에 대한 새로운 이해」, 「독일 노동자 조직의 역사적 발전과정」, 「맑스 혁명주의의 실천적 유산」, 「4·19혁명 시기 노동운동과 노동쟁의의 성격」, 「기업별 협약의 산업별 협약으로의 이행 방안」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 『수정주의 연구 1』(이론과실천, 1991), 『자본의 이해』(이론과실천, 1994), 『노동의 임금교섭』(이론과실천, 1998), 『자본론의 세계』(풀빛, 2001), 『한국노동운동사 4』(공저, 지식마당, 2004), 『그들의 경제 우리들의 경제학』(도서출판 길, 2010), 『마르크스의 자본, 판도라의 상자를 열다』(사계절, 2012), 『오늘 '자본'을 읽다』(도서출판 길, 2014), 『공부의 신 마르크스 돈을 연구하다』(나무를 심는 사람들, 2014), 『수취인 자본주의 마르크스가 보낸 편지』(풀빛, 201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자주관리제도』(풀빛, 1984), 『마르크스냐 베버냐』(공역, 홍성사, 1984), 『자본 2·3』(이론과실천, 1988), 『사회주의의 전제와 사민당의 과제』(한길사, 1999), 『프롤레타리아 독재』(한길사, 2006), 『자본』(전5권, 도서출판 길, 2008~10), 『데이비드 하비의 맑스 '자본' 강의 1·2』(창비, 2011/2016), 『맑스를 읽다』(공역, 창비, 2014), 『마르크스의 『자본』 탄생의 역사』(도서출판 길, 2016), 『임금에 대하여』(도서출판 길, 2019), MEGA 제2부 제3권 제2분책인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63년 초고 제2분책. 잉여가치론 1』(도서출판 길, 2021) 등이 있다. 동아대 경제학과 교수로 있었으며, 같은 대학의 특임교수로 동아대 맑스엥겔스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았다.
펼치기
이회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에서 「생산력, 시간, 개인: 마르크스 공산주의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같은 대학교에서 2019년 1학기까지 철학과 강의를 했다. 그 후 동아대 맑스엥겔스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으로 2021년 8월까지 재직했고, 2021년 9월부터 “역사적 유물론의 뿌리로서 마르크스 역사철학: MEGA② Ⅰ-5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학술연구교수(A유형) 사업에서 지원을 받아 마르크스 역사철학을 재구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역사적 유물론의 원본으로서 마르크스 역사철학의 기원과 그 의미」, 「마르크스 역사철학의 이론적 기초로서 반철학과 비철학」, 「맑스의 인정 개념: 『경제학-철학 초고』와 MEGA② Ⅳ-2 「밀-발췌록」을 중심으로」, 「자연의 유물론과 생태 민주주의: 칼 맑스(K. Marx) 『경제학-철학 초고』와 코로나 이후 새로운 삶의 양식을 중심으로」(공동), 「독일이데올로기 문헌 논쟁사와 MEGA② Ⅰ-5 출판의 의미」, 「자연과 코뮌 Ⅰ: 코뮌의 기초로서 맑스의 자연 개념」, 「정치적 실천의 주체로서 프롤레타리아트와 다중」(공동)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잉여가치는 다름 아닌 비지불노동이다. 평균이윤 혹은 통상이윤은 다름 아닌 일정가치액의 자본이 실현하게 될 비지불노동량이다. 평균이윤이 10퍼센트라는 말은 100의 자본에 대하여 비지불노동이 10이라는 말 혹은 대상화된 노동이 자신의 1/10에 해당하는 액수의 비지불노동을지배한다는 말 이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따라서 잉여가치 가운데 평균이윤을 넘는 초과분이라는 말은 곧 어떤 상품(그 상품의 가격 혹은 그 가격 가운데 잉여가치를 이루는 부분)에 들어 있는 비지불노동의 양이 평균이윤(즉 상품의 평균가격 가운데 그것의 생산비를 넘는 초과분을 이루는)을 형성하는 비지불노동의 양보다 크다는 말이다. 모든 개별 상품에서 생산비는 선대자본을, 그리고 이 생산비를 넘는 초과분은 그 선대자본이 지배하는 비지불노동을 [나타]내며, 따라서 상품가격 가운데 생산비를 넘는 이 초과분의 비율은 주어진 크기의 자본(상품의 생산과정에서 사용된)이 지배하는 비지불노동의 비율이다. 그리고 특정 생산부문의 상품에 포함된 비지불노동이 이 비율과 같은지 같지 않은지는 여기에서 전혀 중요하지 않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