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고전
· ISBN : 9788937843396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07-07-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나는 왜 훈민정음에 매혹되었나
프롤로그 『훈민정음 해례본』은 어떤 책인가
1 문자의 새벽
문자혁명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날이 갈수록 빛을 발하는 문자
모든 계층을 연결하는 문자
세종, 훈민정음으로 백성을 교화하다
왕조의 정당성 및 표준 발음
2 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
진정한 대들보만이 제대로 된 집을 세운다
뛰어난 언어학자이자 조직가 세종
언어학의 발달과 새 문자 창제의 기반 조성
음악 발달과 문화 자주 의식, 소리 연구의 기초
과학의 발달과 보편성의 확보
인쇄술의 발달과 문헌 보급 정책의 기반
세종의 투철한 역사 의식과 통합 학문의 자세
3 훈민정음 창제와 완성을 도운 사람들
최만리 반대 상소 덕에 자세히 드러난 훈민정음 창제 과정
최만리와 세종 논쟁의 진실
훈민정음 창제를 도운 핵심 공로자들
통합 학자 세종과 다양한 학자들
4 훈민정음을 만든 원리와 풀이
훈민정음은 자연이요 과학이다
훈민정음 창제의 보물 창고, '제자해'
훈민정음을 만든 주요 원리
훈민정음은 그래픽 문자
훈민정음은 조화로운 문자
훈민정음은 과학
5 훈민정음의 보급과 발전
훈민정음 발전의 원동력은 모든 계층의 힘이었다
창제자와 협력자의 노력
지배층의 제도적 노력
왕실 여성의 제도적 언문 사용
백성들의 제도적 언문 사용
언문의 반제도적 사용과 의의
언문의 실용적 사용
에필로그 모든 알파벳의 진정한 꿈, 훈민정음
참고문헌
연표
리뷰
책속에서
기록을 보면, 남성 대신들과 왕실 여성이 한문이 아닌 언문으로 공문서를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다. 중전을 실질적인 권력자 또는 자신들과 같은 지배 권력으로 본 것이 아니라, 단지 높여야 할 '여성' 으로 보아 언문을 사용했다고도 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중전이 한문 해득 능력이 있었을 텐데도 언문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언문을 최소한 공적 소통 도구로선 인정한 셈이다. -본문 216쪽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이 1940년에 발견되기 전까지는, '훈민정음'을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만든 원리와 방법을 몰라 그 설이 분분했다. 그러다 보니 세종이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다가 문창살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 만들었다는 얘기가 널리 퍼지기까지 했다. 임금은 화장실에 가지 않고 매화틀이라는 도구를 가져다가 용변을 본다는 사실만으로도 반박이 가능한 설이었지만, 그 당시로 되돌아갈 수 없는 바에야 명쾌한 반박조차 어려웠다.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고서야 온전한 진실을 알 수 있었다. - 본문 14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