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327034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5-01-28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책을 펴내며
《훈민정음》 해례본의 짜임새
훈민정음 창제의 과학 원리
1부 정음(正音, 바른소리글자)
정음1ㄱ/정음1ㄴ/정음2ㄱ/정음2ㄴ/정음3ㄱ/정음3ㄴ/정음4ㄱ
2부 정음해례(正音解例, 바른소리글자 풀이)
제자해(글자 만든 풀이)
정음해례1ㄱ/정음해례1ㄴ/정음해례2ㄱ/정음해례2ㄴ/정음해례3ㄱ/정음해례3ㄴ/정음해례4ㄱ/정음해례4ㄴ/정음해례5ㄱ/정음해례5ㄴ/정음해례6ㄱ/정음해례6ㄴ/정음해례7ㄱ/정음해례7ㄴ/정음해례8ㄱ/정음해례8ㄴ/정음해례9ㄱ/정음해례9ㄴ/정음해례10ㄱ/정음해례10ㄴ/정음해례11ㄱ/정음해례11ㄴ/정음해례12ㄱ/정음해례12ㄴ/정음해례13ㄱ/정음해례13ㄴ/정음해례14ㄱ/정음해례14ㄴ
초성해(첫소리글자 풀이)
정음해례15ㄱ/정음해례15ㄴ
중성해(가운뎃소리글자 풀이)
정음해례16ㄱ/정음해례16ㄴ/정음해례17ㄱ/정음해례17ㄴ
종성해(끝소리글자 풀이)
정음해례18ㄱ/정음해례18ㄴ/정음해례19ㄱ/정음해례19ㄴ/정음해례20ㄱ/정음해례20ㄴ
합자해(글자 합치기 풀이)
정음해례21ㄱ/정음해례21ㄴ/정음해례22ㄱ/정음해례22ㄴ/정음해례23ㄱ/정음해례23ㄴ/정음해례24ㄱ/정음해례24ㄴ
용자례(낱글자 사용 보기)
정음해례25ㄱ/정음해례25ㄴ/정음해례26ㄱ/정음해례26ㄴ
정인지 서/254
정음해례27ㄱ/정음해례27ㄴ/정음해례28ㄱ/정음해례28ㄴ/정음해례29ㄱ/정음해례29ㄴ
《훈민정음》 해례본 영문 번역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나라 말이 중국 말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잘 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글 모르는 백성이 말하려는 것이 있어도, 끝내 제 뜻을 능히 펼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것을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쉽게 익혀 날마다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다. _ (세종 서문, 김슬옹 박사가 최초로 제시한 108자 번역)
이제 정음이 만들어지게 된 것도 애초부터 지혜를 굴리고 힘들여 찾은 것이 아니고, 단지 말소리의 이치를 끝까지 파고들었을 뿐이다. _ (정음해례 제자해)
정음 스물여덟 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첫소리글자는 모두 열일곱 자다. 어금닛소리글자 ㄱ(기)는 혀뿌리가 목을 막는 모양을 본떴다. 혓소리글자 ㄴ(니)는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떴다. 입술소리글자 ㅁ(미)는 입 모양을 본떴다. 잇소리글자 (시)는 이 모양을 본떴다. 목구멍소리글자 ㅇ(이)는 목구멍 모양을 본떴다. _ (정음해례 제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