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9844926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3-12-26
책 소개
목차
Ⅰ. 문화와 사유
1. ‘문화의 세기’에서의 문화 이해
2. 포스트모던 시대의 문화 양극성
3. 기독교의 배경으로서의 문화
4. 히브리적 사유와 헬라적 사유
5. 성(姓)과 이름
6. 가정 중심주의와 구심적 사유
7. 문화인류학적 성경 교육
8. 정보사회:한국인의 눈으로 보는 삭개오 이야기
9. 한국의 전통문화와 기독교문화
Ⅱ. 비유와 귀환
1. 예수님의 비유
2. 귀환의 성경적 의미
3. 한국인이 이해하는 귀환
Ⅲ. 탕자의 비유
1. ‘탕자의 비유’의 성경적 배경
2. 당시의 가족 구조와 탕자의 집
3. 자신의 유산을 요구한 당돌한 아들
4. 유산을 주어 보내는 아버지
5. 탕자가 간 먼 나라
6. 유산을 탕진한 아들
7. 탕자의 귀환
8. 아들의 지위를 회복시키는 아버지
9. 잔치를 베푸는 아버지
10. 또 다른 탕자인 맏아들
11. 하나님의 부성과 모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인은 돌아옴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는 민족이다. 한국인에게 ‘탕자의 비유’가 특별한 이유는 이 비유의 핵심이 집을 나간 아들이 아니라 집으로 돌아온 아들이라는 점 때문이다. 특별히 탕자는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온다. 다시 말하면 아버지의 집은 본래의 집이며, 본향(本鄕)이라는 하나님 나라의 은유를 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다시 돌아오는 것은 본향을 향한 신앙적 의지를 의미하며 나아가서 인간의 본성적 욕구를 뜻한다.
자신의 욕망과 뜻대로 아버지의 집을 나간 둘째 아들은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려서가 아니라 자신의 필요에 따라 집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아버지는 어떤 이유에서 집으로 돌아왔는지 묻지 않고, 돌아온 사실에만 관심을 가진다. 이와 같이 우리가 어떤 동기와 이유에서 예수를 믿었는지 따지지 않고, 예수를 믿어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는 사실에만 관심을 가지신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영원한 집에 들어오게 하시고, 자녀의 지위를 완전하게 회복하게 하신다.
율법은 하나님께서 그 당시의 필요에 따라 주신 규례이다. 그러나 율법은 완전하지 못하며 그리스도를 통한 은혜만이 율법을 완전하게 하는 대안이다. 은혜는 율법주의를 고치는 약이다. 율법과 은혜는 하나님의 구원을 온전하게 하는 두 가지 성품이다. 율법이 하나님의 부성이라면 은혜는 하나님의 모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율법만으로 구원을 이룰 수 없고 은혜가 필요하듯이 하나님의 부성과 모성은 우리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성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