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

정종미 (지은이)
미진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화의 재료와 기법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4080672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3-03-22

책 소개

우리 미술 속의 벽화와 불화, 민화의 조형 언어를 현대적으로 창출해내고 전통 재료를 이용한 독특한 채색 기법으로 한국미술의 지평을 넓혀온 화가 정종미의 책이다. 전통 회화에 대한 재료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안료의 미시적 분석과 전색제에 따른 물감의 종류별 특성, 기능, 사용법을 소개한다.

목차

추천사
머리말

제1장. 안료

1. 한국화 안료의 개요
2. 안료의 종류와 성질
1) 천연 안료
천연 석채 | 천연 수간채

2) 인공과 합성 안료
신석채 | 합성 석채 | 합성 분채 | 드라이 피그먼트 | 봉채/안채/편채 | 튜브물감

3. 안료의 입자와 발색
1) 안료 입자의 발색 원리
2) 한국화 안료의 종류와 입자별 크기
3) 한국화 물감의 종류와 입자별 크기

4. 색상별 안료의 특징
1) 흰색
합분 | 백악 | 고령토 | 수정말 | 방해말/대리석 가루 | 운모 | 경석 | 활석 | 티타늄 화이트 |
연분/연백/호분 | 바륨 화이트/블랑픽스 | 석고 | 규토

2) 황색
석황 | 황토 | 황색 분채 | 황단/장단 | 카드뮴 옐로 | 등황 | 황벽 | 치자 | 괴화 | 울금 |
인디언 옐로

3) 적색
주사 | 산호분 | 석간주 | 은주/진사/버밀리언 | 적색 분채 | 연단 | 카드뮴 레드 | 천초 |
홍화 | 소목 | 양홍/코치닐 | 연지벌레/랙

4) 녹색
석록 | 녹토 | 녹색 분채 | 동록 | 코발트 그린 | 프탈로시아닌 그린

5) 청색
석청 | 군청 | 남 | 청색 분채 | 울트라마린 블루 | 프탈로시아닌 블루 | 코발트 블루 |
망간 블루 | 프러시안 블루 | 세룰리안 블루 | 버디그리 블루

6) 갈색
대자 | 로 시에나 | 로 엄버 | 인디언 레드 | 라이트 레드 | 세피아 | 감즙 혹은 땡감 추출액 |
도토리 껍데기 추출액 | 호두 속껍질 추출액 | 그 밖의 갈색 안료

7) 자색
울트라마린 바이올렛 | 코발트 바이올렛 | 마스 바이올렛 | 망간 바이올렛 | 모브

8) 흑색
흑석지/석묵 | 스피넬 블랙 | 아이언 옥사이드 블랙/마스 블랙 | 백초상 | 석류흑 | 송연흑 |
유연흑 | 오배자 | 흑칠/옻칠 | 램프 블랙 | 차콜 | 본 블랙/아이보리 블랙 | 카본 블랙 | 그 밖의 합성 흑색 안료

9) 금속성 안료
금박과 은박 | 금니와 은니 | 쇄금

5. 안료 사용법
1) 안료의 종류별 사용법
2) 안료 개는 법
3) 물감 제조와 채색 기법
흰색 안료 | 황색 안료 | 적색 안료 | 녹색 안료 | 청색 안료 | 갈색 안료 | 자색 안료 |
흑색 안료

제2장. 먹

1. 먹의 개념
2. 먹의 기원
1) 한국의 먹
2) 중국의 먹
3) 일본의 먹

3. 먹의 종류
1) 송연묵
2) 유연묵
3) 칠연묵
4) 안색묵과 청묵
안색묵 | 청묵 | 채묵
5) 액상묵

4. 먹의 제조
1) 먹 제조의 과정
우량 그을음의 선택 | 우량 교의 선택 | 약재의 선택 | 교 섞기 | 찌기 | 찧기 | 중량 재기 |
단련하기 | 그늘에서 말리기 | 광 먹이기
2) 먹 제조의 실제
유연묵 제조법 | 송연묵 제조법

5. 묵채와 묵립
1) 묵채
2) 묵립
불꽃과 먹색 | 입자 크기와 먹색 | 생묵과 먹빛

6. 수묵화와 유연묵
1) 동양과 서양의 색 개념
2) 수묵화와 흑백화
3) 동양 회화사에서 유연묵의 역할

7. 먹의 선택과 사용
1) 먹의 선택
2) 먹의 사용

8. 벼루
1) 벼루의 기원
한국의 벼루 | 중국의 벼루
2) 벼루의 선택

9. 붓
1) 붓의 기원
2) 붓의 구조와 명칭
3) 붓의 종류
4) 붓의 제작
모필 제작 과정 | 초필 제작 과정
5) 붓의 선택
6) 붓의 사용법

제3장. 교

1. 전색제의 개념
2. 한국화의 전색제, 교
1) 교의 성분과 성질
2) 교의 종류

3. 교수 제조
1) 교의 친수화
2) 교의 용해
3) 교수의 보관

4. 교 포수
1) 포수의 개념
2) 교반수 만들기
3) 포수하기
정통식 교반수 포수 | 간편한 열 포수 | 다양한 바탕을 위한 교 포수 | 전색제에 따른 다양한 포수법

재료상 안내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정종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대구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고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뉴욕 파슨스 디자인 스쿨(Parsons School of Design)과 디외 도네(Dieu Donne) 종이 공방 등에서 수학했다.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에 재직했으며 색채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등에서 전통 미술 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우리 미술 속의 벽화와 불화, 민화의 조형 언어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콩댐 기법이나 들기름, 안료와 염료 등을 이용한 독특한 채색 기법으로 <몽유도원도> 연작, <어부사시사> 연작 등의 현대적 산수화를 시도했고, 한지를 새롭게 해석한 <종이 부인> 연작, <여성성에 바치는 헌사> 연작으로 한국화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왔다. 국내외에서 25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초대 기획전을 가졌다. 2001년 ‘제13회 이중섭 미술상’, 2012년 ‘제13회 이인성 미술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우리 그림의 색과 칠』(2001), 『KSH 재료기법 활용 매뉴얼』(2017)이 있다.
펼치기
정종미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미술은 음악, 문학과 달리 재료와 물성을 통한 표현이다. 그러므로 미술은 물성인 재료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통해 비로소 완전해질 수 있다. 음악은 소리의 파장으로, 문학은 언어로 감성을 드러낸다면 미술은 안료와 전색제 등의 물질을 통해 소통한다. 회화는 각 장르마다 각각의 포수법, 전색제, 마감재까지 일련의 유기적 관계 안에 있기 때문에 재료 기법이 양식을 결정하는 주요소가 된다. 조선의 초상화는 왜 비단이었으며, 왜 서양은 유화였고 동양은 교화였는지, 왜 서양에는 먹이 사용되지 않았는지 등 의문은 많다. 중국의 수묵화사는 유연묵의 발견에서 근거한 것으로 재료가 양식을 결정한 좋은 사례이다. 재료 기법의 근거와 발전 과정이 배제된 미술사는 온전하다고 할 수 없다. -머리말


동양화와 서양화를 막론하고 전통 회화는 화가가 직접 안료와 전색제, 물의 농도와 양을 가감하여 자신만의 색을 만들어내는 창의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었다. 매우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색료를 만들 수 있었으므로 재료를 다루고 기법을 연마하는 수련의 과정이 반드시 필요했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에는 대부분이 새롭게 만들어진 튜브물감을 주로 사용하게 되면서 편리함을 얻은 대신 표현력에서는 물론 보존적, 미학적 측면 등에도 한계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제1장 안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