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42363148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12-12-27
목차
상권
제1편 무속적 본유사상에 접속된 유학
제1장 고찰의 실마리 탐색
제2장 유학의 전입과 수요에 대한 성찰
제3장 본유사상, 유학 수용의 터전
제4장 유학의 본격적 수용
제5장 불교 등과 공존하던 유학의 기능
제2편 불교 견제적 유학의 기능
제6장 불교 우위 아래 유학의 기능
제7장 양반사회의 출발과 사학ㆍ사장의흥성
제8장 북송 학자들과의 교류와 성리학적 경향
제9장 무인정권의 성립과 유학계의 동향
제10장 고려의 초기 성리학 발흥
제11장 주희성리학의 도입과 그 응용
제12장 유불 교체기의 성리학 경향
제3편 성리학 시대 출발에서 난숙기까지의 정치ㆍ윤리사상
제13장 불교 배척과 정주학의 통치 이념화
제14장 성리학의 권선징악적 윤리관 정립
제15장 성리학 연구의 향도와 경학의 시발
제16장 성리학적 치세와 의리정신
제17장 주기ㆍ주리 성리학설의 본격화
제18장 성리학 난숙기의 대표적 사상
제19장 사단칠정론, 그 논변의 함의
제20장 성리학적 실학설과 사림정치관
제4편 예학시대 두 가지 실학적 사유
제21장 리기통합론의 시도
제22장 예학의 철저화와 당쟁적 예송
제23장 사회 개편적 제도개혁설의 제기
제24장 탈성리학적 경학사상의 두 선봉
제25장 성리학의 심성 수양적 실학
제5편 양명학과 서학의 도전 및 수요
제26장 육왕학계 심학의 독보적 탐구
제27장 인성ㆍ물성의 동이에 대한 탐구
제28장 서학 수용기 사상 변환과 치용적 실학관
제29장 성리설의 유기론적 편향과 발전
하권
제6편 성리학적 사유의 붕괴, 후기 실학의 발견 (18세기 중기-19세기 중기)
제30장 북학의 선구, 새롭게 변환된 사상체계
제31장 양반사회 비판과 후생적 실학의 지향
제32장 서학ㆍ천주교에 대한 성리학계의 대응
제33장 탈성리학적 실학의 집대성
제34장 실학 사조 끝자락의 기철학
제7편 위정척사 지향의 주리론적 편향
제35장 유학 이념의 옹호와 제국주의 침략에 항거
제36장 주리적 심덕설에 담긴 의리적 의무관
제37장 리일원적 우주관의 심화와 그 함의
제38장 성리학적 심즉리설의 제창
제39장 항일 의병의 투쟁 양상
제40장 의병 정신에 담긴 민족의식
제8편 독립 지향의 개신 유학적 구상
제41장 유학의 종교화 풍조 대두
제42장 양명학 경향의 유교 개혁설
제43장 최초의 조선유교 역사서 저술
제44장 무정부주의 기치 아래의 유학관
제45장 조선얼 시각으로 파악한 실학과 양명학
제9편 유학의 현대적 가용성 탐구
제46장 체계적ㆍ통사적 한국유학사 저술의 효시
제47장 근대화 추진 초기 한국 유학계의 부활
제48장 한국유학 재인식에 의한 그 계발
제49장 현대 한국유학, 제3세대로의 진척
제50장 한국유학의 주요 특수성에 대한 총괄적 정리
부록 유학 윤리사상의 현대적 변환에 대한 한 구상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