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조선문명의 복식사

고조선문명의 복식사

박선희 (지은이)
지식산업사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100원 -5% 0원
1,900원
3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조선문명의 복식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조선문명의 복식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88942390502
· 쪽수 : 776쪽
· 출판일 : 2018-09-30

책 소개

한민족의 복식의 정체성이 중국이나 북방 계통이 아니라 고조선에서 형성된 것임을 주장해 왔던 저자는 이 책에서 만주와 한반도 지역의 출토 유물을 하나하나 세밀하게 분석, 그 논거를 더욱 정밀하게 다듬고 구체화시켜 나감으로써 고조선문명의 전후를 밝힌다.

목차

머리말 ………………………………………………………………………………… 5

제1부
복식과 제의문화로 본 홍산문화와 고조선문명 ∥ 15
제1장 복식과 제의에서 찾는 고조선문명의 정의와 범위 …………………… 17
1. 복식양식과 제의 유적으로 본 고조선문명 정의 _17
2. 복식양식과 제의 특성으로 본 고조선문명 범위 _30
제2장 복식과 예술로 본 홍산문화와 고조선 제의문화 ……………………… 46
1. 옥기양식의 지역별 특성과 제의 성격 _46
2. 홍산문화와 고조선 제의성의 문헌분석 _74
3. 관모와 장식단추에 보이는 제의 기능 _101
제3장 홍산문화 예술에 보이는 제의적 성격과 고조선 ……………………… 129
1. 채색기법의 성격과 문양의 상징 의미 _129
2. 악기와 인물상 패식에 보이는 제의성 _140
3. 홍산문화 유적 출토 인물상의 조형의지 _150
제4장 고조선복식과 제의문화권의 열국시대로의 계승 ……………………… 157

제2부
소하연문화 유적 출토 인형식의 복식양식 해석 ∥ 177
제1장 고조선 복식양식의 형성기 유물 시석(試釋) ………………………… 179
제2장 소하연문화와 고조선문화의 연관성 …………………………………… 182
제3장 인형식에 해석된 고조선 복식양식의 부분 …………………………… 194
1. 머리양식과 관모 _194
2. 웃옷과 아래옷 차림새 _199
3. 웃옷의 장식기법 _209
제4장 소하연문화에서 찾아본 고조선복식 원류 …………………………… 217

제3부
복식문화와 정치체제로 본 고조선문명의 지리영역 ∥ 219
제1장 문헌과 복식비교로 본 위만조선과 한사군의 위치와 성격 ………… 221
1. 문헌과 유물로 본 ‘조선후’와 준왕의 혈통 _221
2. 문헌과 유물로 본 ’조선후‘ 거주지와 조·연전쟁 _236
3. 평양지역 복식유물 특성으로 본 최씨낙랑국과 낙랑군 _269
4. 문헌과 복식으로 본 위만조선·한사군 영역과 성격 _280
제2장 복식과 정치체제로 본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위치와 성격 ………… 298
1. 위만의 고조선 망명과 ‘퇴결이복’ _298
2. 서한의 ‘서이등’ 봉건정치체제 성격 _307
3.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관료체제 고찰 _315
4. 고조선과 서한의 발식과 복식양식 비교 _320
5. 위만의 고조선 서부변경의 망명 요인 _327
제3장 고구려 평양성 천도와 요서진출로 본 위만조선과 한사군 ………… 330
1. 원대자 벽화묘 연대와 유물에서 찾는 묘주 국적 _330
2. 조양지역 묘들의 국적과 동천왕의 평양성 천도 _341
3. 원대자 벽화묘에 나타난 복식양식의 특징과 국적 _371
4. 벽화묘에 보이는 〈태양도〉와 〈흑웅도〉의 재해석 _386
5. 고구려 요서 수복에서 보이는 한사군 위치 재검토 _396

제4부
고조선 복식문화의 열국시대로 계승과 고조선문명의 확산 ∥ 403
제1장 일반복식으로 본 고조선 복식문명권과 고대사 체계 재정립 ……… 405
1. 고조선 복식재료의 열국시대로의 계승과 발전 _407
1) 가죽과 모피, 모직물 생산품의 고유성과 우리말 ∥ 410
2) 마직물 생산의 우수성과 생산품의 우리말 ∥ 422
3) 누에천 생산의 고유성과 생산품의 우리말 ∥ 443
4) 면직물 생산의 우수성과 생산품의 우리말 ∥ 477
2. 복식재료의 척도 비교로 본 고조선의 복식문명권 _485
3. 복식과 문헌으로 본 한국 고대사 체계의 재정립 _495
1) 복식자료와 양식의 특성연구에서 고대사를 찾는 길 ∥ 495
2) 《삼국유사》·《위서》에 보이는 고대사 체계 ∥ 500
3) 《제왕운기》·《고려사》·《세종실록》 고대사 체계 ∥ 504
제2장 특수복식 갑옷의 양식과 과학기술로 본 고조선 복식문명권 ……… 509
1. 비교연구를 통해 본 고조선 뼈와 가죽갑옷의 종류와 생산양식 _509
1) 고조선 뼈갑옷의 생산 양식과 특징 ∥ 511
2) 고조선 가죽갑옷의 종류와 생산 양식 ∥ 520
2. 비교연구를 통해 본 고조선 금속갑옷 기법과 합금기술의 과학성 _538
1) 고조선 청동갑옷의 종류와 기법 및 합금기술의 특징 ∥ 538
2) 철갑옷의 종류와 기법 및 합금기술의 특징 ∥ 564
3) 고조선과 서한제국 철갑 생산기법과 철갑기병 ∥ 581
제3장 특수복식으로 본 고조선 복식문명과 열국시대로의 계승과 발전 …… 590
1. 비교연구를 통해 본 동부여 갑옷에 보이는 고조선 갑옷 특징 _590
1)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뼈갑옷의 양식적 특징 ∥ 590
2)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청동갑옷과 철갑옷의 특징 ∥ 593
2. 비교연구를 통해 본 고구려 갑옷에 보이는 고조선 갑옷 특징 _606
1)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고구려 갑옷의 종류와 특징 ∥ 606
2)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고구려 말갑옷의 고유성 ∥ 636
3) 고구려 갑옷양식의 특징에서 찾아지는 평양성 ∥ 643
3. 한반도 남부에 보이는 고조선 갑옷 특징과 일본열도에 준 영향 _658
1)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백제 갑옷의 종류와 특징 ∥ 658
2)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가야와 신라 갑옷의 특징 ∥ 677

제5부
복식문화의 비교 연구로 본 고조선문명권의 성립과 계승 ∥ 707

참고문헌 ……………………………………………………………………………… 731

찾아보기 ……………………………………………………………………………… 763

저자소개

박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國立臺灣大學)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국립대만사범대학(國立臺灣師範大學)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학하다가 귀국하여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상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사회과학부 학부장, 교육개발센터 소장, 인문사회과학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대한민국학술원 기초학문분야 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된 《한국고대복식: 그 원형과 정체》와 《우리 금관의 역사를 밝힌다》, 《고조선 복식문화의 발견》, 《고구려금관의 정치사》, 《고조선의 강역을 밝힌다》(공저), 《고대에도 한류가 있었다》(공저), 《신라인의 생활과 문화》(공저), 《동아시아의 지역과 인간》(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