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42609819
· 쪽수 : 286쪽
· 출판일 : 2017-11-30
목차
Chapter 1 다문화 사회와 교육
1. 다문화교육의 이해
1) 다문화교육
2) 다문화교육의 개념 모형
3) 다문화주의의 역사
4) 국제이해교육
2. 한국의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과 현황
1)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2)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 아동 현황
3. 한국의 다문화교육 정책
1) 「다문화가족지원법」과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2) 여성가족부의 다문화 가정 학생 지원정책
3) 교육부의 다문화 가정 학생 지원정책
4) 통일부의 탈북학생 지원정책
5)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학교교육의 변화
4. 요약
Chapter 2 다문화 사회의 아동과 가족의 이해
1. 가족의 구조 및 형태의 변화
2. 가족의 유형
1) 맞벌이가족
2) 한부모가족
3) 재혼가족
4) 조손가족
5) 다문화가족
3. 가족 가치관의 변화와 다양성
4. 요약
Chapter 3 다문화 가정의 이해
1. 다문화 가정의 개념
1) 다문화 가정의 정의
2) 다문화 가정의 유형
2. 다문화 가정과 자녀의 특성
1) 다문화 가정 특성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특성
3. 다문화 가정의 적응 단계
4. 다문화 가정 부모를 위한 지원방안
5. 요약
Chapter 4 다문화 가정 부모교육
1. 다문화 가정 부모교육의 개념
2. 다문화 가정 부모교육의 필요성
3. 다문화 가정 부모교육
1) 국내 부모교육 프로그램
2) 국내 다문화 가정 부모교육 관련 선행연구
4. 요약
Chapter 5 부모교육 프로그램
1. 가정, 교육기관, 지역사회의 유기적 협력
1) 다문화 가정과 교육기관과의 유기적 관계 형성의 필요성
2) 다문화 가정, 교육기관, 지역사회와의 상호협력
2.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1) 민주적 부모교육 프로그램
2) 인본주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3) 부모 효율성 훈련(PET) 프로그램
4) 적극적 부모 역할 훈련 프로그램
3. 국내 부모교육 프로그램
4. 요약
Chapter 6 다문화 가정 부모의 역할과 자질
1. 다문화 가정 부모의 역할과 자질 계발
1) 가정과 부모
2) 바람직한 부모 역할
3) 부모 역할의 특성
2. 문화 적응과 부모됨의 발달단계
3.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효과적인 부모 역할 이해하기
1) 태내기의 부모 역할
2) 영아기/걸음마기의 부모 역할
3) 유아기의 부모 역할
4) 아동기의 부모 역할
5) 청소년기의 부모 역할
4. 부모됨의 준비와 부모 역할 및 자질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5. 효율적인 부모 역할을 위한 체계적 프로그램
1) STEP 프로그램의 구성원리
2) STEP의 가족모임을 위한 지침
3) STEP의 부모교육 방법
4) STEP 프로그램
6. 요약
Chapter 7 다문화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관계
1. 부모교육의 방향성과 양육태도
2. 부모의 효율적인 양육태도
1) 아버지에 대한 관점
2) 어머니에 대한 관점
3. 다문화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
1) 양육태도와 유형
2) 다문화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
4. 양육행동 및 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행동
2)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행동
5. 부모의 양육효능감
6. 부모-자녀 갈등 상황과 해결방안
7. 요약
Chapter 8 다문화 특수아동과 가정의 이해
1. 다문화 특수아동
1) 다문화 장애아동
2) 다문화 영재아동
2. 다문화 특수아동 가정
1) 다문화 장애아동 가정
2) 다문화 영재아동 가정
3. 요약
Chapter 9 부모상담
1. 부모상담의 개념 및 필요성
2. 부모상담의 유형
1) 개별상담
2) 집단상담
3) 전화상담
4) 인터넷을 이용한 상담
5) 가정방문 상담
3. 부모상담의 현황
4. 다문화 부모상담
1) 어머니용 프로그램
2) 아버지용 프로그램
5. 요약
Chapter 10 다문화 가정 부모교육의 실제 운영
1. 국내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1) 교육청
2) 학교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3) 학교 밖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2. 국외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1) 미국
2) 캐나다
3) 호주
4) 뉴질랜드
5) 독일
6) 일본
3. 다문화 부모교육 계획
1) 현장 요구 조사
2)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선정
3) 프로그램 교육방법 고안
4) 전문가 의견 반영
5) 실행
6) 평가
7) 유의할 점
4. 요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