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9190077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2-06-2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옮긴이 머리말
서론
내용중심 교육과정 소개
Joyce VanTassel-Baska
1장
통합교육과정 모델
Joyce VanTassel-Baska
2장
영재의 특성과 교육과정 요구
Elissa F. Brown
3장
저소득층과 소수인종의 영재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고려사항
Joyce VanTassel-Baska
4장
영어 영재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과정 고려사항
Susan Dulong-Langley
5장
영재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에 고차원적 사고 능력 적용
Tamra Stambaugh and Catherine A. Little
6장
통합교육과정 모델을 통한 실제 산출물 개발
Joyce VanTassel-Baska
7장
통합교육과정 모델에서 중요한 개념 사용
Catherone A. Little
8장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중심 평가
Joyce VanTassel-Baska
9장
영재 학습자를 위한 언어 교육과정 고려사항
Catherine A. Little
10장
영재 학습자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고려사항
Dana T. Johnson
11장
영재 학습자를 위한 과학 교육과정 고려사항
Alicia Cotabish
12장
영재 학습자를 위한 사회 과목 교육과정 고려사항
Molly M. Sandling
13장
영재 학습자들을 위한 세계 언어에 대한 교육과정 고려사항
Bronwyn MacFarlane
14장
예술 분야 영재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고려사항
Hope E. Wilson
15장 결론
교실과 학교에서 혁신적인 교육과정 및 교육 실행 구현
Joyce VanTassel-Baska & Catherine A. Little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VanTassel-Baska와 Catherine Little의 책 고차원적 학습 역량 향상을 위한 내용중심 교육(원제; ‘Content-Based Curriculum for High-Ability Learners’)의 머리말을 쓰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VanTassel-Baska는 1981년 그녀가 Northwestern University에 부임했을 때, 나를 영재 교육 분야에 입문하게 하였다. 나는 영재 교육에 굉장히 열정적이고 그 분야에서 존경을 받고 있는 분에게 지도를 받는 굉장한 기회를 갖게 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그녀는 나에게 전문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롤모델로서 역할을 해주었다. VanTassel-Baska의 지도 아래서, 나는 영재 교육에 대해 굉장히 열정적인 지지자가 되었다.
개념적 교육과정과 윌리엄메리대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VanTassel-Baska와 Catherine의 업적은 영재 교육 분야의 주요 업적이 되었고, 이 세 번째 판의 책도 계속해서 그런 업적을 잇게 되었다.
이 책의 첫 번째 판은 2003년에 출간되었다. 그 책의 제목은 영역(domain) 안에서 내용(content)과 학습(learning)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아주 중요하였다. 영재 프로그래밍의 너무 많은 부분에서 내용적인 면이 적었고, 도전적이고 실제적 주제 결여에 기술들만을 강조해 왔었다. 이 책의 장들은 영역 안에서 지식의 영역, 주요 개념, 그리고 이론적 배경이 어떻게 구조화되는가와 어떻게 영재 학생들을 위한 속진과 심화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실행할 것인가를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있다.
다른 저자들과 VanTassel-Baska는 그녀가 수십 년 전에 Northwestern University에서 시작한 영재 교육 센터를 위해 Center For Talent Development이라는 이름을 선택하였다, 현재는 재능 개발이라는 어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영재 교육 서비스를 위한 개념적 틀로 다루어진다. VanTassel-Basks와 동시대의 그녀 동료들은 35년 전에 영재 교육 영역에서 좀더 영역 초점 접근법으로 이동하였다. 하지만, 타이밍이 중요하듯이, 재능 개발은 영재 학생들을 위한 판별,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교수 등의 구조로서 자리 잡기 시작하고 있다.
이 책의 1판, 2판, 3판에 걸쳐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어 왔다. 그것들은 영재 교육 분야에서 재능 개발을 향한 변화를 반영하였다. 예를 들어, 1판보다는 2판이 영역 특정 재능 개발에 더 많은 강조하면서 특정 내용 영역에 좀더 많은 장을 할애했다. 세 번째 판은 저소득층과 소수인종 학생, 제2언어 학습자, 영재 학생들과 같이 특별 영재 학생 그룹에 의 좀더 많은 초점을 맞추었다. 그것은 재능 개발 틀에서 좀 더 넓은 학습자 범위와 영재성을 발굴하고 개발하기 위한 도전적인 교육과정 활용을 강조하는 것을 반영하였다. 자비치 지원으로 이루어진 VanTassel-Baska와 Catherine의 연구는 좀 더 넓은 범위의 학생들에게 재능 발현을 지원하기 위한 비계에 의해 지지하는 심화 교육과정 활용의 효과성을 입증했다. 3판의 책은 재능 개발 틀의 또 다른 중요한 좀의(즉, 재능 개발은 장시간의 과정으로 여겨지고, 하나의 영역으로서 영재 교육은 K-12이상의 영재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 사항들을 대변해야 한다)를 강조하는 고등교육 학교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하나의 장을 추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3판은 영재 교육 영역에서 시기 적절하고, 신선하고, 최신 연구와 이론에 기반하고 있다. 이 책은 영재 교육 분야를 위한 주류 자원이 될 것이다.
Paula Olzewski-Kubilius
Director, Center for Talent Development,
Professor, School of Education and Social Policy
Northwestern University
옮긴이 머리말
역자는 2019년에 미국 윌리엄메리대학교에 방문하여 통합교육과정 모델(Integrated Curriculum Model)을 기반으로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워크숍에 참여한 바 있다. 그 때 당시 이 저서의 편집자인 Dr. Joyce VanTassel-Baska가 근무하신 대학이라 이 책이 소개되었고, 그 내용이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역량을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들을 함의하고 있어 현재 한국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시사점이 있다고 여겨 한국에 돌아와 번역을 시작하게 되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사회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빠른 변화가 진행되고,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더 많은 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추세는 예측이 어려운 다양한 변화의 양상이 보임으로써 이런 변화의 시대를 살아 갈 학생들은 교육을 통해 단지 지식만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역량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의 습득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그들은 데이터를 수집, 분석, 평가, 해석할 수 있는 지식 정보처리 역량 뿐 아니라 이를 융합시켜 본인의 관점에서 새롭고 가치있는 것을 창조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은 학생들이 이러한 역량들을 기를 수 있도록 안내해 주는 귀중한 자원들 중 하나가 될 것이라 여겨진다.
본 책은 Dr. Joyce VanTassel-Baska와 Catherine A. Little이 편집한 Contents-based Curriculum for High Ability Learners를 번역한 것이다. 본 판은 1, 2판 거쳐 수정된 3판으로 통합교육과정 모델을 이론적인 기반으로 영재 학습자뿐만 아니라 저소득층, 소수 인종, 제2언어 학습자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내용중심 교육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특정 학습 영역-언어, 수학, 과학, 사회 과목, 예술, 및 세계 언어 학습-에서 내용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 실행, 평가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안들을 소개하고 있다.
급변하는 시대에 필요한 귀중한 책을 출판하게 너무나 기쁘게 생각한다. 책을 출간하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과 노력이 있었다. 먼저 번역 작업과 편집에 같이 해 주신 김정렬 교수님, 이신동 교수님, 전영주 교수님께 감사를 전한다. 번역 기간 동안 협력 작업과 가르침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고, 너무나 영광스럽고, 행복한 시간이었다. 또한 본 책이 출판되기까지 많은 도움을 주신 한국문화사 관계자 분들께도 많은 감사를 드린다.
역자진을 대표하여
방준
서론
모든 교육과정에 관한 책들은 교육과정 결정을 하게 될 믿음과 가치들에 대한 논의로 시작해야 한다. 이 책들은 어떻게 교육과정이 수업 시간에 해석되는가에 대한 합당한 설명, 교육과정이 무엇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주요 아이디어, 누가 그것을 설명해 왔는가에 대한 주요 인물들을 제공해야 한다. 이 책은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영재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현존하는 몇 가지 방법과 이 책의 틀로 사용된 통합 교육과정을 더 큰 스키마에 맞추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교육과정의 철학
학교 교육 세계는 무엇이 교육과정에서 중요한가에 대한 매우 다른 지향점을 나타낸다. 기본적인 움직임은 어떤 교육 철학들이 중요한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려고 시도해 온 것이지만, 현실에서는 그 기준들이 문제에 대한 혼란만 가져왔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철학들은 어떤 단계에서는 양립하기도 하고, 어떤 특정한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과정 결정에 대해 심사숙고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철학도 차별화되어 오랫동안 전체의 분야를 지배하지 못한다. 표 0.1은 존재론(ontology), 인식론(epistemology), 방법론(methodology), 가치론(axiology), 영향력 있는 선도적인 사상가 등의 다섯 가지 교육과정 패러다임을 나타낸다.
이 철학들은 현실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무엇이고, 어떻게 구성하고, 어떻게 학습자에게 그와 같은 교육과정을 전달하는가에 영향을 미쳐왔었다. 각각의 관점은 수업에서 교육과정이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우리의 사고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해 왔었다. 하지만, 지난 50년간 지배적인 접근법은 어떤 분야에서 학생들의 통달을 학습으로 생각하고, 그들이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핵심적인 영역에서 나이와 학년을 바탕으로 학습자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 관점은 9개월의 교육은 ‘9개월의 학습이다’라는 개념과 관련된 교육과정 기준들과 평가들에 대한 우리의 관심에서 잘 보여 진다. 교육과정에 대한 이러한 관점이 주를 이루는 한 다른 관점이 나타나는 것은 어렵다.
학습 영역들 안에서, 학술적 이성주의자 관점은 질적인 내용 표시의 인정. 고차원 기술 강조, 교육과 관련된 다른 부분에 중심인 개념들의 이해와 가치화 등과 같이 몇 가지 독특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교육과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채택하려는 노력으로써, 우리는 뇌 연구와 교육과정 접근법에 대한 사고의 영향을 인정해 왔었다. 우리는 실제 학습을 위해 분석의 단원으로 개인을 인정하고, 개인의 차이는 우리가 어떻게 학습을 위해 교육과정을 구조화하고 개정하는가에 만연해 있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따라서 구성주의 철학은 학생들이 스스로 의미를 만들어 내게 하는 접근법을 사용함으로써, 교수 단계에서 새로운 교육과정에 많이 쓰며있다.
마지막으로, 탈실증주의 성향을 고려하면 우리는 다른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다르게 학습한다고 제안하는 교육과정 철학은 사회 정의, 향상된 관계, 그리고 정체성 개발을 위한 협동학습을 강조하는 많은 차터스쿨(Charter School)에서 도입중이다. 다문화주의를 촉진하는 교육과정 관점은 소수자의 관점을 대신하여 현존하는 사회 질서를 발전시키거나 전복하기를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