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42817290
· 쪽수 : 530쪽
· 출판일 : 2008-05-26
목차
제1부 문헌자료의 활용과 해석
<원생몽유록>의 문헌수록 및 印行 과정
1. 서 론
2. 장릉지본 <원생몽유록>의 수록 및 인행 과정
3. 관란유고본 <원생몽유록>의 수록 및 인출 과정
4. <원생몽유록>의 소통양상
5. 남은 문제
<원생몽유록> 작자문제의 허실
1. 접근 방법
2. 조선조 독자의 작자인식과 그 흐름
3. 임제 저작설의 반성적 검토
4. 원호 창작의 가능성
5. 결 론
인흥군 瑛과 <취은몽유록>
1. 들어가며
2. 인흥군의 생애와 저술
3. <취은몽유록>의 제문제
4. <취은몽유록>의 창작동인과 세계관
5. 결 론
<운영전>의 연구성과와 그 전망
1. 연구사 서술방식의 문제
2. 연구사의 흐름과 그에 나타난 문제들
3. 결 론
제2부 소설 창작, 그 역사적 배경
<최척전>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1. 전제할 문제
2. 남원 유생 최척의 발자취
3. 선조.광해 연간의 문학동호회와 조위한
4. <최척전>에 담긴 창작의식과 주제
5. <최척전>의 소통양태와 의미
6. 결론 및 과제
원작 계열 <김영철전>의 발견과 그 자료적 가치
1. 들어가며
2. 이본 대비 및 원작 계열 확정
3. 홍본의 기타 이본적 특질과 의미
4. 원작 <김영철전>의 기타 특질
5. 결 론
<김영철전>의 형상화 방식과 작가의식
1. <김영철전> 텍스트의 문제
2. 갈등양상과 인물형상의 특징
3. 현실인식과 작가의식
4. 소설사적 위상
<동선기>의 작품세계와 소설사적 위상
1. 문제제기
2. 傳奇양식의 전통과 <동선기>
3. 통속적 성향과 의미
4. 전란기 사회현실의 비유적 형상화
5. <동선기>의 소설사적 위상
6. 결 론
제3부 소설사 보충을 위한 모색
<요해단충록>을 통해 본 명청교체기의 중국과 조선
1. 들어가며
2. 주요 서술시각 개괄
3. 작품에 나타난 명청교체기의 중국과 조선
4. 결 론
<금병매>를 통해 본 <사씨남정기>
1. 전환적 발상을 위하여
2. 인물형상화 방식과 그 사실성의 층위
3. 문제해결 방식과 그 미의식의 층위
4. 결론을 대신하여
18세기 궁경실학자 하빈 신후담과 <남흥기사>
1. 문제의 소재
2. 신후담의 학문적 생애와 저술
3. 패설.잡기류의 편찬 및 산삭과 그 의미
4. 文宣國에 대한 열망과 장편소설 <남흥기사>의 창작
5. 결론을 대신하여
하빈 신후담 연보
승정원일기 소재 소설 관련 기사 변증
1. 들어가며
2. <南征紀行>?<百花傳> 관련 기사 변증
3. <구운몽> 관련 기사 변증
4. <남계연담> 관련 기사 변증
5. 남은 문제
제4부 자료 발굴의 틈새
민간 소장 신 발굴 고전소설 타작
1. 녹우당본 <옥기린>의 자료적 가치
2. <리만영전> 소개
3. <화운전>에 대하여
중국 소장 한국 고전산문 자료 탐방
1. 북경대본 <사씨남정기>에 대하여
2. 북경대본 열하일기의 자료적 가치
3. 삽도본 <흑백기>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