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46035713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06-08-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도시란 /서순탁
제2장 도시공간의 구조와 형태 /황희연
제3장 도시의 공공공간 /이제선
제4장 도시의 외부공간 /구자훈
제5장 도시의 재개발과 재건축 /김현수
제6장 도시의 공원과 녹지 /최재순
제7장 도시의 그린벨트 /권용우
제8장 도시의 경관 /민범기
제9장 도시의 기후 /변병설
제10장 도시와 물 /현경학
제11장 도시의 안전 /김태환
제12장 도시의 교통 /서종국
제13장 도시의 정보화 /류중석
제14장 지역개발과 국토종합계획 /이경기
제15장 수도권 집중과 균형개발 /엄수원
제16장 주민참여와 마을만들기 /백기영
제17장 생태도시 만들기 /이재준
제18장 도시의 탐방 /김세용
도시 관련 사이트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안은 무엇일까? (...) 산업혁명 초기에는 도시에서 이뤄지는 많은 경제활동을 원활히 지원해 주는 교통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주문제였다. 따라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필수적인 교통시설의 공급에 주로 집중 투자하였다. 도로를 건설하고 주차장을 공급하는 등의 교통시설의 확충과 정비가 주된 과업이었다.
이후 1970년대와 1980년대는 주로 공급과 수요관리 정책이 특징적이다. 교통시설의 공급정책은 도시토지의 제한과 과도한 비용, 그리고 환경문제 등과 같은 문제가 제기되고 시설공급이 다시 수요를 증대시키는 악순환의 한계를 맞게 되었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기존 교통시설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교통체계 및 수요관리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다. 이미 투자된 교통시설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시설의 효율적 관리 운용과 적절히 교통수요를 관리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수단들로서 카풀 및 버스 전용차로제, 출퇴근 시차제, 주차요금의 차등화, 불법주차 단속강화, 일방통행제, 교차로 신호체계의 조정 및 개선 등의 방안들이 강구되었다. - 본문 19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