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강도시를 향하여

건강도시를 향하여

(사람, 장소, 그리고 도시계획의 정치)

제이슨 코번 (지은이), 강은정 (옮긴이)
한울(한울아카데미)
4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3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강도시를 향하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강도시를 향하여 (사람, 장소, 그리고 도시계획의 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46056428
· 쪽수 : 335쪽
· 출판일 : 2013-12-27

책 소개

특별히 도시계획 부문과 보건 부문의 협력에 관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코번은 도시계획과 보건행정의 뿌리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사실 그 뿌리가 같은 곳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목차

제1장 건강도시계획을 위한 몇 가지 도전들
1. 불건강하고 불평등한 도시들/ 2. 도시 거버넌스로서의 도시계획/ 3. 도시에서의 공중보건 증진/ 4. 국제적인 건강도시운동을 기반으로/ 5. 과학과 건강도시/ 6. 건강계획의 정치학을 향하여: 인구집단, 장소, 과정, 권력/ 7.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의 건강도시계획/ 8. 사례/ 9. 연구 방법/ 10. 책의 구성

제2장 도시계획과 공중보건의 뿌리를 찾아서
1. 도시계획과 공중보건의 비판적 역사에 대해/ 2. 1850년대부터 1900년대까지: 오염된 공기와 위생 도시/ 3. 190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세균 이론과 ‘과학적인 도시(City Scientific)’/ 4.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생의학적 모형과 병원성 도시/
5.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위기와 활동가 도시/ 6. 1990년대부터 21세기까지: 건강하고 형평적인 도시를 향하여

제3장 도시 거버넌스와 인간의 건강
1. 환경 평가와 건강/ 2. 환경적 건강검토의 정치/ 3. 도시 거버넌스로서의 계획 과정/ 4. 도시계획과 인간의 건강/ 5. 상품, 서비스, 그리고 보건의료/ 6. 사회적 연대와 배제

제4장 건강도시계획의 정치를 향하여
1. 제거에서 예방과 예방책으로/ 2. 장소에 대한 관계적 관점/ 3. 전문 직업화와 전문화에서 지역적 연대 형성으로

제5장 환경보건 실행의 틀 바꾸기
1. 환경보건, 계획, 그리고 사회적 정의/ 2. 건강도시계획을 위한 기초 세우기/ 3. 새로운 정부-지역사회 관계를 자극하는 환경적 정의/ 4. 지역사회 환경보건조사/ 5. 환경보건 형평성 제도화하기/ 6. 건강, 형평성, 지속 가능성에 대한 사업/ 7. 환경보건계획의 새로운 토대 건설하기

제6장 건강도시 개발
1. 건강도시 개발을 향하여/ 2. 건강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3. 건강평가와 계획 실행의 정치/ 4. 건강평가와 지역사회의 힘/
5. 개발 영향비와 지역사회 편익협정/ 6.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제7장 건강영향평가
1. 건강영향평가와 참여적 계획을 통합하기/ 2. 건강도시계획의 틀/ 3. 건강정책 입안의 목표들에 관한 논쟁/ 4. 정량화의 한계와 장소 기반의 의미들/ 5. 지역사회 건강 전문가들: 청소년, 노인, 근로자/ 6. 건강개발 측정도구/ 7. 건강도시의 비전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이슈의 틀 만들기/ 8. 광역시 지역으로의 정책 확산

제8장 건강하고 형평적인 도시 계획하기
1. 건강하고 형평적인 도시계획을 위한 눈에 띄는 도전들/ 2. 건강도시계획의 정치를 확장하기/ 3. 예방과 예방책/ 4. 새로운 측정 및 모니터링 네트워크들을 통한 과학의 공동 생산/ 5. 장소에 대한 관계적 관점/ 6. 도시 건강을 위한 실험실 관점과 현장 관점의 결합/ 7. 새로운 제도와 광역 지역의 연대 구축하기/ 8. 건강도시를 향하여: 미완의 교향곡

저자소개

제이슨 코번 (지은이)    정보 더보기
UC 버클리 대학교 환경디자인대학 도시·지역계획학과 부교수이다. <거리의 과학: 지역사회 지식과 환경보건 정의(Street Science: Community Knowledge and Environmental Health Justice)>로 2007년 도시계획대학연합이 수여하는 폴 데이비드오프 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강은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조교수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을 역임했으며, 건강도시 및 건강영향평가 분야에서 다양한 국내·국제 기관들의 자문 역할을 해왔다. 지은 책으로는 <건강영향평가: 과거의 성취, 현재의 이해, 그리고 미래의 진보(Health Impact Assessment: Past Achievement, Current Understanding, and Future Progress)>(2013, 공저), <한국사회와 국민건강>(2011, 공저), <2009년 건강영향평가 시스템 구축 및 운영>(2009,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람들이 살고 건강행동이 나타나는 사회적·경제적·물리적 조건들의 차이에서 주로 기인한다. ‘건강 불평등’은 ‘보건의료 불평등’ 이상이며……보건 자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한 가지 교훈은 불평등이 거의 모든 환경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찰은 특정 이슈에 상관없이 나쁜 건강은 공통적인 근본 원인들을 공유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정한 이슈들에 목표를 둔 전략들은 나쁜 건강의 이러한 근본 원인들, 즉 빈곤, 차별, 조악한 주거 환경, 기타 사회적 불평등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보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근본적으로, 건강 불평등을 제거하는 것은 사회적 정의에 관한 것이며, 이는 공중보건에 숨어 있는 철학이다(Karpati, 2004).


좋든 싫든, 현대 사회의 개발은 도시 성장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크게 의존하게 될 것이다. 도시는 환경을 보호하고 개선하며 인간 개발을 증진하기 위해 점점 더 정치적인 기구들의 적합성, 정부 기관의 성과, 그리고 사회적 배제와 싸우는 프로그램들의 효과성을 시험하는 장소가 될 것이다(UNCHS, 2001:1).


주거는 궁극적으로 쉼터 그 이상이다. 그것은 사회적 지위, 일자리로의 접근성, 교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거 분리는 자기-영속적(self-perpetuating) 인데 그 이유는 분리된 근린지역에서는 늘어난 빈곤으로부터 파생되는 해로운 사회적 결과들이 공간적으로 밀집되고……독특하게 불리한 환경이 조성되어 지리적으로,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나머지 사회로부터 점진적으로 고립되기 때문이다(Massey and Denton, 1999: 2).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