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59207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16-09-09
책 소개
목차
1부 개관 및 역사
1장 미디어 효과의 이해
2장 미디어 효과: 역사적 개관
3장 과학적인 미디어 효과 연구의 역사
2부 이론 및 개념
4장 사회인지이론
5장 기폭효과
6장 의제설정
7장 프레이밍
8장 배양효과
9장 이용과 충족
10장 설득
3부 주요 연구 영역
11장 미디어 폭력의 효과
12장 성적 내용의 미디어 효과
13장 불안감이나 공포감을 주는 미디어 내용에 대한 반응
14장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5장 건강에 관한 미디어 효과
16장 고정관념화의 효과
17장 어린이 교육 텔레비전 및 영유아 에듀테인먼트의 효과
18장 컴퓨터 게임 및 비디오 게임의 효과
19장 인터넷의 효과
20장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저자소개
책속에서
역사는 미디어 효과에 대한 사례로 가득 차 있다. 이러한 사례에는 새로운 미디어 기술의 확산으로 인한 변화, 권위자들에 의한 신문 탄압, 폭력적이거나 노골적인 성적 표현물에 대한 공중의 반응, 선동적인 자료 제작자들에 대한 반응, 공포감을 주는 미디어 내용에 대한 반응이 포함되어 있다. 역사를 통해 많은 성공적인 홍보 및 광고 캠페인이 수용자를 설득시키는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위력을 증명해주고 있다. _ 67쪽, 2장_ 미디어 효과: 역사적 개관
제한효과 모델은 1960년 조셉 클래퍼의 저서인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의 출판으로 확고히 자리 잡게 되었다. 클래퍼는 미디어 효과에 대한 포괄적인 일반화를 시도했는데, 흥미롭게도 5개의 일반화 가운데 2개만이 간접적인 효과를 언급했다. (중략) 특정한 새로운 이론과 연구 결과물은 제한효과 패러다임에 딱 들어맞지 않았다. 따라서 역사는 수정되어 중효과와 강효과가 실제로 가능함을 보여주는 새로운 연구들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처음부터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이 수용자들에게 미치는 ‘상당한’ 효과를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들이 대부분 과학적 방법과 전통적인 통계 모델을 토대로 쌓였다. _ 100쪽, 3장_ 과학적인 미디어 효과 연구의 역사
프레임은 사람들이 마음속에서 네 가지 결과(이슈 정의, 이슈의 원인 규명, 이슈의 함의 주목, 이슈 처리)를 초래할 수 있는 연관 작업을 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략) 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리드(lead), 즉 시작하는 문장과 제목만 다른 것 외에는 동일한 2개의 기사를 보여주었다. 한 기사의 제목과 리드 문단은 돼지를 사육하는 대규모 농장의 경제적 이득을 지지한 반면, 다른 기사는 그 같은 농장에 대한 심각한 환경적 우려를 지적했다. 그 기사가 프레임되는 방식은 대규모 돼지 농장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효과는 사람들이 그 기사를 읽은 지 수 주 후까지 유지되었다. 그러한 농장의 경제적 이득에 대해 읽은 사람은 농장을 지지했으며, 그러한 농장과 관련된 환경 문제에 대해 읽은 사람은 농장을 지지하는 정도가 훨씬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와 같은 연구는 저널리스트가 오직 이슈의 한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이슈의 모든 측면을 제시해야 하는 그들의 의무를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또한 그러한 연구는 기자들이 기사를 프레임하는 방식을 통해 공중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_ 180~181쪽, 7장_ 프레이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