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투표행태의 이해

투표행태의 이해 (반양장)

임성학, 조진만, 이동윤, 전용주, 최준영, 이소영, 조성대, 한정택, 엄기홍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16,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투표행태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투표행태의 이해 (반양장)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4606212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9-02-20

책 소개

한국에서 ‘투표행태’를 다룬 ‘최초의 교과서’이다. 선거와 투표는 정치학에서 비교적 발전된 분야로 인정받는데도 한국에서 이를 소개한 교과서를 찾기는 어려웠다. 이 책은 투표행태 분석과 관련한 여러 이론을 정리·소개하며, 이를 한국 실정에 적용해 이론의 적합성을 비판적으로 살핀다.

목차

머리글

서 문_투표행태,어떻게 이해할 것인가_전용주
제1장_유권자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투표행태: 사회학적 관점_임성학
제2장_사회적 균열과 투표행태, 그리고 정당체제: 정치사회학적 관점_이동윤
제3장_정당일체감과 투표행태: 사회심리학적 관점_한정택
제4장_합리적 선택 이론과 투표행태: 경제학적 관점_엄기홍
제5장_선거 이슈와 투표행태_최준영
제6장_인지구조와 투표행태,그리고 대중매체: 인지심리학적 관점_이소영
제7장_선거제도와 투표행태: 신제도주의적 관점_조진만
제8장_투표 참여와 기권_조성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임성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펜실베이니아주립(Pennsylvania State)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재직중.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은행해외매각과 금융개혁: 제일, 서울은행의 비교연구' 「국제정치논총 40」(2000) 등이 있따.
펼치기
조진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는 2004년 "정치체계의 특성과 의회 입법수행능력: 55개국 교차국가분석"이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취득하였다.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연세대학교 리더십센터 교육전문연구원,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정치학과 연구교수,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분야는 비교정치와 한국정치로 의회, 선거, 정당과 관련된 연구들을 주로 수행하였다. 최근 주요 연구물로는 『선거제도의 변화와 17대 총선』 (저서, 2006), 『매니페스토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 서구 25개국의 매니페스토 연구』 (역서, 2007), "국무총리 인사청문회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경험적 분석" (『Oughtopia』 2010)을 포함하여 다수의 논문들을 Electoral Studies, Pacific Focus, Korea Observer, Asian Perspective, 『한국정치학회보』, 『의정연구』, 『국가전략』 등의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펼치기
전용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캔자스 대학교(University of Kansas)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동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공저자로 참여한 『정치자금과 선거』(2004), 『현대비교정치이론과 한국적 수용』(2009), 『헌법개정의 정치』(2010), 『한국 지방자치의 현실과 개혁 과제』(2014), 『투표행태의 이해(개정판)』(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최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약력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Florida State University 정치학 박사 ◆ 주요 논문/저서 『견제와 균형: 인사청문회의 현재와 미래를 말한다』 (써네스트, 2013) “헌법재판소장,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에 나타난 정파적 특성” (『21세기정치학회보』, 2013) “경제적 불평등의 심화와 미국의 위기” (『동서연구』, 2013) “한국 공천제도에 대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한국정당학회보』, 2012)
펼치기
이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한 후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 정치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미국정치, 비교정치, 정치 커뮤니케이션이 전공분야다. 대표 논문으로는 「2012 한국 여성 유권자의 정치적 정향과 투표행태」(『한국정치학회보』 제47집 5호, 2013), 「풀뿌리 조직화와 2008 오바마 캠페인」(『미국학논집』 제43권 2호, 2011), 「대의민주주의와 소통: 미국 오바마 행정부 하의 의료보험개혁 사례를 중심으로」(『21세기정치학회보』 제20집 3호, 2010), “Regionalism as a Source of Ambivalence”(Korea Observer, 2009), 「의회개혁, 정당강화, 그리고 미국하원의 대표성」(『한국정치학회보』 제42집 4호, 2008) 등이 있으며, 공저로 『소셜네트워크와 정치변동』(2012), 『정치적 소통과 SNS』(2012), 『지속가능한 공존의 미래문화』(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조성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9년 12월 미주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현재 한신대학교 국제관계학부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선거학회와 한국정당학회의 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주요 연구물로는 “Issues, the Spatial Theory of Voting, and British General Elections: A Comparison of Proximity and Directional Models”(2003, Public Choice, with James W. Endersby), “부동층에 관한 연구: 19대 총선에서 정당선호, 선거쟁점과 투표 결정 시기”(2013, 『한국정치학회보』), “민주화 이후 한국 대통령선거에서 제3후보 현상과 선거연합에 관한 연구”(2013, 『선거연구』), “대통령제와 연립정부: 제도적 한계의 제도적 해결”(2012, 『한국정치학회보』, 홍재우·김형철과 공저), “균열구조와 정당체계: 지역주의, 이념, 그리고 2007년 한국 대통령선거”(2007, 『현대정치연구』) 등이 있다. 사회활동도 활발해 2015년 현재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의 소장의 역할을 맡고 있다.
펼치기
한정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북한연구원 전문연구원 연세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 저서와 논문: “The Political Information Environ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18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Korea Observer Vol. 45, No. 4(2014), 「남북한 젊은 세대의 통일의식 비교 분석」, <동서연구> 26(1)(2014), 「민주화 이후 호남의 소지역주의」, <현상과 인식> 37, 57-77(2013), 「현직자의 당적변경과 재당선」, <한국정치학회보> 45(2), 99-119(2011) 등
펼치기
엄기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학사 및 정치학 석사 University of Kentucky 정치학 박사 Harvard-Yenching Institute, Visiting Scholar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Fulbright Scholar 현) 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소장 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문위원회 자문위원 현) 대구광역시 정보화추진위원회 자문위원 <주요 논문> 「Democratization Effects of Campaign Contribution Limits in Gubernatorial Elections」 (공저) 「Generation Effects, To Be or Not To Be: Empirical Analyses of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Presidential Elections」 (공저) 「Contribution Limits and Disparity in Contributions between Gubernatorial Candidates」 (공저) 「노무현 대통령의 자주국방 인식: 노무현 대통령 연설문집 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한국 국회의원은 부패했는가?: 제19대 국회의원 재산자료를 통해 본 경험적 연구」 「고액 정치후원금의 정치적 대표성: 대통령선거 경선, 국회의원선거, 광역단체장선거 후보자 후원회에 관한 경험적 분석」 「한국 후원회의 정치자금 기부금 결정요인: 2004-2006년 기부금액에 대한 경험적 분석」 외 다수 <주요 저서> 『정치학 연구방법론으로의 초대: Stata로 따라하기』 『권위주의 체제, 선거 그리고 민주주의: 제5공화국의 선거들』 『한국 국회와 정치과정』 (공저) 『투표행태의 이해』 (공저)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