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52117540
· 쪽수 : 226쪽
· 출판일 : 2015-08-10
책 소개
목차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를 내면서·v
머리말·vii
제1장 통일의식의 비교 1: 민족적 당위와 현실적 이익 사이에서의 고민
〔조진만 · 한정택〕
1. 들어가며: 남북한 세대 변화와 통일 1
2. 기존 통일의식 조사 연구의 한계점과 주요 결과 3
3. 남북한 젊은 세대의 통일의식 분석 디자인 7
1) 분석틀 7
2) 연구모델과 변수 조작화 9
4. 남북한 젊은 세대의 통일의식 분석 14
1) 통일의 필요성 14
2) 통일비용 부담 22
3) 분석 결과에 대한 추가 논의 29
5. 나가며 31
제2장 통일의식의 비교 2: 전통적 가치관,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김새미〕
1. 들어가며 37
2.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적 특성과 전통적 가치관에 대한 인식 40
1) 북한의 사회문화적 특성: 집단주의적 성향과 가부장적 문화 41
2) 남한의 사회문화적 특성: 서구적 근대화 속에 발생한 개인주의
성향 44
3. 분석 46
1) 전통적 가치관의 수용 47
2)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57
4. 나가며 64
제3장 정치의식의 비교 1: 정부신뢰와 정부신뢰의 결정요소
〔이재철〕
1. 들어가며 69
2. 정부에 대한 신뢰 72
1) 개념 정의 72
2) 정부에 대한 신뢰를 결정하는 요인 74
3. 연구설계 79
1) 연구가설 79
2) 분석모형 79
3) 변수측정 80
4. 경험적 분석 82
1) 정부에 대한 신뢰 82
2) 정치만족 및 경제상황 인식 84
3) 사회문화 가치 86
4) 정치관심 및 정치적 효능감 87
5) 정부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8
5. 나가며 91
제4장 정치의식의 비교 2: 정파적 태도와 이념의 차이
〔한정택〕
1. 들어가며 95
2. 개념의 조작화와 변수 설명 99
1) 정당선호도 99
2) 주관적 이념성향 100
3) 통일의식 102
4) 정치적 태도 104
3. 정당선호에 따른 통일의식, 정치적 태도 106
1) 정당선호와 통일의식 108
2) 정당선호와 정치적 태도 114
4. 이념성향에 따른 통일의식, 정치적 태도 120
1) 이념성향과 통일의식 121
2) 이념성향과 정치적 태도 125
5. 나가며 129
제5장 물질주의 대 탈물질주의 의식의 비교
〔강원택〕
1. 들어가며 133
2. 탈물질주의와 세대 135
3. 분석 138
1) 민주주의 141
2) 정치적 효능감 144
3)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147
4) 경제발전과 민주주의 150
5) 누가 물질주의자이고, 탈물질주의자일까? 152
4. 나가며 155
참고문헌 159
찾아보기 171
Abstract 173
부 록
1. 남북한 젊은 세대 연구대상 집단의 분포 177
2. 설문지
[설문지 A] 남한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180
[설문지 B] 북한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