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88946065116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08-03
책 소개
목차
제1장 미국의 군사전략
1. 서론 | 2. 미국 군사의 영향 요인 | 3. 미국의 국가안보전략과 국방전략 | 4. 미국의 군사전략 | 5. 미국의 전쟁 수행 개념, GPR, 전쟁 방식의 특징과 평가 | 6. 국방비와 전력구조, 군사력 배치 | 7. 결론: 미국 군사전략의 평가와 전망
제2장 일본의 군사전략
1. 서론 | 2. 국가전략과 군사전략: 이론적 검토 | 3. 전후(戰後) 일본 안보체제의 형성과 특성 | 4. 탈냉전기 일본 안보체제 및 군사전략의 변화 | 5. 탈냉전기 일본 방위예산 및 군사력의 변화 | 6. 결론: 일본 군사전략 및 군사력 변화 평가
제3장 중국의 군사전략
1. 서론 | 2. 중국 군사의 영향 요인 | 3. 21세기 중국의 전략 환경 분석 | 4. 중국의 국방정책 및 군사전략 방침 | 5. 중국의 군사력과 국방예산 | 6. 결론
제4장 러시아의 군사전략
1. 서론 | 2. 러시아 군사의 영향 요인 | 3. 러시아의 전략 환경 분석 | 4. 러시아의 군사전략 | 5. 러시아의 국방개혁 | 6. 결론: 러시아 군사전략의 평가와 전망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렇다면 20세기 전반 일본판 산업혁명의 현장이었던 이들 공업 대도시에 이주해 온 조선인들은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이들 이주민 인구 집단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우선 한 가지 전제되어야 할 것은 당시 한반도가 제국 일본의 영토였다는 점이다. 조선인은 ‘외지인(外地人)’으로서 ‘내지인(內地人)’과 구분되기는 했고, 때로는 이주 인구 조절을 위한 도항 허가의 제한이나 검문검색 등 당국의 관리·통제 체제가 작동하기는 했으나, 식민지 제국 체제하에서 한반도와 일본열도는 본질적으로 국경의 장벽이 없는 ‘매끄러운 평면’으로 통합되어 있었다._ 제1장 ‘재일한인 1세대 집주 공간의 형성과 변천
이카이노 일대에 조선인 집주지가 형성되면서 1930년대부터 조선인들을 위한 상거래 공간이 자리 잡았으며, 주로 노점상들을 중심으로 1930년대 말 이카이노 일대에 ‘조선시장’이 형성되었다. 조선시장에는 갈비집이나 천엽집과 같은 조선식당은 물론이거니와 조선인들이 생활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풍부한 상품 시장이 조성되어 있었다. 이 일대에는 식료품부터 혼수용품까지 한인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점포 약 200개가 모여 있어 오사카 한인들이 운집하는 상업적·문화적 중심지가 형성되었다._ 제1장 ‘재일한인 1세대 집주 공간의 형성과 변천
공업 부문에 가장 많은 재일조선인들이 취업하고 있었다. 공업 부문 중에서는 금속 및 기계 기구 부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1930년대에 진행된 중화학공업의 발전과 전시경제의 영향이라고 생각된다._ 제2장 1940년의 재일조선인 취업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