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91197376405
· 쪽수 : 407쪽
· 출판일 : 2021-02-1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장달중
서문 최진욱
제1부 한국 외교안보의 전략문화
1장 문화와 전략 그리고 외교안보 / 김재한
1. 문화론 21
1) 문화 개념의 문화적 차이|2) 궁중 문화와 공중 문화| 3) 문화의 지속성|4) 문화적 전략
2. 전략론 28
1) 전략론에서의 문화|2) 전략적의 의미|3) 전략적 문화
2장 스마트 파워와 한국 외교의 문화적 전략 / 전재성
1. 한국 외교전략의 기반으로서 문화 33
2. 세계적 차원의 스마트 파워와 소프트 파워 38
1) 소프트 파워 개념의 대두 배경|2) 미국의 소프트 파워와 스마트 파워| 3) 스마트 파워론의 확산|4) 소프트 파워의 측정 지표와 국가들 간의 비교
3. 한국의 문화전략으로서 소프트 파워 및 스마트 파워 55
1) 한국의 소프트/스마트 파워 논의| 2) 한국의 스마트 파워 전략 수립의 필요성
4. 네트워크 지식국가로서 한국의 미래 문화 전략 61
3장 위안부 문제 외교의 문화적 전략 / 이원덕
1. 전략·문화의 환경과 제약 69
2. 한일 외교 쟁점으로서의 ‘위안부’ 문제 70
3. 한일 교섭의 경위 73
4. 위안부 한일 합의: 교섭 과정과 평가 77
5. 대일 외교의 성공과 실패 89
4장 대북정책과 문화적 전략 / 이경화
1. 전례없는 위기와 대북정책 95
2. 대북정책의 쟁점 96
1) 북핵| 2) 북한 인권|3) 통일과 평화|4) 안보와 교류협력
3. 대북정책 특징 및 평가 104
1) 성공한 대북정책은 없다.|2) 약화되는 한미 정책공조
4. 대북정책 환경의 변화 111
1) 신냉전|2) 북한의 핵무력|3) 남남갈등
5. 새로운 전략을 위한 제언 117
5장 평화파-안보파 대립과 전략적 평화안보 / 한용섭
1. 한국에 무슨 전략가가 있습니까? 121
1) 정보분석의 실패|2) 정책만 있고 전략이 없다| 3) 대북정책의 비용 대 효과분석이 없고 결과에 대한 평가도 없다
2. 점점 심화되는 ‘평화파’와 ‘안보파’ 간의 갈등과 대립, 양극화 현상 130
3. 한국 사회 내의 다양한 평화파: 몽환적 평화주의, 감성적 평화주의, 합리적 평화론 140
1) 몽환적 평화주의|2) 감성적 평화주의|3) 합리적 평화론
4. 한국 사회의 다양한 안보파: 안보지상주의, 감성적 안보주의, 합리적 안보론 151
1) 안보지상주의|2) 감성적 안보주의|3) 합리적 안보론
5. 합리적 평화안보론: 가능한가? 160
6장 통일과 전략적 문화 / 최진욱
1. 통일전략과 통일문화 169
2. 통일전략 변화의 문화적 맥락 172
1) 낙관적 통일문화와 현실의 벽|2) 통일문화의 퇴조와 평화문화의 확산| 3) 통일문화의 반격과 평화문화의 재반격| 4) 평화문화의 위기와 주목받는 안보문화
3. 통일문화의 특징과 유사문화 181
1) 통일문화의 특징|2) 평화문화|3) 냉전문화와 안보문화
4. 통일문화와 통일전략의 부조화의 요인들 194
1) 환경적 요인|2) 정책적 정치적 요인|3) 기술적 요인
5. 전략적 통일문화 201
1) 문화, 전략, 목표의 불협화음|2) 융합적 국가전략
2부 미중 네트워크 전략경쟁
7장 네트워크 전략 / 김재한
1. 네트워크의 유형과 속성 219
1) 방사형 네트워크|2) 일자형, 순환형, 교차형 네트워크| 3) 허브, 거점, 우회, 봉쇄
2. 네트워크 간 경쟁과 대응 225
1) 네트워크 접점|2) 프레이밍|3) 균형과 편승|4) 구조균형
8장 인도-태평양과 미국의 네트워킹 전략 / 이상현
1. 휴스턴 중국총영사관 화재와 틱톡 사용금지 조치 231
2. 미국은 왜 중국을 때리는가? 233
3. 미국의 대중국 네트워크 전략: 인도-태평양 전략과 경제번영네트워크 242
4. 미·중 패권경쟁 앞에 한국은 무엇을 해야 하나? 249
9장 중국외교의 전환과 한중관계의 재구성 / 이희옥
1. 중국의 부상과 ‘키신저 질서’의 해체 259
2. 국력의 한계, 과학기술에 중국의 미래를 걸다. 263
3. ‘중국의 길’ 267
4. 중국의 지역 전략: 주변에서 교두보 쌓기 270
5. 한중관계를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 275
6. 한국의 대중국 정책의 방향 279
10장 바이든 시대 미중 전략경쟁: 전개와 전망 / 김흥규
1. 미중 전략경쟁의 등장과 지속 283
2. 미중 전략경쟁의 본질 287
1) 트럼프 주도설|2) 시진핑 도발설|3) 세력전이설
3.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개막 298
1) 트럼프의 공세적 대중 정책 추진|2) 미중 전략의 충돌
4. 바이든 행정부의 등장과 미중 전략경쟁관계 316
1) 바이든의 대외정책|2) 중국의 대응
5. 결미연중 플러스 전략의 추진 311
11장 유라시아의 도전, 그리고 ‘新 실크로드’ 구축 / 이양구
1. 유라시아 실크로드 비전과 추진 전략 319
1) 대전략의 전제|2) 전략과 혁신-1당 150의 비결| 3) 실크로드 비전과 추진 전략|4) ‘신 실크로드’ 전략| 5) ‘신 실크로드’ 비전의 역사적, 문명사적 의미| 6) ‘신 실크로드’ 실현을 위한 핵심 요소
2. 전략과 문화 이해 334
1) 러시아의 세계관 이해|2) 러시아의 가치관 이해| 3) 러시아의 전략 이해|4) 한국과 러시아 간 인식의 차이| 5) 전략적 사고와 전술적 사고
12장 아세안의 불편한 선택 / 김창범
1. 일대일로 vs. 인도-태평양 전략 345
2. 아세안의 우려와 대응 350
1) 아세안의 깊어가는 고민|2)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AOIP)
3. 아세안의 ‘불편한 선택(Uneasy Choice)’ 357
1) 아세안의 선택의 의미|2) 정책적 시사점
4. 대한민국의 선택을 위한 소회 365
1) 선택의 고려 요소|2) 네트워크 외교의 필요성|3) 소회
3부 쟁점과 제언
1. 미중 소프트 파워 경쟁의 추이 376
2. 중견국 국력평가에 소프트파워의 적실성 378
3.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정책 전망 380
4. 미중 전략경쟁 구도하에서 장기적 대일전략 방향 381
5. 미중 패권경쟁하에서 아세안의 ‘중심성’ 유지 논쟁 383
6. 미중 사이 전략전 선택 384
7. 미중 패권경쟁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방향 387
8. 대북정책에서 ‘압박’과 ‘포용’ 사이 394
9. 북핵문제의 외교적 해결 가능성 395
10. 남남갈등의 근본적 해결 가능성 397
11. 전략문화를 고양하기 위해 필요한 것 399
12. 문화의 오용과 남용의 가능성 400
저자 소개 401
저자소개
책속에서
'문화' 일상대화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매우 흔한 단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