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 외교안보 방정식

신 외교안보 방정식

(네트워크 경쟁과 전략문화)

최진욱, 김재한, 김창범, 김흥규, 이경화, 이상현, 이양구, 이원덕, 이희옥, 전재성, 한용섭 (지은이)
전략문화연구센터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 외교안보 방정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 외교안보 방정식 (네트워크 경쟁과 전략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91197376405
· 쪽수 : 407쪽
· 출판일 : 2021-02-16

책 소개

우리 학계의 대표적인 전문가들로 구성된 집필진들이 전략문화라고 하는 새로운 시각에서 미중 패권경쟁 속에 처한 우리 외교안보 전략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한 책이다.

목차

추천사 장달중

서문 최진욱

제1부 한국 외교안보의 전략문화

1장 문화와 전략 그리고 외교안보 / 김재한
1. 문화론 21
1) 문화 개념의 문화적 차이|2) 궁중 문화와 공중 문화| 3) 문화의 지속성|4) 문화적 전략
2. 전략론 28
1) 전략론에서의 문화|2) 전략적의 의미|3) 전략적 문화

2장 스마트 파워와 한국 외교의 문화적 전략 / 전재성
1. 한국 외교전략의 기반으로서 문화 33
2. 세계적 차원의 스마트 파워와 소프트 파워 38
1) 소프트 파워 개념의 대두 배경|2) 미국의 소프트 파워와 스마트 파워| 3) 스마트 파워론의 확산|4) 소프트 파워의 측정 지표와 국가들 간의 비교
3. 한국의 문화전략으로서 소프트 파워 및 스마트 파워 55
1) 한국의 소프트/스마트 파워 논의| 2) 한국의 스마트 파워 전략 수립의 필요성
4. 네트워크 지식국가로서 한국의 미래 문화 전략 61

3장 위안부 문제 외교의 문화적 전략 / 이원덕
1. 전략·문화의 환경과 제약 69
2. 한일 외교 쟁점으로서의 ‘위안부’ 문제 70
3. 한일 교섭의 경위 73
4. 위안부 한일 합의: 교섭 과정과 평가 77
5. 대일 외교의 성공과 실패 89

4장 대북정책과 문화적 전략 / 이경화
1. 전례없는 위기와 대북정책 95
2. 대북정책의 쟁점 96
1) 북핵| 2) 북한 인권|3) 통일과 평화|4) 안보와 교류협력
3. 대북정책 특징 및 평가 104
1) 성공한 대북정책은 없다.|2) 약화되는 한미 정책공조
4. 대북정책 환경의 변화 111
1) 신냉전|2) 북한의 핵무력|3) 남남갈등
5. 새로운 전략을 위한 제언 117

5장 평화파-안보파 대립과 전략적 평화안보 / 한용섭
1. 한국에 무슨 전략가가 있습니까? 121
1) 정보분석의 실패|2) 정책만 있고 전략이 없다| 3) 대북정책의 비용 대 효과분석이 없고 결과에 대한 평가도 없다
2. 점점 심화되는 ‘평화파’와 ‘안보파’ 간의 갈등과 대립, 양극화 현상 130
3. 한국 사회 내의 다양한 평화파: 몽환적 평화주의, 감성적 평화주의, 합리적 평화론 140
1) 몽환적 평화주의|2) 감성적 평화주의|3) 합리적 평화론
4. 한국 사회의 다양한 안보파: 안보지상주의, 감성적 안보주의, 합리적 안보론 151
1) 안보지상주의|2) 감성적 안보주의|3) 합리적 안보론
5. 합리적 평화안보론: 가능한가? 160

6장 통일과 전략적 문화 / 최진욱
1. 통일전략과 통일문화 169
2. 통일전략 변화의 문화적 맥락 172
1) 낙관적 통일문화와 현실의 벽|2) 통일문화의 퇴조와 평화문화의 확산| 3) 통일문화의 반격과 평화문화의 재반격| 4) 평화문화의 위기와 주목받는 안보문화
3. 통일문화의 특징과 유사문화 181
1) 통일문화의 특징|2) 평화문화|3) 냉전문화와 안보문화
4. 통일문화와 통일전략의 부조화의 요인들 194
1) 환경적 요인|2) 정책적 정치적 요인|3) 기술적 요인
5. 전략적 통일문화 201
1) 문화, 전략, 목표의 불협화음|2) 융합적 국가전략

2부 미중 네트워크 전략경쟁

7장 네트워크 전략 / 김재한
1. 네트워크의 유형과 속성 219
1) 방사형 네트워크|2) 일자형, 순환형, 교차형 네트워크| 3) 허브, 거점, 우회, 봉쇄
2. 네트워크 간 경쟁과 대응 225
1) 네트워크 접점|2) 프레이밍|3) 균형과 편승|4) 구조균형

8장 인도-태평양과 미국의 네트워킹 전략 / 이상현
1. 휴스턴 중국총영사관 화재와 틱톡 사용금지 조치 231
2. 미국은 왜 중국을 때리는가? 233

3. 미국의 대중국 네트워크 전략: 인도-태평양 전략과 경제번영네트워크 242
4. 미·중 패권경쟁 앞에 한국은 무엇을 해야 하나? 249

9장 중국외교의 전환과 한중관계의 재구성 / 이희옥
1. 중국의 부상과 ‘키신저 질서’의 해체 259
2. 국력의 한계, 과학기술에 중국의 미래를 걸다. 263
3. ‘중국의 길’ 267
4. 중국의 지역 전략: 주변에서 교두보 쌓기 270
5. 한중관계를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 275
6. 한국의 대중국 정책의 방향 279

10장 바이든 시대 미중 전략경쟁: 전개와 전망 / 김흥규
1. 미중 전략경쟁의 등장과 지속 283
2. 미중 전략경쟁의 본질 287
1) 트럼프 주도설|2) 시진핑 도발설|3) 세력전이설
3.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개막 298
1) 트럼프의 공세적 대중 정책 추진|2) 미중 전략의 충돌
4. 바이든 행정부의 등장과 미중 전략경쟁관계 316
1) 바이든의 대외정책|2) 중국의 대응
5. 결미연중 플러스 전략의 추진 311

11장 유라시아의 도전, 그리고 ‘新 실크로드’ 구축 / 이양구
1. 유라시아 실크로드 비전과 추진 전략 319
1) 대전략의 전제|2) 전략과 혁신-1당 150의 비결| 3) 실크로드 비전과 추진 전략|4) ‘신 실크로드’ 전략| 5) ‘신 실크로드’ 비전의 역사적, 문명사적 의미| 6) ‘신 실크로드’ 실현을 위한 핵심 요소
2. 전략과 문화 이해 334
1) 러시아의 세계관 이해|2) 러시아의 가치관 이해| 3) 러시아의 전략 이해|4) 한국과 러시아 간 인식의 차이| 5) 전략적 사고와 전술적 사고

12장 아세안의 불편한 선택 / 김창범
1. 일대일로 vs. 인도-태평양 전략 345
2. 아세안의 우려와 대응 350
1) 아세안의 깊어가는 고민|2)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AOIP)
3. 아세안의 ‘불편한 선택(Uneasy Choice)’ 357
1) 아세안의 선택의 의미|2) 정책적 시사점
4. 대한민국의 선택을 위한 소회 365
1) 선택의 고려 요소|2) 네트워크 외교의 필요성|3) 소회

3부 쟁점과 제언

1. 미중 소프트 파워 경쟁의 추이 376
2. 중견국 국력평가에 소프트파워의 적실성 378
3.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정책 전망 380
4. 미중 전략경쟁 구도하에서 장기적 대일전략 방향 381
5. 미중 패권경쟁하에서 아세안의 ‘중심성’ 유지 논쟁 383
6. 미중 사이 전략전 선택 384
7. 미중 패권경쟁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방향 387
8. 대북정책에서 ‘압박’과 ‘포용’ 사이 394
9. 북핵문제의 외교적 해결 가능성 395
10. 남남갈등의 근본적 해결 가능성 397
11. 전략문화를 고양하기 위해 필요한 것 399
12. 문화의 오용과 남용의 가능성 400

저자 소개 401

저자소개

최진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한, 통일전문가. 현재 전략문화연구센터 원장, 일본 리츠메이칸대 석좌교수, 한국외대 객원교수이다. 1993년부터 통일연구원에서 남북통일, 북한정치, 동북아정세를 연구했으며 2014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3년간 14대 원장으로 재직하였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통일정책연구협의회 의장,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및 기재부, 통일부, 외교부, 방송통신위원회 등의 자문위원으로서 정부 통일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적극 참여하는 경험을 했다. 2013년 13대 북한연구학회장을 역임헸다. 최진욱은 통일연구원 퇴임후 교토 리츠메이칸대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던 중 2019년 동아시아평화협력연구센터를 설립하였다. 2020년 5월 서울에 전략문화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서울에서 활동을 재개하였다. 『현대북한행정론 제2판』. (서울: 명인문화사, 2008)을 비롯해 10여권의 저서와 100여편의 국영문 논문이 있다. 한국외대 정외과를 졸업하고 1992년 미국 신시내티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펼치기
이원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부와 대학원 석사를 마치고,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學)에서 국제관계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4년 귀국하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특별연구원,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1998년부터 국민대학교 일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피츠버그대학 객원연구원, 일본 도쿄대학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장, 현대일본학회 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외교부, 통일부, 동북아역사재단, 민주평통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일본, 한국을 상상하다』(공저, 2021, 선인), 『한일관계사 1965-2015 Ⅰ 정치』(공저, 2016, 역사공간) 외 다수의 저서, 역서와 학술논문이 있다.
펼치기
한용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정치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하버드대 정책대학원 석사 미국 랜드대학원 안보정책학 박사 제21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국방부 한미연례안보협의회 담당 국방부 핵정책담당관 및 남북핵통제공동위 전략수행요원 국방장관 정책보좌관 국방대 교수 국방대 부총장,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장 통일부, 외교부, 국방부, 보훈처, 합참, 육군, 해군, 공군 정책자문위원 한국핵정책학회 회장, 한국평화학회 회장, 한중 싱크넷 부회장 한·미·중 전략대화 부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노르웨이 국제문제연구소와 미국 몬테레이 비확산연구소 객원연구원 미국 랜드연구소와 유엔군축연구소 객원연구원 미국 포틀랜드대학교 및 샌디에고대학 교환교수 중국 상하이 푸단대 및 중국 외교학원, 일본 게이오대학 교환교수 現在 국제안보교류협회 회장, 우리국익가치연구회 대표경남대 초빙교수, 국방대 명예교수, 중앙일보 한반도평화워치칼럼니스트 수상 국무총리상(1992), 국제정치학회 저술상(2004) 세종문화상(외교안보통일분야)(2008), 문화관광부 우수도서(자주냐 동맹이냐, 200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국방정책론, 2012), 한국연구재단 우수학자(2015-2020) 홍조근정훈장(2012), 황조근정훈장(2020) 주요저서 『우리국방의 논리』(2019), 『북한 핵의 운명』(2018),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전정판』(2015),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2004), 『국방정책론』(2012, 2016), 『동북아시아의 핵무기와 핵군축』(2001), 『자주냐 동맹이냐』(2004, 편저), 『동아시아 안보공동체』(2005, 공저), 『미중경쟁시대의 동북아평화론』(2010, 편저), 『미일중러의 군사전략』(2018, 공저), 『신외교안보방정식』(2020, 공저) 등 South Korea’s 70 Year Endeavor for Foreign Policy, National Defense, and Unification(co-authored in 2018), Peace and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2005), Sunshine in Korea(2002), Nuclear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in Northeast Asia(1995), Conventional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1991) 등 국제공동연구 한반도 재래식 군비통제방안 연구(2019) 한미동맹의 미래 비전 연구(2005) 북한체제의 근대화 방안 연구: 목적, 방법, 적용(2003) 한반도 신뢰구축방안 연구(2001)
펼치기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이다.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21),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직을 맡은 바 있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 방문교수를 2년 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안보론, 한국외교정책 등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으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서울: 한울, 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서울: 한길사, 2012),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재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 정치행정학과 교수이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이다. 교육부 국가석학 및 미국 스탠포드대학 후버연구소 National Fellow로 선정된 바 있다. 1996년 DMZ 전문가 연구단체인 DMZ학술원을 창립하여 DMZ 연구에 기여하여 왔다. 통일부 지역통일교육센터장, 한국공공선택학회장, 한국지방정치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통일교육 공로로 국무총리표창 그리고 평화연구 업적으로 DMZ평화상을 수상했다 200편이 넘는 논문과 저서 가운데,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에 발표한 논문은 국내기관 소속 정치외교학 SSCI 논문 중 최다 인용 기록으로 일송논문상을 받았으며, 12종의 저서는 대한민국학술원 또는 문화체육관광부에 의해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로체스터대학에서 정치학박사를 취득했다.
펼치기
김흥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중정책연구소 소장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교안보연구원(현 국립외교원) 교수를 거쳐 성신여대, 아주대에서 재직하였다. 현재 국회 등록 싱크탱크인 (사)플라자 프로젝트 이사장으로서 초당파적인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미래전략을 제안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20여 년 동안 청와대, 외교부, 국방부, 통일부, 국회, 국가정보원, 기획재정부, 합동참모본부 등등 다양한 국가 정책기관에서 정책자문을 해오고 있다. Foreign Policy, Global Times, South China Morning Post 등 해외 신문의 주 기고자이고, 현재 경향신문에 매달 ‘김흥규의 外交萬事’ 코너에 글을 쓰고 있다. 연구 초점은 중국의 외교안보 분야, 북중/한중 관계에서 시작하여 미중 전략경쟁, 동북아 국제정치, 군사안보, 경제안보 등으로 국제정치 전반의 이슈를 망라하고 있다. 현재 연구 분야에서 300여 편이 넘는 논문, 연구 보고서, 기고문 등이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중국의 정책 결정과 민주집중제〉, 〈중국의 동반자 외교小考〉, 〈Prospects for South Korea-China Relations in Xi Jinping’s 3rd Term〉, 〈Between the Eagle & the Dragon〉(Woodrow Wilson Center, 2022) 등이 있다. 저서로는 《신국제질서와 한국외교전략》(명인문화사, 2021)이 있다. 《중국의 정책결정과 중앙-지방관계》(폴리테이아, 2007)는 2008년 문화관광부 추천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된 바 있고, 2014년 동북아연구재단(NEAR) 외교안보 부문 학술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경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한 전문가이다. 현재 전략문화연구센터에서 연구조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리츠메이칸대학교 동아시아평화협력연구센터의 객원연구위원으로서 전략문화연구센터와의 공동학술회의 및 협력사업의 조정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5년 고려대학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통일연구원(2015-2017),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2017-2018)에서 북한인권과 사회주의 변화, 북한의 대남정책 등을 연구했으며 고려대, 중앙대, 숭실대 등에서 강의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김정은 정권의 대남정책 및 통일담론: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분석』, (2016, 공저) 『북한인권 정책환경 분석』 (2017,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핵정책학회(KNPS) 회장을 맡고 있다. 한국핵물질관리학회(INMM-K) 이사, 동아시아연구원 국가안보패널 위원, 핵비확산 및 군축을 위한 아태리더십 네트워크(APLN) 멤버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원, 외교통상부 정책기획관, 스웨덴 스톡홀름 안보개발정책연구소 (ISDP) 객원연구원, 워싱턴 DC, Stimson Center 방문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최근 주요 논저로는 『미중 패권경쟁과 한반도』(2020), “트럼프 행정부의 핵정책: 국제 핵비확산 레짐과 북핵문제에 대한 함의”(2019), 『현대 한미관계의 이해』 (2019, 공저), “트럼프 행정부의 국가안보전략(NSS): 국제정세 및 한반도에 대한 함의,”(2018),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한반도 평화실현과 국제협력』(2018, 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이상현의 다른 책 >
김창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주 인도네시아 대사로서 현재 전략문화연구센터 고문을 맡고 있다. 1981년부터 2020년까지 외교부에 근무하면서 한반도 평화, 한미동맹, 유럽연합과 아세안과의 협력관계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2012년부터 3년간 주벨기에. 유럽연합(EU)대사로 재직하였으며, 2018년-2020.7월간 주인도네시아 대사로 근무하였다. 외교부 본부 근무중에는 안보정책 과장, 북미 3과장, 혁신 인사기획관, 그리고 한반도 평화교섭본부 초대 평화체제 기획단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부터 4년 3개월간 대통령 비서실 의전비서관을 지내며, 각종 정상회의와 해외 순방 및 대통령 일정을 담당했다. 2015년부터 2년간 서울시 국제관계 자문대사로도 재직한 바 있다. 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Johns Hopkins 대학 국제관계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1960년 서울생이다.
펼치기
이양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외교관으로 주 우크라이나 대사, 주블라디보스톡 총영사, 주 카자흐스탄 총영사, 국무총리실 외교안보 심의관, 외교부 조정기획관, 중앙공무원 교육원 국제협력관을 역임하였다. 정년퇴임 후 2020년부터는 유라시아 비전과 글로벌 리더양성과 UN SDGs 추진을 위해서 활동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및 우크라이나에서 명예교수와 두개의 명예박사를 수여받았다. 저서로는 “유라시아의 꿈과 도전”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문화' 일상대화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매우 흔한 단어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