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68490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1-03-24
책 소개
목차
1장 전사: 일제하 조선무용과 일본
1. 조선무용의 두 길: ‘조선풍 무용’과 ‘조선고전무용’
2. ‘조선고전무용’과 일본
3. 재일동포와 대중예능 속의 조선무용
제1부 냉전시대 문화지형의 구축
2장 두 개의 조국, 하나의 춤
1. 해방 후 연예 행사들과 민족무용
2. 조국 분단과 민족무용
3. 1950년대 민족무용 지도자들
4. 재일 예술인의 좌우 통합 모색: 4·19 기념 합동문화제
3장 한국무용의 유입: 친선·동포 위문·시장의 복합
1. 한일 문화교류 추진과 민단계 예술인의 조직화
2. 어린이·청소년 단체의 일본 공연
3. 한국 전통 가무악의 일본 유입
4. 국제무대에서 활약하는 한국민속예술단의 일본 공연
5. 한국무용 시장과 향수(鄕愁): 빛과 그림자
4장 북한무용의 전수: ‘사회주의 조국’의 조선무용
1. ‘귀국선’을 통한 북한무용의 유입
2. 전승체계 구축
3. 주체예술, 국립만수대예술단의 일본 공연
제2부 경계 넘기와 디아스포라 정체성
5장 재일 2세 한국무용가의 등장
1. 재일한국인 2세 문화예술인의 조직화와 한국무용가
2. 한국무용과의 만남과 무용 유학
3. 독자적인 영역의 모색: 1980년대 한국무용 자원의 흡수
4. 독자적인 영역의 구축과 공인된 권위의 획득: 1990년대
6장 조선무용의 새로운 모색
1. 조선무용 지형의 변화
2. 사설 조선무용연구소와 무용단의 등장
3. 문예동 무용경연대회: 민족무용 전승에서 문예동의 역할
4. 새로운 ‘전통’의 추구
7장 한국무용과 조선무용 분단의 경계 넘기: 다양한 모색과 실천
1. 재일 한국무용가와 조선무용가 합동공연
2. 조선무용가의 한국 진출
3. 조선무용과 한국무용을 함께하기
4. 경계 넘기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