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 (양장)

(개정판)

진달용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000원 -0% 0원
330원
32,670원 >
29,7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970원
26,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 (양장)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3593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03-25

책 소개

2015년 초판 발행 이후 꾸준한 관심을 받아온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가 7년 만에 개정판으로 출간되었다. 최신의 변화를 반영하여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저널리즘 환경에서 과학 저널리즘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그 역할과 나아갈 방향을 소개했다.

목차

제1부 현대사회에서의 과학 저널리즘

제1장 과학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1. 논의의 출발점
2. 과학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3. 과학 저널리스트는 누구인가
4. 과학 저널리즘의 목표
5. 뉴스원으로서 과학
6. 과학 저널리즘에서 뉴스의 가치 기준
7. 책의 주요 내용과 특징

제2장 과학 저널리즘의 역사
1. 서론
2. 저널리즘의 역사
3.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역사
4. 한국의 과학 저널리즘 역사
5. 결론

제3장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와 전망
1. 서론
2.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구조적 요인
3.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내부 요인
4. NASA 우주 프로그램과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5.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과제
6. 결론

제2부 과학 저널리즘 실행

제4장 과학 저널리즘 이론
1. 서론
2. 저널리즘 이론 일반
3. 최대 효과 이론
4. 최소 효과 이론
5. 현대 미디어 효과 이론
6. 공론장(Public Sphere) 이론
7. 결론

제5장 전문가로서 과학자의 역할
1. 서론
2. 과학자,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3.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전문성
4. 과학자와 저널리스트의 관계
5. 과학적 전문성의 설득적·합법적 이용
6. 결론

제6장 과학 저널리즘 윤리
1. 서론
2. 현대 저널리즘의 주요 윤리 이슈들
3. 윤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4. 황우석 사태와 과학 저널리즘 윤리
5. 결론

제3부 뉴미디어 시대의 과학 저널리즘

제7장 빅데이터와 과학 저널리즘
1. 서론
2. 빅데이터의 기원과 정의
3. 빅데이터 시대의 과학 저널리즘 규범
4. 빅데이터 시대의 저널리즘
5. 빅데이터 시대의 저널리즘 교육
6. 빅데이터 시대의 윤리 문제
7. 결론

제8장 위험보도와 과학 저널리즘
1. 서론
2. 위험 주관성의 소통
3. 미디어 담론과 프레임
4. 위험보도에서 바람직한 방송 미디어의 역할은 무엇인가
5. 경주 방폐장 선정 시 위험보도 형태
6. 결론

제9장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과학 저널리스트 재교육
1. 서론
2. 과학 저널리즘 재교육의 인식
3. 과학 저널리즘 대학원 커리큘럼 국제 비교
4. 과학 저널리스트 재교육의 유사성과 차이점
5. 저널리즘 재교육에 대한 과학 저널리스트의 관점
6. 결론

제10장 과학 저널리즘의 미래

저자소개

진달용 (엮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School of Communication at Simon Fraser University)의 특훈교수이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Global Professor)이다. 문화일보에서 기자(사회부·경제부) 생활을 했으며, 일리노이 주립대학(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 주립대학 시카고 캠퍼스에서 방문 조교수, 카이스트(KAIST)에서 부교수로 재직했으며, 연세대학교 방문 교수(2014~2015년, 2021~2022년)로도 근무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플랫폼과 게임 연구, 글로벌라이제이션, 커뮤니케이션 기술 정책론, 비판 커뮤니케이션, 비판 문화연구, 과학 저널리즘 등이다. 주요 저서로 New Korean Wave: Transnational Cultural Power in the Age of Social Media(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6), Digital Platforms, Imperialism and Political Culture(Routledge, 2015), Deconvergence of Global Media Industries(Routledge, 2013), Hands On/Hands Off: The Korean State and the Market Liberalization of the Communication Industry(Hampton Press, 2011), Korea’s Online Gaming Empire(MIT Press, 2010), Artificial Intelligence in Cultural Produc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Digital Platforms(Routledge,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