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88946073692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4-25
책 소개
목차
제1장 한류 다시 보기
제2장 한류의 기원과 역사에 대한 논쟁
제3장 한류의 범위와 K-명칭론에 대한 담론
제4장 한류는 주로 정부의 문화정책 때문에 성장했는가
제5장 일본 대중문화와 문화정책이 한류에 미친 영향
제6장 K-pop은 한류 4.0을 이끌고 있나
제7장 한류에서 ‘K’ 논쟁의 진화
제8장 한류는 카운터 문화 흐름을 만들었는가
제9장 한류 발전에 있어 문화적 근접성에 관한 논쟁
제10장 한류는 잠시 유행하다 사라질 것인가
제11장 COVID-19 이후 시대 한류 전망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 사회에서 인문학에 대한 관심, 사회과학에 대한 관심이 지난 몇십 년간 위축되어 왔다. 더 이상 강조하지 않아도 학계에서는 잘 알고 있다. 예외적인 몇 개 분야가 있고, 그중 하나가 한류 연구이다. 학문적으로 유일하게 관심을 받는 분야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지속적인 관심을 끌고 있는 몇 안 되는 분야 중 하나이며, 그중에서도 손꼽히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미디어 관련 학과부터 지역학, 문학, 영화, 음악, 정책·외교, 광고, 그리고 마케팅 등으로까지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해당 분야의 학자들과 미디어의 관심을 반영하듯, 국내외적으로 많은 논문과 미디어 리포트가 쏟아지고 있는 현실이 이를 증명한다. _제1장 한류 다시 보기
미국의 경우, 영화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정책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미국은 문화정책의 영향이 별로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상은 조금 다르다. 특히 문화 외교에서는 더욱 그렇다. 한국과 관련해 미국 영화업계가 한국의 스크린쿼터를 없애거나 줄이려고 했을 때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에 강한 압력을 행사한 것은 잘 알려져 있다(Miller et al., 2001; Wasko, 2003). 영화라는 문화상품의 수출은 민간 영화기업들이 할 일인데, 이를 위한 토대를 만들기 위해 정부가 개입한 경우로, 미국 정부의 역할이 외교적으로 중요했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또한 미국 영화제작자들이 전쟁 관련 영화를 제작할 때, 미국 정부가 군을 통해 헬리콥터 등 군사 장비를 사용하게 해주는 등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기도 하다. 미국 정부의 지원이 한국 정부의 지원보다 더욱 체계적이며 적극적이라고 볼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요소에도 불구하고 할리우드의 성장이 미국 정부의 문화정책 때문이라고 보는 시각은 많지 않다. 미국 정부의 지원은 할리우드의 성장에 한 요소로 작용했을 뿐이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가 직간접으로 할리우드 영화산업을 지원하고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할리우드 영화의 생산과 소비의 중요성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 _제4장 한류는 주로 정부의 문화정책 때문에 성장했는가
비서구의 문화발전 단계에서 자국보다 질적으로 우수한 국가의 문화를 비공식적인 루트를 통해 들여와 자국 문화를 발전시키는 것은 많이 알려진 방식이다. … 한국이 일본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는 하지만, 일본음악 자체가 미국 대중음악의 영향을 통해 발전되었다는 측면에서, 일본 역시 미국 등 서구 대중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물론, 비공식적이라고 해서 영향력이 적다는 것은 아니다. 비공식적인 만큼 오히려 대놓고 베끼기가 가능할 수도 있어서 영향력 자체만 보면 더 클 수 있다. 다만, 일본의 영향력이 전부인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 예를 들어, 한국 음악에는 일본의 영향과 함께, 미국의 영향력이 적지 않았다. 한국전쟁 이후 미국 주둔지역을 중심으로 미국 대중음악이 한국에 확대되기 시작했으며, 한국 대중음악에는 미국 대중음악의 영향력이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 따라서 한국 대중문화가 일본의 영향력을 받아서 한류를 발전시켰다는 것은 정확한 해석이 아니다. _제5장 일본 대중문화와 문화정책이 한류에 미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