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류의 경계

한류의 경계

(K-컬처의 혼종성과 확장성)

진달용, 김경호, 김학순, 정백수, 이하나, 양영자, 조규헌, 김욱, 이가현, 이석, 김새미 (지은이),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기획)
역락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1,5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0,000원 -10% 1500원 25,500원 >

책 이미지

한류의 경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류의 경계 (K-컬처의 혼종성과 확장성)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91167428486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4-06-30

책 소개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는 2019년도부터 ‘아시아 대중문화와 한류의 상호 이해에 기반한 인문학 교육’을 주제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아시아대중문화 시리즈>는 한류와 아시아 대중문화를 주요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의미 있는 학술적 성과를 담아내어 학계와 사회 일반에 널리 공유할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목차

1부 K–컬처의 혼종성과 인문학적 관점

한류에서 ‘K–’의 사회문화적 담론−초국가적 근접성으로의 전환 / 진달용
Ⅰ. 머리말
Ⅱ. 한류(Korean Wave)에서 K의 의미
Ⅲ. 한류의 성장
Ⅳ. 한류에 K는 있는가
Ⅴ. 한류에서 K의 의미−초국가적 근접성을 중심으로
Ⅵ. 맺음말
일본 내 한류(K–컬처) 현상과 인문학적 관점 / 김경호
Ⅰ. 머리말
Ⅱ. 인문학의 개념과 관점
Ⅲ. 일본 내 한류(K–컬처) 현상
Ⅳ. K–컬처 현상에 대한 인문학적 분석
Ⅴ. 맺음말
전근대 한일 대중문화와 K–인문학 고전 / 김학순
Ⅰ. 한류 콘텐츠로서의 K–고전
Ⅱ. <대장금>의 인기와 K–고전의 출발
Ⅲ. 조선과 에도의 대중문화와 고전소설
Ⅳ. 전근대 한일의 상업 출판문화
Ⅴ. 전근대 한일의 의약 문화
Ⅵ. 일본의 K–고전 수용과 방향성
한국문학의 인문학적 물음과 일본어 번역−이청준의 「소리」를 찾아서 / 정백수
Ⅰ. 「소리」를 찾아서
Ⅱ. 「진정한 말」을 찾아서

2부 K–컬처의 수용과 변용

K–Pop의 대만 진출 과정과 대만 청년세대의 한류(韓流) 인식 / 이하나
Ⅰ. 신(新)한류 시대, 대만에서의 K–Pop 열풍
Ⅱ. ‘한류(韓流)’ 용어의 기원과 K–Pop의 대만 진출 과정
Ⅲ. 대만 청년세대의 한류(韓流) 인식과 K–Pop 수용의 양상
Ⅳ. 한국과 대만의 성숙한 문화 교류를 위하여
K–Pop이 대만 청소년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영자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맺음말
K–컬처 세대로서 일본 Z세대의 가능성−한국 X세대와의 비교를 통해 / 조규헌
Ⅰ. 머리말
Ⅱ. J–컬처와 한국 X세대
Ⅲ. K–컬처와 일본 Z세대
Ⅳ. 맺음말
한류 역사드라마의 일본 수용 양상과 탈정치성 / 김욱
Ⅰ. 한일문화교류와 역사 콘텐츠의 월경 가능성
Ⅱ. 일본 역사드라마 장르의 전개 양상과 인식의 변화
Ⅲ. 한국 역사드라마의 수용양상과 ‘퓨전 사극’의 인기
Ⅳ. 한류 역사드라마가 시사하는 콘텐츠로서의 ‘역사’

3부 한류의 확장과 K–컬처의 미디어

미디어를 통한 일본의 한류 붐과 K–여성 문학의 확장 / 이가현
Ⅰ. 머리말
Ⅱ. 일본의 한류 붐−<겨울연가>에서 ��82년생, 김지영��까지
Ⅲ. 일본의 페미니즘 담론−90년대 여성 작가 붐과 그 이후
Ⅳ. 현대 한국의 여성 문학−일상의 직설적 표현
Ⅴ. 맺음말

미디어의 관점에서 바라본 일본 한류의 역동성 / 이석
Ⅰ. 머리말
Ⅱ. 1차・2차 한류의 미디어
Ⅲ. 일본과 한국의 인스타그램 이용 현황
Ⅳ. 인스타그램과 대중성의 관계
Ⅴ. 3차 한류 팬덤의 정치성
Ⅵ. 맺음말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 유럽의 한류 수용과 지속가능성 / 김새미
Ⅰ. 머리말
Ⅱ. 신한류 정책과 유럽에서의 한류 연구
Ⅲ.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한류 콘텐츠 생산과 문화생산자의 대응
Ⅳ. 유럽에서의 한류 수용과 확장성
Ⅴ. 맺음말

저자소개

정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오비린대학(桜美林大学) 리버럴아츠학군 교수, 비교문학전공. 대표 저서로는 『あいだの日韓文学』(桜美林大学出版部, 2023), 『日韓近代文学の交差』(明石書店, 2014), 『コロニアリズムの超克』(草風館,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진달용 (엮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School of Communication at Simon Fraser University)의 특훈교수이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Global Professor)이다. 문화일보에서 기자(사회부·경제부) 생활을 했으며, 일리노이 주립대학(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 주립대학 시카고 캠퍼스에서 방문 조교수, 카이스트(KAIST)에서 부교수로 재직했으며, 연세대학교 방문 교수(2014~2015년, 2021~2022년)로도 근무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플랫폼과 게임 연구, 글로벌라이제이션, 커뮤니케이션 기술 정책론, 비판 커뮤니케이션, 비판 문화연구, 과학 저널리즘 등이다. 주요 저서로 New Korean Wave: Transnational Cultural Power in the Age of Social Media(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6), Digital Platforms, Imperialism and Political Culture(Routledge, 2015), Deconvergence of Global Media Industries(Routledge, 2013), Hands On/Hands Off: The Korean State and the Market Liberalization of the Communication Industry(Hampton Press, 2011), Korea’s Online Gaming Empire(MIT Press, 2010), Artificial Intelligence in Cultural Produc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Digital Platforms(Routledge,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양영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 실천대학교(實踐大學) 국제기업관리학과(國際企業管理學系) 조교수, 중국학 전공. 대표 논저로는 공저 『ASIA CULTURE LAB 1−신과 인간』, 『ASIA CULTURE LAB 2−삶과 문화』(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18)와 「대만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동기 분석−대만 실천대학교 『기초 한국어』 과목 이수자를 중심으로」(『중국인문과학』 83, 중국인문학회, 2023.4), 「台灣地方節慶活動經濟效益之研究−以 2019 高雄內門宋江陣為例」(『중국인문과학』 74, 중국인문학회, 2020.4)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일본지역문화학과 조교수, 일본 서브컬처 전공. 대표 논저로는 『시코쿠에서 일본을 읽다』(공저, yeondoo, 2023.5), 「1970년대 전환기의 일본 록 음악에 관한 고찰−록 밴드 핫피엔도와 캐롤에 주목하여」(『일본학』 56호, 동국대학교일본학연구소, 2022. 4), 「1990년대 한국의 『은하영웅전설』 수용에 관한 고찰−1990년대 초반 베스트셀러와의 비교 연구」(『현대소설연구』 87,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9) 등이 있다.
펼치기
김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메지로대학(目白大学) 외국어학부 한국어학과 교수, 한일대조어학(음운론, 번역학, 표기) 전공. 대표 논저로는 『국가주의를 넘어선 일본과 한국의 공생과 교류(国家主義を超える日韓の共生と交流)』(일본 明石書店, 2016.6), 「한글 표기를 통한 한자어 어휘 교육에 관한 제언」(『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Applied Linguistics』 3, 2022.2), 「세계지도(지리서)의 외국지명 한자표기에 관한 서지적 고찰」(『아시아문화연구』 45,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12) 등이 있다.
펼치기
김학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조교수, 일본 고전문학 전공. 대표 논저로는 『세계 SF 콘텐츠, 도래하지 않은 현실로서의 미래』(북마크, 2024.1), 『일본인의 질병 대책과 의료 현장』(지식공간, 2023.2), 「에도시대 과학기술과 SF적인 상상력−<가라쿠리> 기술의 발전과 로봇의 시작」(『일본어문학』 99, 한국일본어문학회, 2023.12), 「에도문학에 잠입한 닌자−변신하는 닌자와 진화하는 인술」(『일본문화학보』 96, 한국일본문화학회, 2023.2) 등이 있다.
펼치기
이하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 중국문화대학교(中國文化大學)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문화콘텐츠학 전공. 대표 논저로는 「공자서사(孔子敍事)로서 공문도통(孔門道統)의 서술 체제와 창작의 의미 고찰」(『Journal of Korean Culture』 47,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9.11), 「韓國 文廟祭禮의 變化 樣相 考察을 통한 孔子의 位相 硏究」(『동아시아고대학』 46, 동아시아고대학회, 2017.6), 「『論語』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양상과 가능성」(『民族文化』 46, 한국고전번역원, 2015.12) 등이 있다.
펼치기
조규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명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 한일문화콘텐츠전공 교수, 일본학 전공. 주요 논문으로는 「탈(脫)한류 하는 일본 속 K컬처: 문화수용에서 문화융합으로」(『아시아리뷰』 13,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12), 「뉴미디어 시대의 한일 간 문화융합 프로세스에 관한 일고찰: 소확행과 일본 여행의 접점」(『일본연구』 39,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3.1) 「3, 4차 일본 한류 현상의 특수성 고찰」(『일본문화연구』 77, 동아시아일본학회, 2021.1), 「일본 크리에이티브 산업과 도시문화콘텐츠의 관계성: 도쿄브랜드를 중심으로」(『외국학연구』 51, 중앙대학교외국학연구소, 2020.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일본근현대문학 전공. 최근 논저로는 「전시기 조선・대만의 어용 문인단체와 대동아문학자대회」(『일본문화연구』 90, 동아시아일본학회, 2024.4), 「NHK 대하드라마 <료마전(龍馬伝)>과 일본의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인식: 시바 료타로 <료마가 간다(竜馬がゆく)>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일본연구』 39,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 2023.2), 공저로 「The Ethical Conflicts in Views of a Colony from Japanese Literature in Colonial Korea in the 1920s: Waves of the Peninsula in the Keijo Daily News」(『Forum for world literature studies』 15-5, Knowledge Hub Publishing Company Limited(Hong Kong), 2023.12) 등이 있다.
펼치기
이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일본근현대문학 전공. 대표 논저로는 『세계 SF 콘텐츠, 도래하지 않은 현실로서의 미래』(북마크, 2024.1), 「여성과 천황제−미시마 유키오의 「여자는 점령당하지 않는다」와 오에 겐자부로의 『익사』를 중심으로」(『일본학보』 136, 한국일본학회, 2023.8), 「동아시아 SF×BL 서사의 트랜스−휴머니즘적 상상력과 젠더・섹슈얼리티 실험」(『중국소설논총』 67, 한국중국소설학회, 2022.8)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새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술연구교수, 유럽문화정책 전공. 대표 논저로는 「New Perspectives on the Korean Wave」(『The Routledge Handbook of Europe-Korea Relations』, Routledge, 2021.12), 「뉴미디어와 한류콘텐츠 지원정책 연구」(『국제학 논총』, 국제학연구소, 2021.6), 「평화 문제와 문화영역에서의 실천연구: 유럽연합의 ‘문화 간 대화’ 정책을 중심으로」(『문화와 정치』 8(2), 한양대 평화연구소, 2021.6)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7429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