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인사이트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인사이트 (양장)

김기한, 유상건 (엮은이), 한국소통학회 (기획)
한울(한울아카데미)
4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3,000원 -0% 0원
430원
42,5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인사이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인사이트 (양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3647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2-03-25

책 소개

글로벌 관점에서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스포츠 현상은 연구 대상으로서 매력적이다. 한국 사회가 국제사회에서 갖는 위상과 독특한 역사적 경험에 따라 기록되고 분석되어야 할 내용이 많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한국 스포츠 상황을 제대로 보여 줄 독보적인 연구라 할 수 있다.

목차

Part 1 스포츠와 커뮤니케이션
Chapter 1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연구: 주요 개념과 주제, 그리고 미래를 위한 제언 (유상건)
Chapter 2 커뮤니케이션의 진화와 스포츠 (김지훈)
Chapter 3 결합태 이론 분석 접근: 한국 스포츠-미디어화 연구 (이명선)

Part 2 스포츠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
Chapter 4 미디어 스포츠의 사회적 소통 효과: 스포츠의 공공성 확산과 미디어의 역할 (김기한)
Chapter 5 공공서비스미디어와 스포츠 방송 (봉미선)
Chapter 6 언택트 시대의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대면 소통과 사회참여 (강진호)

Part 3 스포츠 미디어 텍스트와 콘텐츠
Chapter 7 운동선수의 스캔들과 미디어 커버리지: 3P 모델에 근거한 접근방식 (이준성)
Chapter 8 미디어에 반영된 스포츠 위기 (방신웅)
Chapter 9 스포츠 미디어와 젠더 재현의 정치성: 2020 도쿄올림픽과 IOC의 『미디어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_ (서재철)
Chapter 10 스포츠 방송언어의 분석 (신동일)

Part 4 스포츠 미디어 산업과 기술
Chapter 11 미디어의 발전이 이끄는 프로스포츠 산업의 변화 (편현웅)
Chapter 12 스포츠 미디어 시청자 수요 (성호준)
Chapter 13 스포츠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 (장원석)
Chapter 14 프로스포츠의 데이터 활용 및 연구 (임남헌)

저자소개

김기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전공은 스포츠매니지먼트이다.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에서 학사학위(BA)를 받고 곧바로 유학길에 올랐다. 석사학위(MA)는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의 저널리즘 스쿨에서, 박사학위(PhD)는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의 광고·PR학과에서 받았다. 학부 체육교육 전공과 석·박사 미디어 전공을 융합해 스포츠미디어 연구자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현재 (사)한국스포츠미디어학회 부회장 겸 사무총장, (사)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부회장, (사)한국체육학회 학술이사, (사)한국e스포츠협회 이사이자 국제학술지 Journal of Global Sport Management의 에디터(Editor-in-Chief)이다. 디지털 기술과 스포츠의 융합을 통한 미래 스포츠에 관심이 많다.
펼치기
유상건 (엮은이)    정보 더보기
상명대학교 스포츠ICT융합학과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스포츠 커뮤니케이션은 연구 영역이 방대하고 연구자의 관심과 흥미, 배경에 따라 전개될 연구 내용이 풍부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관점에서만 보더라도 한국이라는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스포츠 현상은 연구 대상으로서 매력적이다. 스포츠 저널리즘에만 국한해도 독특한 점이 많다(Yoo, 2012). 스포츠는 흔히 ‘만국공통어universal language’라고 하지만 한국 사회가 국제사회에서 갖는 위상과 독특한 역사적 경험에 따라 기록되고 분석되어야 할 내용이 많다. 예를 들어 한국의 스포츠 저널리즘은 ‘십자군 저널리즘crusador journalism’, ‘치어리더 저널리즘cheer leader journalism’, ‘크롭 더스트 저널리즘crop dust journalism’ 등 외국과 비슷한 문제를 보이고 있다(유상건, 2020). 그러나 동시에 외국과 달리 제대로 된 탐사보도가 적으며 솔루션 저널리즘이라는 면에서 매우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독일의 경우 스포츠 기자 단체가 자체적인 보도 가이드라인을 보유하고 있지만(Horky and Stelzner, 2015) 한국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유상건, 2021). 이와 같은 내부적인 모순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많은 스포츠 신문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스포츠 신문들의 온라인 시대에 요구되는 정보전달과 정론의 역할도 검토되어야 한다(김경호, 2020). _Chapter 1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연구


미래 스포츠 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상호 존중 속에서의 치열한 전략이 집중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매체·다채널 등의 미디어 발전은 텔레비전으로 하여금 확산된 스포츠를 좀 더 확산시킬 것이며, 스포츠 팬들에게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등 더욱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탄생시킬 것이다. 또한 텔레비전 중계방송은 미디어의 발전은 물론 스포츠 스스로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매체를 통한 스포츠 중계는 스포츠를 더욱 자극적이고 오락적으로 변화시키고 어느 정도 스포츠의 요소를 통제하고 있다. 광고를 위해 경기를 방해하거나 팬들에게 새로운 스포츠 경험을 고양시켜줄 것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텔레비전의 스포츠 경험을 즐겁게 수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핫미디어보다는 쿨미디어가 선호될 것이며, 특히 모바일 중계 같은 뉴미디어를 통해 스포츠를 접하는 경향이 늘어날 것이다. _Chapter 2 커뮤니케이션의 진화와 스포츠


스포츠와 미디어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양한 표현이 있지만, 스포츠는 사회적으로 생산된 문화적 패턴이다. 그리고 사회적 그리고 사회 안에 모여 있는 사람들의 집합적 활동이다(Maguire et al., 2002). 미디어의 대표적인 정의는 데브루(Devereux, 2013)의 표현처럼 미디어 텍스트는 사람들의 문화적인 생산품이며 사회, 문화 그리고 정치 등의 중요한 현상들을 포함한다. 스포츠와 미디어의 정의에서 공통점은 인간이 스포츠와 미디어를 사회적 또는 문화적으로 생산해 내는 것이다. 종합해 보면 스포츠와 미디어는 다양한 시대의 사람과 사회 모습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폭넓은 인간과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는 스포츠와 미디어를 연구하는 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간단하게 스포츠-미디어 연구 이렇게 치부할 것이 아니고, 진중하고 엄격한 자세로 수많은 종류, 형식, 방법, 이론을 통해 다양하게 스포츠-미디어를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_Chapter 3 결합태 이론 분석 접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