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4607378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2-07-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이스포츠, 숨겨진 세계의 재발견
1부 이스포츠 생태계
1장 이스포츠의 개념
2장 이스포츠 장르와 종목
3장 이스포츠 생태계와 이해집단
2부 이스포츠 역사
4장 글로벌 이스포츠의 역사
5장 한국 이스포츠의 발전 I(1990~2000년대)
6장 한국 이스포츠의 발전 II(2010년대)
3부 이스포츠 산업
7장 국내외 이스포츠 산업 현황
8장 글로벌 이스포츠 리그와 토너먼트
9장 이스포츠 비즈니스 모델
4부 이스포츠 거버넌스
10장 이스포츠 거버넌스 및 거버닝 바디
11장 이스포츠 거버닝 바디의 종류와 현황
5부 이스포츠 미래 이슈
12장 이스포츠 관련 사회적 제도와 이슈
13장 이스포츠와 올림픽
14장 스포츠의 디지털 확장과 이스포츠
약어
책속에서
권위 있는 국제 스포츠 대회로는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에서 최초로 이스포츠가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었고 2022년 항저우아시안게임에서는 정식종목으로 선정되었다. …… 2021년 5월 AESF는 아시아게임에 개최될 만한 종목을 접수받아 심의했다. 그 결과 공식종목으로 왕자영요, 도타2, 몽삼국2, 피파, 하스스톤, LoL, 펍지 모바일, 스트리트파이터 모바일5, 총 8개 종목이 선정되었다. _ 2장 이스포츠 장르와 종목
이스포츠에서는 게임별로 게임사 또는 리그에서 공표하는 랭킹 시스템이 있는데, 이는 게임을 하는 모든 사람의 순위를 공표하는 것으로, 주요 이스포츠 팀과 조직은 이러한 랭킹 시스템을 보고 직접 아마추어 게이머를 영입해 프로선수로 키우는 방식을 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는 아마추어 게이머로 다양한 대회에 참가하면서 두드러진 활약을 보여 관련 게임업계의 관심을 받아 스스로 스타가 되어 스카우트 제의를 유도해 내는 방식도 있다. 하지만 이 모든 방식에 특별한 시스템이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입소문과 대회 실적 그리고 랭킹 등을 통해 잠재력이 높은 게이머들이 프로 팀에 발탁되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프로게이머 육성을 위해 전문 교육을 제공하는 사설 학원(서울게임아카데미) 또는 각 프로 팀에서 아마추어 아카데미(T1 이스포츠 아카데미, 젠지 엘리트 이스포츠 아카데미) 등을 설립하여 미래의 프로선수를 육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선수가 되는 정형화된 시스템이 없다는 것은 아직까지 이스포츠 산업이 충분히 성숙하고 안정화되지 않았음을 보여 주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다. _ 3장 이스포츠 생태계와 이해집단
2010년대에 들어서서는 여러 형태의 스트리밍 플랫폼들이 이스포츠 대회를 중계하며 그 성장세가 가속화되었다.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는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엔터테인먼트로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의 장점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서비스였기 때문에 더욱 큰 호응을 얻었다. 시청자들은 채팅 기능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었기 때문에 방송 제작자로의 역할도 할 수 있었다. 생방송 이스포츠 게임 중계는 전통 스포츠 중계 방식과 유사한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시청자들은 실제 게임을 플레이할 때보다 게임을 시청할 때 더 즐거움을 느낀다는 연구도 발표되었다(Kaytoue, Silva, Cerf, Meira, and Raissi, 2012). _4장 글로벌 이스포츠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