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미국
· ISBN : 978894607520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4-06-25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미국 헌법과 연방주의
2장 미국의 대통령 선거과정
1. 미국 대통령의 자격
2. 후보 지명과정의 변천
3. 프라이머리의 등장
4. 정당 개혁과 프라이머리
5. 코커스의 등장
3장 예비선거
1. 정당별 대의원 선출과정: 2016년과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2. 예비선거의 종류
3. 프라이머리의 실례
4. 코커스의 실례
5. 아이오와 코커스
6. 뉴햄프셔 프라이머리
7. 프론트 로딩
8. 수퍼 화요일과 수퍼 화요일 II
4장 전당대회
1. 전당대회의 필요성과 의미
2. 2016년 양당의 전당대회
3. 2020년 양당의 전당대회
5장 유권자 투표와 선거인단 제도
1. 유권자 투표의 역사
2. 선거인과 선거인단
3. 2020년 인구조사 결과에 따른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의 주별 선거인수의 변화
4. 유권자 투표의 결과에 의한 선거인 배정
5. 선거인단 제도의 맹점
6. 대통령 선출방식의 대안
7. 선거인단 제도와 연방주의
6장 선거인단 투표와 결과 선포
1. 선거인들의 신뢰성 문제
2. 신뢰를 저버린 선거인들에 대한 2020년 연방대법원의 판결
3. 선거인단 투표 결과의 발표와 대통령 당선인 선언
부록: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1789~2020)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국의 헌법에는 대통령은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된다는 것만 명시되어 있고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각 주의 선거인들의 선출은 유보된 또는 잔여 권리로서 주 정부에 남겨 두었기 때문에 대통령 선거제도는 이러한 연방주의에 기초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권한의 분리로 인해 각 주와 워싱턴 D.C.Washington, D.C.가 정당별 대통령 후보 지명을 위한 전당대회 대의원들을 선출하는 데 있어 서로 다른 예비선거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볼 때 미국의 대통령 선거는 매우 복잡할 수밖에 없다. ⁃ 1장 미국 헌법과 연방주의
남북전쟁 이후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던 산업화와 그에 따른 경제적 성장으로 인해 정부로부터 특권을 추구하던 일부는 정부의 정책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당대회를 통하여 그들의 영향력을 키우고자 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정치적 보스들political boss을 통하여 그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이른바 폴리티컬 머신이 전당대회에 깊이 관여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_ ⁃ 2장 미국의 대통령 선거과정
프라이머리는 주 정부와 지방 정부에 의해 실시된다. 프라이머리를 채택하는 주에서는 민주당과 공화당이 같은 날 실시하는데 보통 연방 하원선거의 선거구를 단위로 프라이머리 투표가 진행된다. 각 투표 장소에서의 결과는 해당 주의 각 정당 주 위원회에서 집계되고 그 결과는 언론을 통해 발표된다. 집계 결과, 프라이머리에서 승리했다는 것은 전당대회에서 자신을 지지하기로 서약, 혹은 선언한 대의원이 가장 많이 선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_ ⁃ 3장 예비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