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46075429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4-09-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미디어 산업 환경변화와 DX 3.0 패러다임
디지털 전환 확산과 미디어 산업
글로벌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 기업의 성장과 로컬 미디어 산업의 변화
글로벌 경제 리스크가 국내 미디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변화하는 미디어 플랫폼 이용자
DX 3.0 패러다임
2장 미디어 플랫폼 산업의 성장과 변화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 시장의 변화
국내 미디어 산업의 위기와 기회
차세대 미디어 플랫폼 FAST의 성장
AI와 미디어 플랫폼 산업의 변화
3장 미디어 플랫폼 산업 전략 방향
스트리밍 사업은 지속 가능한가?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응 전략
FAST 서비스와 블루오션 전략
국내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의 전략 방향 모색
4장 정책과제
미디어 플랫폼 산업에서 정부의 역할은 필요하고 정당화될 수 있는가?
미디어 플랫폼 규제정책에 관한 기존 논의와 쟁점
해외정책 사례
진흥정책 대안
규제 모델의 변화와 수평규제체계 도입
정책 거버넌스와 규제체계 개혁의 연계
에필로그: DX 3.0과 미디어 산업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코로나19 시기 이후 디지털 전환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디지털 전환의 새로운 패러다임 상황에서 OTT, FAST 등 영상 콘텐츠를 중심적으로 제공하는 미디어 플랫폼 산업의 미래 전략 및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와 함께 스트리밍 산업의 지속 가능성에 관한 논의와 함께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한 전략과 함께 국내 미디어 사업자들의 전략 방향을 함께 논의하고 있으며, 국내 미디어 플랫폼 산업과 관련된 정책적 논쟁과 향후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_ “프롤로그”
* OTT 서비스 보급률은 서베이 조사를 통해 추정되었으며, 기존의 각 OTT 유형인 SVOD(가입형 VOD), TVOD(거래형 VOD) 및 AVOD(광고형 VOD) 등에 대한 인구 100명당 이용자 수로 측정되었다.
자료: Statista(2023)
그림 1-2 전 세계 동영상 OTT 서비스 보급률* 확산(2018~2028)(단위: %)
최근 대부분의 나라에서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2023년 유튜브 이용자는 전 세계 약 8억 60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2028년에는 11억 3000만 명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Statista, 2023). 반면 넷플릭스 글로벌 가입자 수는 2023년 3분기에 약 2억 4700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2029년 9월경 2억 9800만 명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 세계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 이용 확산은 각 나라에서 기존 미디어 산업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새로운 사회문제들에 적절히 대응할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 플랫폼 이용자 보호 문제와 미디어 플랫폼 규제정책 문제 등이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_19-20쪽 “1장 미디어 산업 환경변화와 DX 3.0 패러다임”
자료: JustWatch(2024)
그림 2-4 미국 SVOD 시장 점유율 현황(2024년 1분기)
조사 결과 중 흥미로운 점은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넷플릭스의 점유율은 2024년 1분기에 들어서면서 상승세인 반면에 맥스, 디즈니 플러스, 훌루(Hulu) 등은 하향세인 점이 눈에 뛴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넷플릭스의 여전한 강세에도 불구하고 디즈니는 디즈니 OTT 플랫폼인 디즈니 플러스, 훌루 및 ESPN 플러스의 시장 점유율을 합산할 경우 회사 전체로 계산해 보았을 때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글로벌 SVOD 시장 전체에서도 성장과 함께 경쟁은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디지털 TV 리서치(Digital TV Research, 2023)에 따르면 2023년 이후 2029년까지 글로벌 SVOD 가입자 수는 약 3억 3200만 명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2029년에 전 세계 SVOD 가입자는 약 17억 9000만 명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함께 2029년에도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디즈니 플러스가 시장에서 1위 경쟁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_60-61쪽 “2장 미디어 플랫폼 산업의 성장과 변화”
전 세계 SVOD 사업자들의 스포츠 중계권 확보를 위한 투자비용은 2023년에 약 85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수치는 전 세계 스포츠 중계권 투자의 약 2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Ampere Analysis, 2023). 이와 같은 실시간 스포츠 중계권을 장기간 계약을 통해 확보하게 되는 경우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성장’ 측면에서 매우 투자 효율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내외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들 간의 인기 실시간 스포츠 중계권 확보를 위한 경쟁은 점점 심화되고 있다. _130-131쪽 “3장 미디어 플랫폼 산업 전략 방향”
성공적인 FAST 서비스는 기본형 유료방송 및 프리미엄 유료방송과 비교하여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과 콘텐츠 당 이용자 비용은 낮은 수준이며, 비용 효율성, 이용자 경험, 디바이스 접근성, 광고 친화성 등은 기본형 유료방송 및 프리미엄 유료방송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편, 성공적인 FAST 서비스는 기존의 프리미엄 케이블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하지 못했던 표적 광고 등 새로운 형태의 광고, 콘텐츠나 채널 추천(큐레이션), 광고 시스템의 투명성 등을 새롭게 제공했다는 점에서 명확하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_142-143쪽 “3장 미디어 플랫폼 산업 전략 방향”
미디어 플랫폼 관련 규제 관련 추가적 쟁점 이슈 중 하나는 미디어 플랫폼 분야에서의 자율규제의 적용 가능성 여부와 적용 범위라고 볼 수 있다. 자율규제는 규제 방법론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기존 행정규제와 대척점에 있는 규제방식으로서 일정한 영역에서 조직화된 집단이 스스로 그 구성원의 행위를 규율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김상택 외, 2016; 이종원, 2023), 기존의 규제 수범자들이 스스로 기준을 정립하거나 정립된 기준을 집행하는 것 또는 두 가지 모두를 행하는 것과 관련된다(선지원, 2022). _ “ 4장 정책과제”
공적 영역은 주로 공공성과 공적 책임이 더 강조되는 공영방송을 포함한 지상파방송 서비스가 적합할 것으로 보이며, 사적소유와 지배구조를 가지면서 산업적 색채가 더 강한 미디어 플랫폼 영역 즉, 유료방송 서비스와 동영상 OTT 서비스는 법체계상 공적 영역과 분리하면서 ‘사회적 책임 중심의 수평적 규제체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공적 영역을 구분할 경우는 기존의 수직적 규제체계 내에서 기존 방송법 중 공영방송 및 지상파 관련 조항을 통합하여 (가칭)‘공공미디어서비스법’ 제정을 고려하여 공공 영역을 규율하고 공적 영역은 공공성 회복 및 강화에 중점을 두면서 시장에서 제공할 수 없는 콘텐츠와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민간 영역은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Content-Platform-Network) 각 계층에서 공적 영역과 구분되는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수평적 규제체계’를 도입하여 효율성, 자율성, 경쟁 및 혁신 성장 등 경제적 정책목표를 추구하되 주로 미디어 플랫폼 이용자의 기본적인 권리 보호 및 내용 규제 등 사회적 규제 중심의 규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_ “4장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