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양장)

(ICT 전문가 12인이 묻고 답하다)

이봉규, 황용석, 권태경, 곽정호, 윤석민, 곽규태, 이상원, 이준웅, 이봉의, 이상우, 조화순, 김성철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280원
27,7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양장) (ICT 전문가 12인이 묻고 답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공학 일반
· ISBN : 978894607092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8-07-30

책 소개

4차 산업혁명이 모든 산업의 화두가 되고, 이에 잘 대비하는 것이 정부의 핵심 정책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능정보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시대에 펼쳐질 변화가 어떤 것이고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미래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과 전략은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하다.

목차

1부 기술이용환경
질문 01 망 중립성과 인터넷 상호접속이 왜 중요한가
질문 02 알고리즘이 왜 이슈인가
질문 03 정보보안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2부 경제·사회·문화
질문 04 디지털경제의 일자리는 충분한가
질문 05 4차 산업혁명은 사회적 소통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질문 06 지능정보시대의 콘텐츠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질문 07 차세대 미디어 OTT는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가
질문 08 디지털시대 공영방송의 전망과 지배구조는 어떠한가

3부 규제와 거버넌스
질문 09 4차 산업혁명시대, 정부규제의 역할은 무엇인가
질문 10 국내 ICT시장은 구글의 홈그라운드인가
질문 11 4차 산업혁명시대, 글로벌 거버넌스의 미래는
질문 12 4차 산업혁명시대, ICT 거버넌스 이대로 괜찮은가

저자소개

이봉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졸업(법학석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독일 Johannes Gutenberg-Uni. (Mainz) 졸업(법학박사, Dr. Ius.) [주요 경력]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경쟁법센터장 공정거래위원회 경쟁정책자문단 위원 아시아태평양경쟁커뮤니티(APCC) 회장 (재)한국인터넷광고재단 이사장 외 전) 한국경쟁법학회 회장 공정거래위원회 법개정특별위원회 경쟁법제분과 위원장 중소벤처기업부 고발요청심의위원회 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심사위원회 위원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적극행정위원회 위원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위수탁분쟁조정협의회 위원장 방송통신위원회 법률자문단 위원 및 합병심사위원 [주요 저서 및 논문] 공정거래법상 온라인 플랫폼의 자사우대, 박영사, 2023(공저) 독점규제법(제7판), 법문사, 2020(공저) 독일경쟁법, 법문사, 2016 기업결합규제법, 법문사, 2012(공저) 경제법연습, 홍문사, 2013(공저) 외 해운선사 간 운임협약과 해운법상 “자기완결적” 적용제외, 경쟁법연구 제48권, 한국경쟁법학회, 2023. 공정거래위원회의 독립성에 관한 단상(斷想), 법학연구 제31권 제1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공정거래법상 특수관계인 등에 대한 부당한 사업기회제공의 도그마틱, 상사법연구 제39권 제4호, 한국상사법학회, 2021. 디지털플랫폼의 자사 서비스 우선에 대한 경쟁법의 쟁점, 법학연구 제30권 제3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입찰담합에 따른 손해액의 산정에 관한 연구, 경쟁법연구 제41권, 한국경쟁법학회, 2020. 디지털경제와 기업결합 신고의무의 개선방안, 경쟁법연구 제39권, 한국경쟁법학회, 2019. 공정거래법상 특수관계인에 대한 이익제공의 ‘부당성’에 관한 해석방법론, 선진상사법률연구 제81권, 2018. 공정거래법상 과징금 부과와 그룹책임(group liability)의 법리, 경쟁법연구 제36권, 한국경쟁법학회, 2017.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사업활동방해의 경쟁제한성 판단―현대?기아차 판결을 중심으로―, 법학논문집 제41권 제2호,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유통분야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제재의 재구성, 경쟁법연구 제35권, 한국경쟁법학회, 2017. 한국형 시장경제의 심화와 경제법의 역할, 서울대학교 법학 제58권 제1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펼치기
윤석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서울대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같은 전공으로 석사과정을 마쳤다.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의 커뮤니케이션 박사과정으로 유학을 갔다가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로 옮겨 매스미디어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미디어 정책을 연구하면서 현실의 미디어 및 언론 정책에도 깊게 관여했다. 한국 사회 미디어 체계의 주요 현안들, 특히 미디어 다양성, 공정성, 사실성과 같은 규범적 가치들의 이론적 정립에 관심을 두고 『미디어 거버넌스: 미디어 규범성의 정립과 실천』(2020), 『미디어 공정성 연구』(2015) 등을 펴냈고, 그 가치들을 실천하는 차원에서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미디어다양성위원회, SNU 팩트체크 등의 설립을 주도하고 이끌었다. 2025년 현재는 저널리즘 연구에 몰두하면서, AI 시대 언론을 이끌 인력 양성의 산실이 될 저널리즘 스쿨 설립에 부심하고 있다.
펼치기
황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1999)를 취득한 이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으로 근무하면서 데이터저널리즘, 온라인저널리즘 정책 연구 등을 수행했다. 건국대학교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를 운영하면서 AI 및 데이터 기반 정책연구와 이용자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데이터저널리즘 코리아 컨퍼런스와 어워드, 뉴스테크 이니셔티브 등의 행사를 조직 및 운영하고 있다. 현재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정책위원, 디지털플랫폼민간자율기구 위원, 디지털플랫폼정책포럼 위원,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민간협의회 위원, 법무부 인권정책자문 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장, 언론중재 위원,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위원회 위원, 미디어 다양성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대통령 표창(2019), 기획재정부장관 표창(2024), 교육부장관 표창(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2023),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표창(2015), 건국대학교에서 학술상(2014), 연구공로상(2015) 그리고 강의 우수상(2008), 리서치프론티어 상(2014, 2015, 2016, 2017, 2018) 등을 수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디지털 플랫폼 정책 및 자율규제, 디지털미디어 이용자 행동연구,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설계와 구축, 추천 알고리즘 공정성 및 효과측정, AI 리터러시와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계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수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A new dimension of the digital divid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band connection, smartphone u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Telematics and Informatics)” 등 80 여 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는 <데이터시대 언론학연구>(커뮤니케이션북스, 공저) 등 50 여 권 이상을 발간했다.
펼치기
이준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대인소통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펜실바니아 대학의 애넨버그 학교에서 정치소통을 연구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말과 권력》(한길사, 2011)이 있고, 한국 언론에 대한 논문으로《비판적 담론 공중의 등장과 언론에 대한 공정성 요구》, 《한국 언론의 경향성과 이른바 ‘사실과 의견의 분리’》, 《소통은 진리를 위한 것인가》, 《디지털 뉴스 시대의 언론윤리》, 《민주화 이후 한국 언론의 과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이며 미디어산업과 뉴미디어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미디어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SK에서 정보통신분야 신규사업을 담당했고 개방형 직위인 서울특별시 정보시스템담당관을 거쳐 카이스트(구-한국정보통신대학교) IT 경영학부 부학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초빙연구원, 고려대학교 부설 정보문화연구소장, 고려대학교 도서관장,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한국정보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지능정보기술과 사회문제 연구센터와 미디어산업 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급변하는 지능정보사회의 문제와 미디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략과 정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다. 미디어·콘텐츠·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의 이해, ICT·미디어·콘텐츠 산업론, 뉴미디어 세미나 등을 강의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방송 산업과 방송통신 융합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정보통신정책학회 책임편집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고, 현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편집이사,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디어 다양성』(공저, 2011),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소셜미디어』(공저, 2012),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공저, 2014) 등이 있고, Journal of Media Economic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등의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이상우의 다른 책 >
조화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이 추동하는 정치와 사회 변화, 기술정책과 미래 거버넌스, 데이터 사회과학 등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디지털사회과학센터의 센터장을 맡고 있다. 정치학자 중 최초로 과학기술한림원의 정책학부 정회원으로도 활동 중이며, 제53대 한국정치학회 학회장이다. 주요 저서로는 《언박싱 코로나》(2023), 《데이터 시대의 사회과학》(2020), 《사회과학자가 보는 4차 산업혁명》(2018), 《빅데이터로 보는 한국정치 트렌드》(2016), 《소셜 네트워크와 정치변동》(2012)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곽규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순천향대학교 글로벌문화산업학과 교수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영상학 석사를 수료한 후, 정보학 석사,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KBI),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에서 근무했고, 순천향대학교 글로벌경영대학 글로벌문화산업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콘텐츠비즈니스, 플랫폼생태계, 미디어경영경제와 관련한 다양한 저서와 논문을 집필하였으며, 현재 한국정보사회학회·한국미디어경영학회의 공동 학술지인 <정보사회와 미디어> 편집위원장을 거쳐, 현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부회장, 한국방송학회 수석총무이사, 정보통신정책학회 책임편집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곽규태의 다른 책 >
이봉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 학술정보원장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원장 역임 방송통신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장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회장 역임 미국 Cornell 대학교 박사
펼치기
이상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 워싱턴 대학교(George Washington University)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University of Florida)에서 미디어경제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및 경희대학교 미디어혁신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장, 한국미디어경영학회 부회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부회장, 한국엔터테인먼트학회 부회장, 미국 텍사스 대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풀브라이트(Fulbright) 초빙학자 및 미국 센트럴 미시간 대학교(Central Michigan University)에서 교수를 역임하였고, 미디어 및 ICT 관련 정책기구와 방송·통신·인터넷 사업자에게 다양한 자문을 제공해 왔다. 미디어 및 ICT 산업정책, 미디어 경제경영학 및 디지털 콘텐츠 산업 관련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Telematics and Informatic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방송통신연구≫ 등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다. 한국방송학회 저서 부문 학술상, 정보통신 유공 대통령 표창 및 한국방송학회 우현 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인터넷 상호접속이란 인터넷 접속 서비스 및 인터넷 전용회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 간 인터넷 트래픽 교환을 위해 상호 간 인터넷망을 연동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한 ISP에 가입하면 전 세계에 산재한 콘텐츠 또는 다른 ISP 가입자와 접속이 가능해지는 이른바 보편적 연결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인터넷 상호접속은 인터넷망을 서로 연결해 이용자가 마음껏 인터넷을 이용하도록 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_ 01 망 중립성과 인터넷 상호접속이 왜 중요한가, 16쪽


수학자나 공학자들은 아이디어를 흔히 알고리즘으로 표현한다.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단계의 순서를 명시하는 구체적인 계산법으로 일반적으로는 어떤 과업을 수행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절차를 의미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리 구성된 수학적 모형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ICT에 인공지능기술이 빠르게 접목되는 소위 ‘지능정보혁명’이 본격화되면서 특히 딥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인공지능알고리즘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로봇 등 여타 기술과 결합, 범용화 되면서 알고리즘이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산업의 핵심 키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_ 02 알고리즘이 왜 이슈인가, 38쪽


악성코드의 기원과 역사를 살펴보면, 우선 존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이 자기복제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했던 1949년을 시작으로 자기복제를 통해 시스템 자원을 점유해가며 결국 전체 컴퓨터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프로그램이 처음으로 등장했던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프레드 코언Fred Cohen이 컴퓨터 바이러스 용어와 개념을 처음으로 정의했던 1983년과, 전 세계에 걸쳐 IBM PC 호환 컴퓨터의 부트섹터를 폭넓게 감염시켰던 브레인 바이러스가 처음 등장했던 1986년을 악성코드의 시작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더구나 1988년에는 로버트 모리스라는 학생이 개발한 최초의 인터넷 웜 프로그램이 자기복제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 자원을 점유하며 당시 BSD UNIX 운영체제 기반 컴퓨터 10%의 인터넷 연결을 마비시키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특히 이것은 기술적으로 버퍼오버런이라 불리는 메모리 침해의 위험성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건이기도 했다. 그리고 이어진 미켈란젤로, CIH 바이러스 등의 등장은 향후 스턱스넷, 미라이봇넷, 크립토락커 등으로 이어지는 오늘날의 악성코드 시대를 예고했다. _ 03 정보보안이란 무엇인고 왜 중요한가, 68~69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