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혼란기의 경영

혼란기의 경영

(시대를 뛰어넘은 위기경영의 지혜)

피터 드러커 (지은이), 이왈수, 박종훈 (옮긴이)
한국경제신문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0원 -10% 0원 0원 >

책 이미지

혼란기의 경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혼란기의 경영 (시대를 뛰어넘은 위기경영의 지혜)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경영 사상가 20인] > 피터 드러커
· ISBN : 9788947528870
· 쪽수 : 263쪽
· 출판일 : 2013-01-14

책 소개

경영자는 무엇을 할 수 있고, 무엇을 해야 하며, 무엇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가? 혼란기에 꼭 필요한 실행 능력과 전략의 중요성을 역설했던 피터 드러커의 역작. 급변하는 세계 경제와 한국 경제 상황에 꼭 필요한 분석과 통찰, 그리고 솔루션을 보여준다.

목차

옮긴이의 글│글로벌 경제 불황의 시대, 다시 부활하 피터 드러커의 지혜
프롤로그│혼란기, 무엇을 결정하고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1장 기초 체력을 관리하라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라
유동성과 자금력을 관리하라
생산성을 관리하라
지식노동자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라
기업의 유지비용을 계산하지 않은 이윤은 환상이다

2장 내일의 경영을 시작하라

기업의 체중을 관리하라: 자원을 결과에 집중하기
비생산적인 과거를 정리하고 기회를 포착하라
전략을 세워 성장을 관리하라
이노베이션과 변화를 관리하라
냉링르 위한 기업 전략을 세워라
경영자들의 성적표르 확인하라

3장 거대한 인구 구조 변화를 관리하라

인구 동태의 새로운 현실을 파악하라
초국적 통합, 생산 분업에 주목하라
새로운 소비 지상을 주목하라
인구 변화가 경영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라
하나의 노동력에서 여러 노동력으로 이동하라
사라지는 퇴직연령에 주목하라
경영자와 프로페셔널, '머리 둘 달린 괴물'을 인정하라
개발도상국에 필요한 고용을 구별하라
잉여인력 활용에 대한 기획이 필요하다

4장 혼란기야말로 경영이 필요하다

세계 경제는 통합된다
초국적인 세계통화가 탄생한다
주권이 사라진다
세계 정치는 분열한다
세계 경제의 준선진국들이 활약한다
세계 경제를 위한 기업 정책이 필요하다
피고용인 사회가 도래한다
권력은 재산을 따라간다
노조는 살아남을 것인가
기업도 정치적 기관이다
경영은 정치 호나경을 무시할 수 없다

에필로그│경영자가 직면한 도전을 직시하라

저자소개

피터 드러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대를 앞서가는 경영철학과 미래사회에 대한 탁월한 통찰력으로 널리 알려진 피터 드러커는 1909년 11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공무원인 아버지와 의사인 어머니 사이에 장남으로 태어났다. 1920년에 독일 함부르크로 건너갔고, 후에 프랑크푸르트로 옮겨 일간지 프랑크푸르트 제너럴 엔자이저의 고위 편집담당자로 일하며 야간에는 프랑크푸르트대학교 박사과정을 다녔다. 1932년 프랑크푸르트대학교에서 국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주요 연구들이 나치로부터 출간 금지와 분서 조치를 당하면서, 영국으로 이주하여 금융기관에서 일하며 집필활동을 하다가, 1937년 미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1939년 영국에서부터 준비한 《경제인의 종말》을 미국에서 출간하고, 《산업사회의 미래》를 이어서 출간하면서 미국 사회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1940년대 사라로렌스대학교, 베닝턴대학교 등에서 경제학, 정치학, 철학 등을 가르쳤다. 1944년 GM을 연구할 기회를 얻게 되어, 그 결과물로 《기업의 개념》을 발간하면서 본격적으로 경영학을 체계화하는 작업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1950년 뉴욕대학교 경영대학원에 합류하여 경영학을 연구하고 강의 및 컨설팅하게 되었다. 이때 집필한 《경영의 실제》는 경영자 교육의 교본 역할을 했고, 20년간 경영교육과 컨설팅을 체계화하고 저술을 발표하면서 경영을 실행과 학문으로 정립했다. 1971년 클레어몬트 그레주에이트대학교로 옮겨 2002년 강의를 은퇴할 때까지 총 39권의 저서를 출간했고, 수많은 논문을 쓰고 컨설팅했다. 경영학의 대부이자 세계 5대 컨설턴트이며, 사회변혁을 선도하는 사회생태학자인 피터 드러커는 후대에 기억될 학자, 저자, 컨설턴트로서 여전히 위업과 지혜로 세인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펼치기
이왈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이며, ≪강대국의 흥망≫, ≪톰 피터스의 경영창조≫, ≪코코넛 깨뜨리기≫ 등을 옮겼다.
펼치기
박종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강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홍콩 시티 대학교 및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UBC에서 경영전략을 전공하여 경영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기업지배구조, 전략적 제휴, 혁신 전략, 다국적 기업의 핵심역량 관리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으며, 그 결과 SSCI 국제 학술지에 20여 편, 국내 학술등재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특히 국제 저명 학술지인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등에 연구 결과를 게재했으며, 한국전략경영학회, 한국인사조직학회, 한국국제경영학회의 상임이사 및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혼란기는 위험한 시기지만 가장 큰 위험은 현실을 부정하려는 충동이다. 오늘날의 가장 크고 가장 위험한 혼란은 정부나 기업의 최고경영진이나 노조지도층을 막론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들이 빠져 있는 환상과 현실 간의 괴리에서 비롯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혼란기는 동시에 새로운 현실을 이해하고 수용해 활용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는 기회의 시기다. 무엇보다도 지도층에게는 기회의 시기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 시종일관 강조하는 주제는 각 기업의 의사결정자들이 현실을 직시하면서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것’의 유혹, 내일이면 해로운 미신이 될 어제의 확실성이라는 유혹을 뿌리쳐야 한다는 점이다. 이 책은 새로운 현실을 논한다. 그런데 이해가 아니라 행동에 관해, 분석이 아니라 결정에 관해 논한다. 이 책은 ‘철학’ 서적이 아니며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묻지 않는다. 이 책은 현실적이고 공사를 불문하며 모든 분야의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책이다. 또한 경영자들에게 방법을 가르치는 책이 아니라 무엇을 할 것인지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혼란기에는 시류에서 밀려나는 쇠퇴가 가속화한다. 따라서 과거를 조직적으로 정리하는 한편 자원을 체계적으로 집중시키는 것이 성장 정책의 첫 번째 요건이 된다. 혼란기가 도래했을 때는 기업뿐만 아니라 비기업 공공서비스 기관도 시장에서 변두리로 밀려나지 않기 위해 어느 정도로 성장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신이 속한 시장이 성장하고 있을 때 더불어 성장하지 않으면 안 되며, 변두리로 밀린다는 것은 소멸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회사인 크라이슬러의 정책은 무엇을 하면 안 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1960년경 크라이슬러는 사실상 성장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내부에 성장에 필요한 자원이 없었다. 성장을 하려면 합병을 해야 했는데 그 상대로 유럽 업체가 될 수도 있었다. 그런데 그렇게 하지 않고 크라이슬러는 ‘보수적인’ 노선을 유지해 업계의 ‘리더’이기보다는 한 ‘요소’로 남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이 결정은 끔찍한 실수였음이 드러났다. 자동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1975년에 이르자 크라이슬러는 변두리로 밀려났다. 정부의 대대적인 구제 조치에도 불구하고 생존 자체가 의문시되었다.


시장의 리더가 되는 전략과 좁은 문으로 들어가는 이른바 ‘톨게이트’ 전략, 이 두 가지는 모두 성공할 수 있다. 지켜나갈 수 없는 것은 양자 간의 중간 전략이다. 이 둘을 합친 전략은 거의 틀림없이 실패한다. 두 영역이 요구하는 행동은 서로 다르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보상도 다르며 그에 걸맞은 성격 또한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기업에서 여러 개의 각각 다른 틈새시장을 겨냥하는(각기 특정 시장을 겨냥하고, 특화를 꾀하며, 다른 ‘톨게이트’ 시장을 선점하는) 일을 하나의 사업으로 합치는 것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리한 경우가 많다. 기업은 이런 전략의 강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전략을 짜내야한다. 우리는 무엇을 잘하는가? 우리가 실적을 올릴 수 있는 분야는 어디인가? 대다수 기업과 공공서비스 기관들 모두 어느 분야에서나 ‘리더’가 되는 일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강점은 언제나 구체적이고 특별해야 한다. 보수는 강점에 지급하는 것이지 약점에 지급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첫째로 물어야 할 것은 “무엇이 우리의 구체적인 강점인가?”이다. 그런 다음에는 이렇게 물어야 한다. “그 강점은 알맞은 것인가? 그 강점은 내일의 기회에 적합한가, 아니면 어제의 기회에 알맞은가? 이제 더 이상 기회가 없거나 애당초 기회가 없었던 곳에 강점을 활용하려 했던 것은 아닌가? 그리고 끝으로, 우리는 어떤 강점을 추가해야 하는가? 인구 동태와 지식 및 기술의 변화, 세계 경제의 변화, 기회와 환경의 변화를 활용하려면 어떤 실행 능력을 더 갖춰야 하는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