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47540629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6-01-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수도권 부동산 투자시장의 답은 신도시에 있다
CHAPTER 01 수도권 신도시에 대한 투자 전략
1. 2016년 이후의 부동산 시장전망과 투자키워드
1) 2016년 이후의 부동산 시장전망과 투자전략
2) 수도권 신도시의 투자 키워드
CHAPTER 02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핵심, 1기 신도시
1. 1기 신도시의 큰형님, 분당신도시
1) 분당 신도시 개발 스토리
2) 1기 신도시를 대표하는 분당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분당 아파트, 학군이 좌우한다!
4) 분당의 아파트 가격은 수도권 신도시의 기준!
5) 분당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2. 일산신도시
1) 일산신도시 개발 스토리
2) 경기 서북부 지역의 중심, 일산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일산신도시 아파트, 학군이냐? 로망이냐?
4) 일산의 아파트는 경기 서북부 지역의 기준!
5) 일산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3. 분당신도시의 형제, 평촌신도시
1) 평촌신도시 개발 스토리
2) 버블세븐 지역이었던 평촌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평촌의 아파트, 분당처럼 학군이 좌우한다
4) 평촌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4. 평촌신도시가 항상 부러운 산본신도시
1) 산본신도시 개발 스토리
2) 1호선에 의해 안양과 생활권이 분리된 산본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산본의 아파트, 소형평형이 중심이다
4) 산본의 아파트 평촌을 넘어설 수 있을까?
5) 산본신도시 부동산의 시장전망
5. 도심 속의 미니신도시, 중동신도시
1) 중동신도시 개발 스토리
2) 1기신도시에서 가장 작은 중동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중동의 아파트, 역세권 소형평형이 좋다?
4) 중동의 아파트 가격은 상동지구와 인천 삼산지구가 같이 움직인다
5) 중동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CHAPTER 03 2기 신도시
1. 제2의 강남을 꿈꾸는, 판교신도시
1) 판교신도시 개발 스토리
2) 제2의 강남을 꿈꾸는 판교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판교의 아파트, 혁신학교가 말해준다!
4) 판교의 아파트 가격은 경쟁상대가 없다?
5) 판교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2. 교육도시의 신 패러다임, 광교신도시
1) 광교신도시 개발 스토리
2) 명품 교육도시를 꿈꾸는 광교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광교의 아파트, 학군이 좋으면 입지가 좋다!
4) 광교의 아파트 가격, 분당을 뛰어넘었다!
5) 광교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3. 수도권 남부 신도시 개발의 출발, 동탄 1신도시
1) 동탄1신도시 개발 스토리
2) 수원 S전자의 베드타운 기능을 하는 동탄 1신도시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동탄1신도시의 아파트, 시범단지가 말해준다!
4) 동탄1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4. 수도권 남부 메가신도시의 완성, 동탄 2신도시
1) 동탄 2신도시 개발 스토리
2) 수도원 남부 메가신도시를 꿈꾸는 동탄 2신도시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동탄 2신도시의 아파트, 시범단지는 무조건 좋다!
4) 동탄 2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5. 서울 동남권 발전의 중심, 위례신도시
1) 위례신도시 개발 스토리
2) 강남 대체 주거지역으로 개발된 위례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위례의 아파트 송파ㆍ성남ㆍ하남 그것이 문제로다!
4) 위례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6. 서울과 친하고 싶지만 아직은 어려운, 한강신도시
1) 한강신도시 개발 스토리
2) 수도권 서북부의 자족도시로 계획된 한강신도시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한강신도시의 아파트, 역세권에 답이 있다!
4) 한강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CHAPTER 04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틈새, 미니신도시
1. 수도권 동북부의 스타, 별내신도시
1) 별내신도시 개발 스토리
2) 4호선 연장으로 스타가 된 별내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별내의 아파트, 4호선이 중심이 된다?
4) 별내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2. 하남보다는 서울이고 싶은 미사강변도시
1) 미사강변도시 개발 스토리
2) 5호선 연장으로 서울 생활권이 되는 미사강변도시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미사강변도시의 아파트, 한강 조망권이 중요하다?
4) 미사강변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3. 고양 아닌 서울 같은 삼송신도시
1) 삼송신도시 개발 스토리
2) 신분당선 연장 호재가 기대되는 삼송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삼송의 아파트, 남삼송과 북삼송의 빈익빈 부익부가 진행되고 있다
4) 삼송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4. 몸은 인천, 마음은 서울인 인천의 유아독존, 송도신도시
1) 송도신도시 개발 스토리
2) GTX 개발로 인천 꼬리표를 지우고 싶은 송도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송도의 아파트, 학군이 경쟁력이다!
4) 송도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5. 송도신도시의 최대의 라이벌, 청라국제도시
1) 청라국제도시 개발 스토리
2) 7, 9호선의 연장으로 재도약을 꿈꾸는 청라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청라의 아파트, 중소형평형이 주도한다!
4) 청라국제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6.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영종신도시
1) 영종신도시 개발 스토리
2) 9호선 연장으로 입지의 한계를 넘고 싶은 영종의 지역특성 살펴보기
3) 영종의 아파트, 영종하늘도시가 안정되고 있다?
4) 영종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전망
리뷰
책속에서
앞으로 5년 후인 2020년이 되면 신도시는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화두가 될 가능성 이 많다. 1기신도시들은 재건축이나 리모델링에 대한 본격적인 시기가 찾아오게 되며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또 한 번의 기회가 찾아오게 될 것이다. 2기신도시는 2020년 경 이 되면 준공 후 10년 전후를 맞이하는 지역들이 많다. 과거 1기신도시는 준공 후 성 장과 안정화시기를 보내고 10년 후인 2005년경에 아파트 가격의 대세상승이 나타났다. 1기신도시의 패턴처럼 2기신도시에서도 가격상승의 기대감이 높을 수밖에 없다.
부동산 투자를 성공하기 위해서 남들보다 한발 앞서야 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이 치다. 부동산 투자시장의 흐름상 수도권 신도시는 새로운 기회가 다가오는 최고의 부동산 투자지역이 될 것이며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남들보다 앞서서 수도권 신도시 투자에 대한 눈을 뜨게 될 것이다.
<프롤로그> 중에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전망을 명쾌하게 제시하기는 어렵다. 부동산 시장의 모든 예측이 여러 가정들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이고 그러한 가정들이 실제로 적용되는가에 따라 전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과거에 부동산 전문가들이 예측한 전망들이 과연 얼마나 적중하였는지를 생각해보면 부동산 시장 전망에 대한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그러나 2016년 이후의 투자전략은 명쾌한 답을 제시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2016년 이후의 부동산 시장변화에 따른 유연적 대처가 가능한 투자를 해야 하고 2017년 이후에 부동산 시장이 하락하더라도 실패하지 않는 투자대상을 찾아 투자를 해야 한다는 전제를 깔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투자전략으로써 수도권 신도시와 그 주변일대에서 전세가가 높은 아파트를 투자지역으로 제시할 것이다.
<2016년 이후의 부동산 시장전망과 투자키워드> 중에서
판교라는 이름은 운중천 위에 널(판자)로 만든 다리가 놓여 ‘널다리’를 부르던 이 지역의 ‘너더리’ 마을에서 나왔다고 한다.
판교신도시는 1976년 남단녹지로 지정되어 주민재산권이 제한되어 왔으며, 2001년 건축제한이 만료됨에 따라 예상되는 무분별한 난개발을 사전에 방지하고, 성남시의 합리적인 도시발전을 도모하며, 계획적 공영개발을 통한 수도권지역의 지속적인 택지공급에 기여하고자 개발에 착수하게 되었다.
판교신도시는 서울도심과 20㎞, 강남과 10㎞ 거리에 위치하고 성남의 신시가지인 분당과 인접해, 수도권 동남부권역의 중심지역으로서 성장 가능한 지리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개발대상지의 70% 이상이 임야와 농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 내 운중천과 금토천이 흐르고 청계산 자락의 임상양호지가 동서로 입지하고 있어 환경 친화적이고 쾌적한 주거단지조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판교신도시는 성남시의 지역발전 및 도시 중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시공간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친환경적 도시환경 조성으로 성남시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또한 성남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된 개발예정용지의 계획 목적에 부합한 수도권의 택지난 해소를 위한 신주거 단지 계획과 산업기반 제고를 위한 도시지원시설 조성을 통한 자족형 도시를 조성하고자 했다.
<제2의 강남을 꿈꾸는, 판교신도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