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47546232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0-09-1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부 투자로 보는 머니 사이클의 중요한 요소들
인구 : 정해진 미래에 투자의 답이 있다
정해진 미래의 키워드
금리 : 경기의 방향을 알게 해주는 기준 금리
미연방준비제도의 정책을 잘 이해하자
마이너스 금리 시대를 준비하자
환율 : 환율로 보는 거대 투자자들의 심리
미 금리 인상하면 달러 가치는 오른다?
원자재 : 실질 경제 상황을 알 수 있는 원자재 가격
1배럴은 몇 리터이며, 얼마일까?
미국의 막강한 에너지 무기, 셰일가스
채권 : 자산의 흐름을 알 수 있는 채권의 움직임
미 경기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예언지표, 미 장단기 채권 스프레드
세계 정세 : 투자자라면 관심의 폭을 넓혀야 한다
디플레이션 시대의 투자 전략: 돈의 흐름이 바뀌고 있다
저성장의 의미와 투자 전략
저성장에서 거대한 자금이 정해진 곳으로 가고 있다
2부 경기 순환과 머니 사이클
1단계 : 경기 회복기
미 기준 금리 인상 시작(저금리 기조 유지)
FED 양적 완화 정책 진행 중
부동산 가격 상승
외국인 장세 : 개인 투자자 무관심
주식 투자 전략 : 성장주 IT 저점 매수 기회
2단계 : 경기 성장기
실적 장세 :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을 이루는 강세장
기관 투자자 그룹 장세
부동산 가격 상승세
원자재 가격 상승세 : 인플레이션 정상 작동 중
FED의 통화 정책 : 미 기준 금리 인상 지속
FED의 통화 정책 : 양적 완화 정책에서 긴축 정책 변화
달러 약세 지속 및 각국의 환율 강세
주식 투자 전략 : 가치주, 홀딩 전략 지속
3단계 : 경기 안정기(정점)
개인 투자자 그룹 주식 시장 참여 확대
미 기준 금리 인상으로 금융 비용 상승세
부동산 시장의 과열 및 둔화
FED의 통화 정책 : 긴축 정책 종료
미 장단기 채권 스프레드의 변화 예의 주시
경기 과열에 따른 둔화 우려
원자재 가격 강세에서 약세 전환
유동성 장세 : 급등주, 테마주, 우선주 극성
각종 금융 상품 가입 증가
안전자산 선호 시작
환율 강세 및 각국 환율 약세 전환
엔화 강세의 의미
폭풍 전야
주식 투자 전략 : 현금 비중 확대, 대형주 위주, 미국 주식
4단계 : 경기 붕괴, 다시 시작되는 투자 시계
버블 붕괴 현실화(블랙 스완)
미 기준 금리의 급격한 인하
FED 양적 완화 정책 재가동
환율 초강세 및 각국 환율 급락(엔화 급등)
원자재 가격 하락 및 유가 변동성 심화
미 장단기 채권 스프레드의 “+” 전환
주식 투자 전략 : 자산 버블 붕괴로 최저가 매수 기회
제2차 버블 그리고 자산 사이클의 새로운 시작
5단계 : 경기 하락기
주식 시장 진정
환율 진정
각국 양적 완화 진행
미 장단기 채권 스프레드의 강세 유지
실물 경기는 최악인데 주식 시장은 상승하는 이유
투자 전략 : 대형주 위주, 미국 주식 시장 상승세 유지
금값 폭등
6단계 : 경기 침체기
기업의 본격적인 구조조정 진행
부동산 가격 본격적 하락
주식 투자 전략 :경기 방어주의 상승세
각국 중앙은행의 양적 완화 정책과 저금리 정책 기조 유지
재테크 무관심의 시기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 둔화
7단계 : 경기 바닥
양적 완화 정책은 여전히 진행 중
금값 하락세
각 정부의 실물 경기 부양책(부동산 시장 활성화)
경기 방어주의 하락 전환
다시 시작되는 경기 사이클
3부 주식 투자로 본 거시경제 분석과 투자 기회
자본은 살아 움직이는 생물이다
투자자는 ‘경제는 성장한다’에 명제를 두어야 한다
중앙은행에서 말하는 물가 안정은 좋은 뜻인가?
물가와 정부 정책 의지 그리고 투자 전망
투자 입장에서 인플레이션을 이해하라
기업은 인플레이션을 먹고 자란다
경제 성장률로 알 수 있는 주식 시장 전망
주식 투자자는 경제학자가 아니다
경기는 항상 순환하면서 성장한다
만약 금리가 인상된다면
자본 사이클의 시작엔 새로운 산업이 일어난다
4부 복잡한 머니 사이클에서 이길 수 있는 주식 투자 전략
투자와 투기는 전략이 서로 다르다
균형 있는 자산 배분의 중요성
시장은 펀더멘탈보다 투자 심리에 영향을 받는다
버블은 또 다른 시작이다
트렌드에 맞는 기업에 투자한다
일상 속에서 기업을 발굴하는 습관을 키우자
주식 수익률은 기업의 순마진율과 동일하다
무리하게 2m 장애물을 넘지 말고 누구나 넘을 수 있는 30cm 장애물을 계속해서 넘어라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변화무쌍한 주식 시장을 움직이는 바람은 무엇일까? 때론 상승장을, 때론 하락장을, 때론 조정장을 만드는 바람은 무엇일까? 그것은 ‘인구와 금리’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인구는 경제의 소비 주체이며, 금리는 돈의 흐름이 팽창되거나 수축되게 하는 혈관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식 투자자들은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해 늘 예의주시해야 한다. 과거에 잘나갔더라도 지금은 사양 산업이 있을 것이고, 과거에는 관심 밖이었지만, 지금은 유망 산업이 있을 것이다. 어느 산업에 투자하느냐에 따라 투자 수익률은 극단적으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시시각각 변하는 주식 시장에 관심을 가지는 것보다는 이 주식 시장을 움직이는 거대한 바람을 봐야 한다.
주식 투자 시 채권 투자자들의 투자 전략 또는 방향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 이유는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으로 구분한다면, 위험자산의 대표는 주식이요, 안전자산의 대표는 채권으로 양분되기 때문이다. 즉, 투자자들이 경기 흐름에 따라 위험자산을 선호할 수 있고 안전자산을 선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