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7068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2-09-01
책 소개
목차
○ 책머리에
○ 일러두기
○ 해제
Ⅰ. ≪신감新鑒≫
Ⅱ. 순열(荀悅: 148∼209)
卷一 <정체政體>
001(11) 도는 인의일 뿐.
002(12) 한나라의 정통
003(13) 인의예지신
004(14) 오덕, 육절, 삼재, 오사
005(15) 정체의 본뜻
006(16) 정치를 이루는 방법
007(17) 사환四患
008(18) 오정五政
009(19) 양생養生
010(110) 진실에 근본을 두어야
011(111) 정속正俗
012(112) 창화彰化
013(113) 병위秉威
014(114) 통법統法
015(115) 위정爲政의 방법
016(116) 도실道實
017(117) 십난十難
018(118) 구풍九風
019(119) 옥사獄事를 신중히
020(120) 오사五赦
021(121) 유교有交
022(122) 치란의 근본
023(123) 도근道根
024(124) 대도大道
025(125) 도민道民과 양군養君
026(126) 다섯 가지 손상損傷
027(127) 쇳물
028(128) 물을 건널 때
029(129) 난황亂荒
030(130) 닭을 몰듯이
031(131) 투절偸竊과 약탈掠奪
032(132) 성왕聖王과 범주凡主
033(133) 치세治世와 쇠세衰世
034(134) 순리順理와 역리逆理
035(135) 대보大寶
036(136) 호오好惡와 상벌賞罰
卷二 <시사時事>
037(21) 논의해야 할 사안 21가지
038(22) 반경盤庚의 천도
039(23) 삼황 시대의 백성
040(24) 백성의 풍속
041(25) 훔쳐갈 수 없는 것
042(26) 사실의 점검
043(27) 군현의 관리
044(28)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045(29) 상무관의 설치
046(210) 전쟁을 잊고 살면
047(211) 주목과 자사, 그리고 감찰어사
048(212) 육형肉刑
049(213) 덕치와 형벌
050(214) 상화傷化와 해민害民
051(215) 사사로운 복수
052(216) 봉록
053(217) 자봉自封과 전지專地
054(218) 화폐의 유통
055(219) 화폐의 유통과 폐지
056(220) 제사
057(221) 예의 근본
058(222) 천인감응설
059(223) 육기와 재해
060(224) 옛 제도에 따라
061(225) 부녀자 교육
062(226) 남녀의 바른 위치
063(227) 박사제도
064(228) 공자와 경전
065(229) 덕과 요체
066(230) 사면령
067(231) 공주의 혼례
068(232) 궁중 잡사의 기록
069(233) 내사의 임무
卷三 <속혐俗嫌>
070(31) 복서卜筮
071(32) 때와 금기
072(33) 음양과 감응
073(34) 기도와 응답
074(35) 기도
075(36) 질병과 재액
076(37) 관상
077(38) 신선술
078(39) 장수
079(310) 장수와 본질
080(311) 신선
081(312) 양성법養性法
082(313) 인자수仁者壽
083(314) 황금 제조 기술
084(315) 위서緯書
卷四 <잡언雜言>(上)
085(41) 학문에 힘쓰는 이유
086(42) 군자의 세 가지 거울
087(43) 임금과 신하의 책임
088(44) 백성을 사랑하는 방법
089(45) 요순堯舜
090(46) 걸주桀紂
091(47) 손익損益
092(48) 임금으로서의 어려운 점
093(49) 신하로서의 어려운 점
094(410) 신하의 세 가지 죄
095(411) 충성의 세 가지 방법
096(412) 임금이 굴복해야 할 대상
097(413) 실행해내기 어려운 일
098(414) 지독한 입지立志
099(415) 재앙과 행복
100(416) 우락憂樂
101(417) 올바른 예절
102(418) 충신忠臣과 유신諛臣
103(419) 군신 사이에 경계해야 할 사안
104(420) 조화와 화합
105(421) 화和와 동同
卷五 <잡언雜言>(下)
106(51) 보진保眞
107(52) 입덕立德
108(53) 입검立檢
109(54) 성인의 덕과 재능
110(55) 진간進諫과 수간受諫
111(56) 지인知人과 자지自知
112(57) 군자가 싫어사는 것
113(58) 지조의 고수
114(59) 다섯 가지 심오함
115(510) 낙천지명樂天知命
116(511) 성性과 명命
117(512) 성선설性善說과 성악설性惡說
118(513) 성性과 정情
119(514) 감정의 절제
120(515) 정情, 의意, 심心, 지志
121(516) 상지上智와 하우下愚
122(517) 법과 교화
123(518) 정도貞道와 대덕大德
124(519) 부끄러움
125(520) 심지心志
※부록 ≪申鑑≫ 관련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