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로마제국쇠망사

로마제국쇠망사

에드워드 기번 (지은이), 강석승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로마제국쇠망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로마제국쇠망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고대사
· ISBN : 9788949714318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16-06-09

책 소개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쇠망사'는 학술 연구사상 하나의 큰 기념물이다. 지금도 여전히 2세기부터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되기까지의 약 1,300년간의 로마제국을 알기 위한 기본적 문헌으로서 지위를 지켜내고 있다.

목차

[컬러화보]
제1장(98∼180년) … 11
두 안토니누스 황제들 시대
제국 판도와 군사력
브리타니아 정복⁄트라야누스 황제가 이룩한 영토확대⁄내정에 힘쓴 후계자들/제위를 뒷받침한 병제와 군사력⁄제국의 속주
(칼럼) 로마의 건국―로물루스와 레무스

제2장(98∼180년) … 41
두 안토니누스 황제들 시대
로마제국 통일과 번영
관대한 종교정책⁄실용적인 로마인⁄라틴어 보급과 그리스 문화의 유산⁄로마제국의 노예들⁄황제들이 위신을 걸고 시행한 공공사업⁄부호의 터무니 없는 재력⁄로마의 뛰어난 건축기술⁄속주를 잇는 ‘로마길’⁄‘우리 바다’-지중해⁄외래품종과 농업의 발전⁄부유층을 위한 온갖 물건들⁄세계 여러 나라와의 교역⁄번영의 그늘 쇠퇴의 톱니바퀴⁄두 안토니누스 황제 시대의 로마제국 정치체제⁄제정 초기 여러 모습의 황제상⁄로마의 사법권이 미치는 범위
(칼럼) 로마인의 별장⁄농산물 거래

제3장(180∼248년) … 99
콤모두스 황제의 잔혹성, 어리석음과 살육
근위대에게 암살당한 후계자 페르티낙스
티투스 율리아누스에게 나라를 팔아먹은 근위병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승리와 엄격한 정치
카라칼라 황제의 폭정
엘라가발루스 황제의 어리석음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의 어진 정치
혼란 속 빈번한 황제 교체
필리푸스의 제위 찬탈과 건국 축제
철인황제의 인품⁄황제의 권한이 못난 아들에게⁄콤모두스가 폭군으로 변한 날⁄간신 페렌니스⁄새 간신 클레안델⁄황제의 음행과 어리석음⁄군주가 원형투기장에서⁄폭군의 최후
(칼럼) 로마법

제4장(248∼285년) 118
데키우스, 갈루스, 에밀리아누스, 발레리아누스, 갈리에누스 황제
여러 야만족들 대침입
30인의 참주들
클라우디우스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치세와 승리
타키투스 황제 프로부스 황제와 카루스 황제 부자의 치세
격랑의 시대⁄데키우스, 반란군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다⁄고트족의 등장⁄이동하기 시작한 야만족들⁄고트군과 교전하다⁄감찰관에 추대된 발레리아누스⁄데키우스 황제, 전사하다⁄교체되는 제위(帝位)의 주인들⁄발레리아누스의 즉위⁄아들 갈리에누스를 공동황제로⁄프랑크족⁄알레만니족⁄고트족⁄페르시아인⁄적의 포로가 된 로마 황제⁄냉혹하고 경박한 황제⁄30명의 참주⁄옥좌에 앉은 기분⁄세태의 단면
(칼럼) 로마의 군대

제5장(285∼313년) 162
디오클레티아누스와 3명의 동료
막시미아누스, 갈레리우스 및 콘스탄티우스의 치세
제국 전역의 평화와 질서 회복
페르시아 전쟁과 그 승리 및 개선
새로운 통치체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와 막시미아누스 황제의 퇴위
디오클레티아누스, 제국을 재건하다⁄공동황제 막시미아누스⁄제국의 4분할 통치⁄로마 영토 내에 정착한 야만족⁄고난의 아르메니아⁄페르시아 전쟁과 로마군의 참패⁄설욕을 이룬 갈레리우스⁄마지막 강화와 그 뒤 동방 변두리⁄쇠퇴해 가는 로마의 지위⁄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통치수법⁄자신의 의사에 의한 퇴위⁄퇴위를 선언한 두 황제⁄퇴위한 뒤의 나날⁄문예와 학문은 돌아보지 않고
(칼럼) 황제의 신격화와 황제예배

제6장(305∼330년) … 196
디오클레티아누스 퇴위 뒤의 혼란
콘스탄티우스(1세) 사망
콘스탄티누스와 막센티우스 즉위
6황제의 동시 재위
막시미아누스 황제와 갈레리우스 황제의 사망
막센티우스, 리키니우스 두 황제에 대한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승리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제국 통일
새로운 제도(帝都) 콘스탄티노폴리스 건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퇴위한 뒤 혼란⁄콘스탄티누스 등장⁄황제가 사라진 지 오래인 로마시⁄막센티우스의 봉기⁄갈레리우스 황제, 친구 리키니우스를 공동 황제로⁄동시에 재위한 6명의 황제⁄막시미아누스, 갈레리우스 두 황제의 죽음⁄패권다툼을 벌이는 네 황제⁄콘스탄티누스, 막센티우스와 대결하다⁄막센티우스의 비참한 최후⁄리키니우스 황제의 승리⁄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최후 승리⁄새로운 제도(帝都)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건설
(칼럼) 알프스를 넘어 로마로―명장 한니발

제7장(그리스도교의 발전) … 243
원시그리스도교도의 신앙과 습관
이단 박해
아리우스파 논쟁
아타나시우스
콘스탄티누스 황제 및 그 아들들의 치세에서
비제국과 그리스도교회의 혼란
이교에 대한 관용
신도들의 열정⁄영혼불멸에 대한 신앙⁄원시 그리스도교회의 기적⁄순수하고 준엄한 도덕⁄단결과 규율⁄콘스탄티노폴리스의 창건⁄집정관과 귀족⁄근위대장⁄기병대와 보병부대 총사령관⁄조신(朝臣)들⁄이단에 대한 박해⁄신학논쟁⁄아리우스파를 옹호한 콘스탄티우스 2세⁄꺼지지 않는 신학 논쟁⁄‘정통파’ 아타나시우스⁄아타나시우스 체포명령 내리다⁄아타나시우스의 도피생활⁄계속되는 저항⁄이교도 위에 내리는 희망
(칼럼) 동방계 밀의(密儀)종교

제8장(360∼363년) … 325
갈리아 군단의 율리아누스 황제 추대
율리아누스의 진격과 승리
콘스탄티우스(2세) 죽음
율리아누스 민정
페르시아 전쟁 중 율리아누스 사망
후계자 요비아누스의 굴욕적 강화에 의한 로마군 구출
율리아누스 명성을 떨치다⁄간신들의 책략⁄고민에 빠진 율리아누스⁄신하로서의 미덕을 보이다⁄친애하는 병사들이여!⁄저항할 수 없는 물살 속에서⁄내전에 대한 대비⁄화해를 도모하다⁄인종(忍從)의 끝⁄갈리아군의 호쾌한 진격⁄콘스탄티우스(2세) 황제 서거⁄율리아누스의 인간성⁄배교자(背敎者) 황제
(칼럼) 로마시대 기후와 인구

제9장(365∼398년) … 349
고트족 도나우 강을 넘어오다
고트 전쟁
발렌스 황제의 패배와 사망
그라티아누스 황제, 동부 제국을 테오도시우스에게 이양하다
테오도시우스 황제의 인물과 승리
고트족의 평화와 정착
정통파 승리 이단파 소멸
테오도시우스 황제 두 아들에 의한 제국 최종분할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고트족의 정착 요청⁄야만족 집단의 도하⁄비열한 로마의 간신들⁄달아나는 로마군⁄무훈을 서두르는 발렌스 황제⁄제국의 명운을 좌우한 하드리아노폴리스 전투⁄동부 제국도 그라티아누스의 어깨에⁄동부의 황제가 된 테오도시우스⁄힘을 되찾은 로마군⁄다시 맞서는 야만족들⁄책략가 테오도시우스⁄제국의 방위임무와 맞바꾸어⁄존재의 위험성
(칼럼) 로마의 복식

제10장(398∼410년) … 381
고트족의 반란
고트족의 그리스 약탈
스틸리코 장군의 활약
알라리크의 이탈리아 침입
원로원과 민중의 상황
고트인에 의한 세 번째 로마 포위와 약탈
고트족의 반란⁄스틸리코 장군의 활약⁄알라리크의 이탈리아 침공⁄그 무렵 로마시와 원로원 의원의 수입⁄부유층의 생활⁄평민의 생활⁄‘빵’ 배급⁄공중목욕탕과 빈둥거림⁄대경기장에서의 공연⁄야만족에게 포위당한 영원한 도시⁄야만족 왕 압력에 의한 새 황제 추대⁄분노에 휩싸인 알라리크의 로마 시 약탈
(칼럼) 고대 로마의 사회와 생활

제11장 … 409
서로마제국 멸망의 길
그래도 인류는 진보한다
멸망의 원인은 어디에⁄팽창과 붕괴⁄그리스도교의 영향⁄로마사가 주는 교훈⁄인류의 진보
(칼럼) 로마의 세제

제12장(동로마제국의 융성) … 424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시대
황후 테오도라
대경기장의 당파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요란
젊은 날의 테오도라⁄이례적인 황후⁄제국의 수도를 들끓게 한 경기/청색파 녹색파의 항쟁⁄니카 폭동⁄황제를 구한 황후의 발언
(칼럼) 결혼의 끝

제13장(이슬람세력의 대두) … 447
마호메트의 탄생
이슬람의 성격 및 교리
역대 칼리프의 영화
영광의 계보⁄마호메트의 탄생⁄예언자의 풍모와 인품⁄자연을 교사로/이슬람의 교의(敎義)⁄코란이란 무엇인가/세계사에서의 코란과 마호메트⁄이슬람의 지속성⁄마호메트 다음의 아랍세계
(칼럼) 알리멘타 제도

제14장(동로마제국의 멸망) … 464
투르크인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와 최종 정복
공성(攻城) 개시⁄계속되는 공방⁄제도(帝都)를 향하는 원군⁄마지막 불꽃⁄오스만 함대, 산을 넘다⁄낙성 전의 성 안⁄결전을 향해서⁄콘스탄티노폴리스 최후의 날⁄전야(前夜)⁄총공격 개시⁄지휘관의 전의 상실⁄마침내 성벽에 선 예니체리⁄황제의 전사와 성의 함락⁄성 안의 혼란⁄승자의 권리⁄침해된 성역⁄정복왕의 입성⁄낙조에 물들어
(칼럼) 로마의 연극

제15장 에필로그 … 492
위대했던 로마를 돌아보며
시간현상 자연소멸⁄자원남용 약탈파괴/로마인 의해 파괴되는 로마⁄콜로세움과 함께 무너지는 로마
(칼럼) 로마인의 이름

로마사 연표 … 506
에드워드 기번의 생애와 로마제국쇠망사 … 516
젊은 나날⁄카피톨리누스 언덕 위에서 《로마제국 쇠망사》 구상하다⁄기번의 역사의식

저자소개

에드워드 기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37년 런던 인근의 서리 주 퍼트니(현재는 런던의 완즈워스 자치구로 윔블던 테니스장 인근)에서 부유한 지방 정치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1752년 15세 때 귀족에게 허용되는 특별 자비생 자격으로 옥스퍼드대학교의 매그덜린칼리지에 입학해 공부하던 중 종교 논쟁에 연루된다. 이신론에 입각한 종교 비판서들을 읽고 로만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비공개로 영세(領洗)까지 받았기 때문이다. 1754년 다시 성공회로 복귀해 말썽의 요지였던 종교 문제를 결말짓는다. 그의 개종을 둘러싼 문제는 여러 종교 서적을 읽은 영향과 당시 학교의 종교적 분위기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는데, 훗날 그는 “옥스퍼드의 수도사들에 대해 종교적인 반란을 일으킨 것”이었다고 술회했다. 기번은 1758년까지 스위스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생활을 하는 중 라틴어, 고전, 시, 웅변 및 철학 등을 섭렵하면서 자신의 역사관을 형성했다. 또한 그리스어와 프랑스어를 능란하게 말하고 쓸 수 있을 정도로 습득했다. 기번은 20세 때 크라시에 사는 칼뱅파 목사의 딸로, 동년배로 알려진 쉬잔 퀴르쇼와 사랑에 빠진다. 기번은 그녀와 약혼한 후 아버지의 승낙을 받기 위해 영국으로 귀국했다. 아버지는 당시 아들에게도 알리지 않고 재혼한 상태였는데, 쉬잔이 재산이 없으며 전쟁 중에는 외국인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다며 그에게 파혼을 요구했다. 파혼 이후 그는 오로지 독서에만 전념했고 저술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다. 1764년 10월 15일 이탈리아 여행 중 폐허가 된 로마의 카피톨에서 로마제국의 쇠망에 관한 작품을 쓸 영감을 받았고, 1770년 부친이 죽고 비로소 재정적으로 독립할 수 있게 되었을 때 그는 자산을 정리하고 런던으로 이주해 ≪로마제국 쇠망사≫의 집필에 전념하게 된다. 1776년 전 6권 중 제1권을 출판하는데, 이 책은 대단한 호평을 받아 1년 내에 3판까지 발간되었다. 그는 ≪로마제국 쇠망사≫ 한 권으로 거의 데이비드 흄, 윌리엄 로버트슨(William Robertson)과 더불어 당대 영국 3대 사학자로 부각될 정도로 유명해졌다.
펼치기
강석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동 대학원 행정학과 졸업.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박사 학위 받음. 인천대학교, 경기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통일부 통일교육원 연구개발과장, 통일부 정보분석본부 정세분석팀장 역임. 지은책 《북한학개론》《국제사회와 북한》《북한총람》《북한대사전》 근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쇠망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