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88967640217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13-04-19
책 소개
목차
발간사_김성주
제1장 4월 학생민주혁명에 대한 시각과 연구동향_김성주
제1절 4월 학생민주혁명의 성격
제2절 4월 학생민주혁명에 대한 시각
제3절 4월 학생민주혁명에 대한 연구동향
1. 원인과 발생배경에 대한 연구
2. 혁명과정에 대한 연구
제4절 본 저서의 연구방법과 연구내용
제2장 4월 학생민주혁명의 발생요인들_강석승
제1절 4월 학생민주혁명의 정치적인 발생요인
제2절 4월 학생민주혁명의 경제적 발생 요인
제3절 4월 학생민주혁명의 사회심리적인 발생요인
제3장 4월 학생민주혁명의 전개과정_강석승
제1절 4월 학생민주혁명의 전야
1. 2?28 대구학생 의거
2. 3?15 부정선거에 항거한 마산의거
제2절 4월 학생민주혁명의 의의와 이념
1. 4월 혁명의 의의
2. 4월 학생민주혁명의 이념
제3절 4월 학생민주혁명에 관한 각 대학별 사례(31개 대학)
1. 건국대학교
2. 경기대학교
3 경북대학교
4. 경희대학교
5. 고려대학교
6. 국민대학교
7. 단국대학교
8. 동국대학교
9. 동아대학교
10. 서울문리사대(현 명지대학교 전신)
11. 부산대학교
12. 서울대학교
13. 성균관대학교
14. 숙명여자대학교
15. 숭실대학교
16. 연세대학교
17. 원광대학교
18. 이화여자대학교
19. 인하공과대학(현 인하대학교 전신)
20. 전남대학교
21. 전북대학교
22. 제주대학교
23. 중앙대학교
24. 청구대학(현 영남대학교 전신)
25. 청주대학교
26. 춘천농과대학(현 강원대학교 전신)
27. 충남대학교
28. 충북대학교
29. 한국외국어대학교
30. 한양대학교
31. 홍익대학교
제4절 4월 혁명에 관한 고등학교별 사례(20개 고교)
1. 광주고등학교
2. 광주 숭일고등학교
3. 대광고등학교
4. 동성고등학교
5. 동래고교
6. 데레사 여자중?고등학교
7. 부산고등학교
8. 성남고등학교
9. 수도 전기공업 고등학교(전 경성전기공고)
10. 양정 중?고등학교
11. 용문고등학교 (전 강문고등학교)
12. 청주기계공고
제4장 4월 학생민주혁명이 각 영역에 미친 영향_김성주
제1절 사회영역에 미친 영향
제2절 정치영역에 미친 영향
1. 이승만 정권의 붕괴
2. 허정 정권의 반동
3. 민중운동의 고양과 7?29 총선
4. 장면 정권의 출범
제3절 경제영역에 미친 영향
제4절 운동영역에 미친 영향
1. 학생운동
2. 노동운동
3. 민족통일운동
4. 외국의 학생운동
제5장 4월 학생민주혁명의 계승?발전 : 이념?교육?제도_김성주
제1절 계승?발전의 필요성
제2절 4월 학생민주혁명의 이념의 전개
1. 4월 학생혁명의 이념과 선진화의 변증법
2. 선진민주한국창조와 민주통일
제3절 4월 학생민주혁명의 이념교육
1. 선진민주시민교육과 방법
2. 교육의 핵심목표와 내용
제4절 4월 학생민주혁명에 대한 법?제도의 보완
1. 국가보훈기본법의 보완개정과 기본법 제 3조 1호 ‘다’목의 적용
2. 4월 학생민주혁명 국가유공자 보훈관련 개별법의 제정
3. 국경일 승격과 상징적 시설물 설치
4. <4월 혁명정신선양 특별연구위원회> 구성 및 <4월 혁명회관>의 건립
제6장 4월 학생민주혁명에 대한 포상제도와 개선방안_김성주
제1절 포상제도의 의미와 필요성
제2절 4월 혁명유공자 포상?보상의 근거
1. 정부 포상?보상제도
2. 4?19관련 정부지원 법적 근거
제3절 4?19유공자에 대한 포상?보상현황 및 유관단체
1. 포상?보상: 과정과 현황
2. 유관단체: 현황과 존립 근거
제4절 포상?보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포상?보상제도의 문제점
2. 포상?보상제도의 개선안
제5절 정리 및 요약
참고문헌
<부록1> 대학별, 고등학교별 4?19혁명유공 건국포장자 명단
<부록2> 대학교수단 시국선언문
책속에서
1950년대 후반부터 한국사회에는 정치, 경제, 이데올로기적 제 모순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냉전의 굴레 속에서 분단모순이 가져온 한반도의 현실은 매우 참담하였으며 한국전쟁은 분단고착화의 결정판이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 한국사회는 4월 혁명을 전후로 한 일련의 대규모 민중봉기와 정치변동이라는 변혁의 길을 걷게 된다.
4월 혁명의 발발 배경에는 8·15해방과 분단이후 성립된 1950년대 한국사회의 정치적·경제적 모순에 대한 변혁의 요구가 도사리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1950년대 한국경제는 미군정기 이후 불완전한 농지개혁, 귀속재산 불하, 미국의 막대한 원조 등에 의한 구조적 요인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한국경제는 1950년대 말 미국의 경제침체와 동북아시아 전략구도에 입각한 대한경제정책의 변화로 그 위기를 맞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