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사
· ISBN : 9788949909400
· 쪽수 : 273쪽
· 출판일 : 2013-12-31
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3
2. 연구 방법 4
3. 용어 정리 9
Ⅱ. 일반현황 13
1. 국적 15
2. 연령 17
3. 거주기간 19
4. 소득수준 21
5. 학력수준 24
6. 체류자격 26
7. 종교 27
Ⅲ. 생활환경 및 관계 형성 29
1. 결혼 과정 31
2. 결혼 정보 일치 34
3. 국제결혼 이유 36
4. 국제결혼 만족도 39
5. 혼인 상태 42
6. 가족 유형 44
7. 부부 동반 모임 여부 46
8. 결혼 안정감 49
9. 부부싸움 횟수 51
10. 부부싸움 이유 53
Ⅳ. 의사소통과 언어사용 57
1. 한국어 숙달도 59
2. 다문화가족의 호칭어 사용 67
Ⅴ. 한국문화 수용태도 및 본국문화 전달태도 87
1. 한국문화 수용태도 89
2. 본국문화 전달태도 92
3. 문화프로그램 선호도 95
4. 소결 100
ⅵ
ⅶ
Ⅵ. 사회생활 및 사회적지지 103
1.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 105
2.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생활에서 힘든 점 109
3.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에서의 차별경험 정도 114
4.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에서의 차별항의 유무 117
5.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정책 정보제공 경험 유무 120
6. 결혼이주여성의 법률 및 인권보호 교육 참여 경험 124
7. 결혼이주여성의 법률 및 인권보호 교육 동반 참여 127
8. 결혼이주여성의 법률 및 인권보호 교육 참여의 만족도 130
9. 결혼이주여성의 인터넷 사용 유무 133
10. 결혼이주여성의 인터넷 사용 유형 136
Ⅶ. 사회복지에 대한 욕구 141
1. 자녀교육에 있어서의 어려운 점 143
2. 자녀에게 필요한 지원 146
3.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복지욕구 150
Ⅷ. 결혼이주여성의 발달권 173
1. 학부모 모임 참여 여부 175
2. 학부모 모임 참여에 대한 만족도 178
3. 과거 취업 유무 182
4. 과거 취업 분야 185
5. 한국에서의 취업경험 유무 189
6. 한국에서의 취업분야 193
7. 한국에서의 취업경로 197
8. 한국에서 근로의 어려움 201
9. 한국에서의 미취업 원인 205
10. 향후 취업의향 208
11. 향후 취업을 원한 경우 가장 필요한 취업 지원책 212
12. 직업훈련 받을 의향여부 215
13. 희망하는 직업교육 218
14. 결혼이주여성의 정서적인 안정: 우울감, 정서적 고립감, 자아존중감, 낙관성 수준 222
15.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 226
16. 결혼이주여성의 부부싸움에 대한 대응 229
17. 결혼이주여성의 불화상담 대상 233
Ⅸ. 사회?정치적 참여 239
1. 이주프로그램 참여, 유형, 만족도 및 불참이유 241
2. 정치활동 참여여부 244
3. 이주민 공동체 247
4. 정치적, 사회적 참여의견 255
5. 참여 효능감 259
6. 삶의 질 필요요인 262
Ⅹ. 한국 사회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267
참고문헌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