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49947242
· 쪽수 : 373쪽
· 출판일 : 2018-03-30
책 소개
목차
◆ 프롤로그
제1편 藩胡의 형성과 발전
제1장 朝鮮前期 豆滿江 流域에 나타나는 두 개의 ‘朝鮮’
1. 머리말
2. 두만강 유역으로의 管轄 및 領域 확대
3. 6鎭 설치와 두만강 유역에 대한 ‘藩籬’ 인식
4. 女眞을 둘러싼 明과의 ‘隣境’과 ‘編氓’ 문제
5. 맺음말
제2장 조선 전기 두만강 유역 ‘女眞 藩籬・藩胡’의 형성과 성격
1. 머리말
2. 鮮初 女眞 藩籬 인식과 5鎭의 설치
3. 5鎭 설치 후 女眞 藩籬에 대한 정책
4. 5鎭에서의 女眞 藩胡의 발전과 中心 部落의 형성
5. 맺음말
제3장 조선 변경정책의 허와 실 ―두만강 유역 女眞 藩胡의 성장과 발전―
1. 머리말
2. 藩(蕃)의 개념과 여진 藩籬 구축의 성격
3. 藩胡의 성장과 여진 정책의 양면성
4. 맺음말
제2편 藩胡의 침입과 조선의 대응
제1장 임진왜란 전후 女眞 藩胡의 朝鮮 침구 양상과 조선의 대응 분석
1. 머리말
2. 1583년 ‘尼湯介의 난’ 침구 양상
3. 임진왜란 전후 藩胡들의 침입 양상
4. 藩胡 침입에 대한 조선의 대응
5. 맺음말
제2장 조선 선조대 후반 忽剌溫 부잔타이[布占泰]의 침입 양상
1. 머리말
2. 부잔타이의 두만강 유역 진출 시도
3. 부잔타이의 조선 침입과 藩胡 침탈
4. 潼關鎭 함락과 조선의 件退 征討
5. 조선의 職帖 수여와 부잔타이의 실패
6. 맺음말
제3장 누르하치의 두만강 유역 번호 침탈과 조선의 대응 고찰
1. 머리말
2. 누르하치의 두만강 유역 진출
3. 누르하치의 번호 철폐와 조선 침입
4. 누르하치의 동해 지역 세력 확장
5. 조선의 외교적・군사적 대응
6. 맺음말
제3편 藩胡를 둘러싼 교류와 인간상
제1장 세조대 申叔舟의 파견과 ‘女眞 和解事’
1. 머리말
2. 여진 세력간 투쟁과 조선의 대응
3. 申叔舟의 派遣과 女眞 和解 시도
4. ‘女眞 和解事’와 두만강 유역에 대한 인식
5. 맺음말
제2장 조선의 對女眞關係와 6鎭지역 사람들
1. 머리말
2. 번리 구축과 대여진관계의 특징
3. 6진 지역의 조선인들
4. 6진 지역의 여진인들
5. 맺음말
제3장 胡差 小弄耳를 통해서 본 조선・여진 관계의 변화
1. 머리말
2. 胡差, 差胡의 개념
3. 부잔타이의 침입과 小弄耳의 변화 : 藩胡에서 忽差로
4. 누르하치의 침입과 소롱이의 변화 : 忽差에서 胡差로
5. 맺음말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