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49966861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3-02-20
책 소개
목차
서문
간행사
인산부원군 홍윤성의 관직생활과 특징 이상배
1. 머리말
2. 홍윤성의 가계와 인물
3. 홍윤성의 관직생활과 특징
4. 맺음말
단종~성종대 공신 책봉의 의미와 홍윤성 김우철
1. 머리말
2. 단종대 정난공신 책봉과 홍윤성
3. 세조대 좌익공신 책봉과 홍윤성
4. 성종대 좌리공신 책봉과 홍윤성
5. 홍윤성 좌리공신 교서의 분석
6. 맺음말
세조대 조・일 관계와 홍윤성의 역할 손승철
1. 머리말
2. 세조대의 조・일 관계
3. 홍윤성의 수직왜인과 일본 국왕사 접대
4. 홍윤성의 통신사에 대한 입장과 정책
5. 맺음말
세조대 여진 정벌과 홍윤성의 활동 한성주
1. 머리말
2. 함길도조전원수 홍윤성의 함길도 파견
3. 부체찰사 홍윤성의 여진 정벌 참여
4. 맺음말
홍윤성의 사후평가와 후대기억 임선빈
1. 머리말
2. 실록을 통해 본 실재와 평가
3. 잡록을 통해 본 평가와 후대기억
4. 맺음말
홍윤성의 학술대회 종합토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역사 속 인물 연구를 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은 그 당시의 역사적 환경이다. 현재의 관점이나 잣대로 역사 속 인물을 평가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그 인물이 살았던 시대의 정치・사회・경제 여건 등 제반 조건을 바탕으로 다각도로 연구하여 종합적인 인물의 역사상을 고증해야 할 필요가 있다.
홍윤성은 문과(文科)에 급제한 문관임에도 무재(武才)가 출중하였고,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계유정난에서 활약하여 세조의 총애를 받기도 하였다. 이상의 이력으로만 볼 때 홍윤성은 그 자체로 연구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한 인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홍윤성에 대한 연구는 극히 찾기 힘들다. 인물에 대한 도덕적인 혹은 정치적인 평가 여부를 떠나서 이러한 현상은 그 시대의 객관적인 이해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생각이다.
그동안 ‘경진북정’에 대해서는 신숙주의 활동만이 부각된 점이 많다. 반면에 여진 정벌 전 홍윤성을 함길도조전원수로 파견한 점과 정벌시 부체찰사로 파견한 점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정벌 전후 홍윤성 파견의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의 활동을 재조명하면서 조선의 ‘경진북정’에 대한 역사적 사실에 보다 접근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