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88949948515
· 쪽수 : 948쪽
· 출판일 : 2019-12-2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1>『주역』의 연원, 주역의 인문화^^
『주역』의 길흉에 대한 해석
주역과 신도설교천도의 패러다임에서 본 주역의 성인정신과 그 인문주의적 세계
『주역』에서의 시중지덕에 대한 고찰
<2>송대 역학의 상・수・리『통서』에 나타난 주돈이 철학의 특징^^
송대「하도」「낙서」 도상의 출현과 그 정립과정
『정몽』 「삼양」편에 보이는 장재의 천지관 및 천체운행 논의의 이해와 그에 대한 왕부지의 해석『이천역전』의 윤리사상
주희의 심성론을 중심으로 본 복괘 해석의 문제
주자-육상산의 태극 논변
수학적 인문학 관점으로 본 채침의 상수사상
^^<3>한국역학의 새로운 지평^^
『훈민정음』제자해에 함유된 송대 상수역과 조선역
『주역언해』번역의 새로운 지평
『우암역설』 연구
성이심의 『인역』과 스피노자의 감정론
『계몽전』의의 철학적 특징 : 리중심의 역학사상
하빈 신후담의 『주역』해석
『정전』의 ‘팔즉양생’에 관한 한국역학자들의 견해
정약용 역학의 본령- 역도론, 역리론, 역의론
^^<4>주역연구의 방법론과 현대적 확장성^^
주역의 해석학적 연구 -Husserl 현상학비판
『주역전의대전』의 음주와 독해
체용이론의 체계와 그 운용호체론의 발전과 그 역학적 의미
동중서의 과학 음양 동태적 상대론
왕수인의 ‘태극동정’과 공부상의 ‘동정’문제 해석
『주역』을 통해 구축한 동서융합 철학의 플랫폼
『주역참동계』의 양생관과 생명교육의 심미학
『주역』 상징체계에 내포된 문화다원론적 함의와 도덕적 표준
『주역』에서 보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
『주역』과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