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49966090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머리말
상편 ‘중국의 길’의 역사적 발전
제1장 시행착오 중에서 배태한 ‘중국의 길’(1840~1921)
제1절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임무
제2절 ‘중국의 길’의 배태
제2장 혁명 과정에서 어렵게 탄생한 ‘중국의 길’(1921~1956)
제1절 손중산과 삼민주의에 대한 레닌의 평가
제2절 신문화운동과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중국에서의 전파
제3절 5・4운동은 중국 신민주주의 혁명을 시작하여 신・구 민주주의 혁명의 분수령이 되었다
제4절 제1차 국공합작, 파열의 운명을 지닌 각자의 이익을 위해 결합된 국강공약(國强共弱)의 일시적 합작
제5절 토지혁명과 징강산(井岡山) 혁명의 길
제6절 마오쩌둥 사상과 항일전쟁의 승리
제7절 토지개혁과 사회주의 개조
제3장 사회주의 건설 과정에서 우여곡절을 겪으며 발전한 ‘중국의 길’(1956~1976)
제1절 자신의 사회주의 건설의 길 탐색
제2절 20년 간의 사회주의 건설의 길 탐색 실수의 원인 분석과 시사점
제4장 개혁 과정에서 발전이 완벽해지는 ‘중국의 길’(1976~)
제1절 덩샤오핑 이론과 ‘중국 특색 사회주의 길’의 개척
제2절 ‘세 가지 대표’의 중요한 사상과 ‘중국 특색 사회주의 길’의 발전
제3절 과학적 발전관과 ‘중국 특색 사회주의 길’의 추진
제4절 시진핑의 중요한 연설 사상과 ‘중국 특색 사회주의 길’ 발전의 새로운 국면
제5장 ‘중국의 길’의 ‘제도’의 발전과 보완
제1절 근본 정치제도의 발전 약술
제2절 기본 제도 발전의 약술
제3절 구체적인 제도의 발전 약술
제6장 소결(小結): ‘중국의 길’에서 ‘탈바꿈’하고 ‘재탄생’한 중화민족
중편 ‘중국의 길’의 해독(解讀)
제7장 ‘중국의 길’은 ‘소련의 길’과 다르다
제1절 소련 혁명의 길과 중국 혁명의 길
제2절 소련 건설의 길과 중국 건설의 길
제3절 소련 개혁의 길과 중국 개혁의 길
제4절 두 가지 개혁관의 방법론에 대한 간명한 분석
제8장 ‘중국의 길’은 ‘자본주의 길’과 다르다
제1절 서방 자본주의 현대화 길의 지속 불가능성과 발전 방향
제2절 라틴아메리카 국가 자본주의 길의 함정
제3절 중화민족의 전통문화: ‘중국의 길’의 근본
제4절 중국의 국정: ‘중국의 길’의 토양
제9장 ‘중국의 길’의 ‘길(路)’의 조리 분석
제1절 ‘중국의 길’ 개척 중의 변증법적 사상
제2절 ‘중국의 길’ 발전의 변증법적 지향
제3절 ‘중국 특색 사회주의 길’ 발전의 기본 특징
제10장 ‘중국의 길’의 ‘도(道)’의 조리 분석
제1절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보편적 진리와 중국의 구체적 실제의 결합은 보편적인 진리이다
제2절 1956년의 마오쩌둥 ‘사상이론 유산’과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제3절 덩샤오핑의 발전 사상과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제11장 ‘중국의 길’ 발전의 몇 가지 재 사고(再思考)와 계시(啓示)
제1절 ‘중국의 길’에 대한 몇 가지 재 사고
제2절 ‘중국의 길’ 발전의 몇 가지 계시
제12장 소결(小結): ‘중국의 길’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일관한다
하편 ‘중국의 길’의 문명적 의의
제13장 ‘중국의 길’: 중화문명의 현대화로의 전환
제1절 중국 전통문명은 어떻게 전환할 수 있었는가
제2절 ‘중국의 길’: 중화문명 전환의 경로 선택
제3절 ‘중국 특색 사회주의 길’: 진정한 ‘문명입국’의 길
제4절 또 다른 현대화는 가능하면서도 현실적이다
제14장 ‘중국의 길’의 국제적 의의
제1절 중국 혁명의 국제적 영향력
제2절 중・소・미・영은 개혁을 ‘약속했고’, 중국 개혁은 국제적 의의를 충분히 나타냈다
제3절 ‘중국 특색 사회주의 길’의 국제적 의의
제15장 소결(小結): 세계는 부흥, 포용과 혁신 ‘3위일체’의 문명한 중국을 필요로 한다
맺음말: ‘중국의 길’의 자신감 속에서 ‘중국의 자각’을 높인다
참고문헌
저자후기
역자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