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88949966151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22-02-2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전언(前言)
Ⅰ. 냉전, 내전, 그리고 한국전쟁
Ⅱ. 한국전쟁이 타이완을 구했다는 인식
Ⅲ. 연구 자료와 각 장에 대한 개요
제2장 타이완 분리(1949)
Ⅰ. 정치와 경제의 수단으로 타이완 지키기
Ⅱ. 중국으로부터 독립한 타이완
Ⅲ. 유엔이 신탁통치할 가능성
Ⅳ. 모순적 사유, 대립된 정책
Ⅴ. 결어
제3장 수수방관(1950년 1월 ~ 6월 24일)
Ⅰ. 수수방관
Ⅱ. 일변도 입장의 전개
Ⅲ. 상황의 전환
Ⅳ. 맺음말
제4장 중립 추구(1950년 6월 25일 ~ 11월 15일)
Ⅰ. 타이완 해협의 중립
Ⅱ. 집행하기 어려운 중립
Ⅲ. 맥아더와 트루먼의 대립
Ⅳ. 유엔에서의 활동
Ⅴ. 맺음말
제5장 제한적인 전쟁(1950년 여름 ~ 1951년 봄)
Ⅰ. 유엔군의 북상
Ⅱ. 적절한 정전시기의 상실
Ⅲ. 조기 화해의 가능성
Ⅳ. 군사보복에 대한 고려
Ⅴ. 징벌적 행동
Ⅵ. 결어
제6장 정책의 전환(1950년 12월 ~ 1951년 5월)
Ⅰ. 대 타이완 정책 재고의 제약요인
Ⅱ. 국부군 참전문제와 중립화 정책에 대한 반성
Ⅲ. 타이완에 대한 정책 관념의 진전
Ⅳ. 결어
제7장 태도의 변화(1951년 5월 ~ 1952년 3월)
Ⅰ. 중공을 약화시키려는 노력
Ⅱ. 부담에서 자산이 된 타이완
Ⅲ. 군사원조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분리하지만 독립하지 않는 중국
Ⅴ. 결어
제8장 정치적 자산(1952년 3월 ~ 1953년 1월)
Ⅰ. 정전회담의 지연
Ⅱ. 중공에 대한 견제
Ⅲ. 중립화 취소에 대한 검토
Ⅳ. 연해지역에 대한 교란
Ⅴ. 정치적 자산으로의 탈바꿈
Ⅵ. 결어
제9장 의도된 모호함(1953년)
Ⅰ. 장제스에 대한 방임과 제한
Ⅱ. 승낙 회피
Ⅲ. 압박을 통한 쐐기 전략
Ⅳ. 의도적으로 모호했던 대 타이완 정책
Ⅴ. 결어
제10장 결론
Ⅰ. 타이완에 대한 미국의 정책 변화
Ⅱ. 미국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소
Ⅲ. 정책결정의 유연성과 이해득실
Ⅳ. 한국전쟁이 타이완을 구했는가?
Ⅴ. 한국전쟁이 타이완을 구했다!
주요 사건 대조 연표
저자 후기



















